청소년 문화 YOUTH CULTURE

$24.95
SKU
978894261574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2/10
Pages/Weight/Size 187*240*30mm
ISBN 9788942615742
Categories 대학교재 > 사회과학 계열
Contents
제1장 청소년문화 개요
1절 문화의 개념 10
1. 문화의 개념에 대해 질문해 보기 10
2. 문화 개념의 변화 13
3. 문화의 종류 16
4. 문화의 구성 18
5. 문화의 변동 20
2절 청소년문화 22
1. 청소년기에 대한 이해 22
2. 청소년문화 연구 25
3. 청소년문화의 성격 규정 28
4. 문화의 속성과 청소년문화 30

제2장 청소년세대와 사회집단
1절 신세대의 형성과 사회·문화적 배경 40
1. 지식정보사회와 청소년문화 41
2. 정치사회 민주화와 신세대 문화 43
3. 하위문화를 넘어서 46
4. 청소년기의 연장과 청소년문화의 탈 연령화 48
2절 청소년세대와 다양한 명칭 49
1. 세대의 개념 49
2. 한국사회에서 청소년세대 논의 50
3. 청소년세대의 다양한 명칭 52
3절 청소년집단 내의 다양한 사회집단 60
1. 사회집단과 하위문화 60
2. 청소년 집단의 유형 61
3. 청소년 집단화와 부작용 66

제3장 청소년과 학교문화
1절 학교교육과 청소년의 삶 72
2절 청소년복지와 학교교육 74
1. 청소년복지의 개념 75
2. 학교현장에 대한 접근의 필요성 80
3절 학교문화 특성에 대한 이해 82
1. 구성원을 중심으로 본 학교문화의 특성 82
2. 학교문화의 갈등, 그 시작과 끝 91
4절 청소년복지 실현을 위한 학교문화의 과제 96
1. 교사문화의 변화 106
2. 수업문화의 변화 109
3. 학생문화의 변화 111
4. 사회의 지원과 협력 113

제4장 청소년과 대중문화
1절 청소년학 연구에서 대중문화의 의의와 현황 106
1. 1990년대의 대중문화와 청소년문화 106
2. 대중문화의 개념과 의미 109
3. 대중문화의 계급과 경계의 와해: 아비투스와 크로스오버, 그리고 퓨전 111
4. 청소년학에서의 대중문화연구 현황 113
2절 청소년의 대중문화수용에 대한 이론적 고찰 115
1. 대중매체와 대중문화, 그리고 대중스타 115
2. 대중문화에 대한 비평: 편입문화론과 발터 벤야민 119
3. 청소년 대중문화수용에 대한 시사점 123
3절 청소년의 대중스타 수용에 대한 이해 124
1. 선행연구 검토 124
2. 대중스타 수용: 발달심리적 측면에서의 이해 128
3. 대중스타 수용: 문화이론적 측면에서의 이해-팬덤을 중심으로 132
4절 청소년의 대중문화수용의 영향과 과제 137
1. 대중스타 수용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137
2. 과제와 대응방안 141

제5장 청소년과 비행문화
1절 비행의 개념과 이론 146
1. 비행 개념에 대해 질문해 보기 146
2. 비행 이론 148
2절 청소년 비행의 발생요인과 양상 153
1. 청소년 비행의 주요 요인 153
2. 청소년 비행문화 양상 158
3절 유럽청소년 비행문화 164
1. 유럽청소년 비행문화 사례 165
2. 유럽청소년 비행문화: 비행 vs. 정체성 찾기 177
4절 비행청소년 방지를 위한 대책마련 및 노력들 178

제6장 청소년과 소비문화
1절 소비와 소비문화의 개념 184
1. 소비개념에 대해 질문해 보기 184
2. 소비문화와 자본주의 191
2절 청소년 소비문화 196
1. 세대개념과 세대적 소비행위 196
2. 청소년기와 소비문화 204
3. 청소년과 문화소비 212
3절 바람직한 청소년 소비문화 217

제7장 청소년과 글로벌·다문화
1절 한국사회의 글로벌·다문화사회 진전 222
1. 글로벌 이주의 증가와 한국사회 변화 223
2절 다문화사회의 진전과 청소년 인식 개선 과제 229
1. 일반청소년들의 다문화 인식 229
2. 다문화사회의 진전과 인식 개선 과제 234
3. 이주배경 청소년 역량강화 340
3절 글로벌 다문화사회와 청소년문화 247
1. 청소년문화의 개방성 및 융통성 247
2. 청소년문화의 혼종성 및 글로벌화 249
3. 사회의 신드롬을 만들어가는 청소년문화 250

제8장 시민사회와 청소년 민주시민교육
1절 청소년과 민주시민사회 254
1. 민주시민사회에 대한 이해 254
2. 민주시민교육 개념과 활성화 배경 261
2절 현대사회와 민주시민교육 267
1. 민주시민교육의 포괄적 방향 267
2. 민주시민교육의 다양성 268
3절 유럽 청소년 민주시민교육 : 프랑스 공교육 사례 276
1. 프랑스 민주시민교육의 시작 276
2. 프랑스 중학교 시민교육 내용 278
4절 한국청소년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제언 285

제9장 청소년 대항문화와 대안문화
1절 대항문화와 대안문화 정의 290
1. 대항문화와 대안문화 개념에 대해 질문해 보기 290
2. 청소년 대항·대안문화와 하위문화 294
2절 청소년 대항·대안문화의 기원과 발전 295
1. 서구 청소년 대항·대안문화의 기원 295
2 .서구 청소년 대항·대안 문화 전개 흐름 300
3. 신자유주의와 청소년 대항·대안문화의 변화 308
3절 한국청소년 대항·대안문화의 현실과 과제 314
1. 한국 청소년 대항·대안문화의 흐름 314
2. 디지털 시대 청소년의 대항·대안문화 : 사회구성원으로서 자아 찾기 319

제10장 청소년문화와 정책
1절 사회 변화와 청소년 324
1. 주요 사회 변화 트렌드와 청소년의 삶 324
2. 미래 환경 변화와 청소년문화 326
3. 우리사회 청소년 정책의 전개과정 330
2절 청소년문화 발전을 위한 정책 과제 334
1. 청소년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 정립 334
2. 청소년문화 정책 방향 수립 342
3. 청소년문화 관련시설 활성화 345

참고문헌 360
Author
김민,조혜영,이영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