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딥러닝의 기초 내용과 응용 지식을 체계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이론과 수식, 실습을 분리하여 설명한다. 딥러닝 기초 개념부터 상위 개념까지 점진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커리큘럼을 구성했고, 이 내용을 수식으로 다시 한번 정리하여 딥러닝의 구조와 원리에 대해 익힌다. 또한 실제 머신러닝 프로젝트를 진행하듯 파일을 구성하고 CLI 환경에서 실습을 진행하면서 실전 감각을 키운다.
Contents
1장 개발 환경 구축하기
1.1 아나콘다 설치하기
1.2 VS Code 설치 및 환경 설정
1.3 마치며
2장 딥러닝 소개
2.1 딥러닝이란?
2.2 좋은 인공지능이란?
2.3 머신러닝 프로젝트 워크플로
2.4 수학 용어 설명
2.5 마치며
3장 파이토치 튜토리얼
3.1 왜 파이토치인가?
3.2 (실습) 파이토치 설치
3.3 텐서란?
3.4 (실습) 기본 연산
3.5 (실습) 텐서 형태 변환
3.6 (실습) 텐서 자르기 & 붙이기
3.7 (실습) 유용한 함수들
4장 선형 계층
4.1 행렬 곱
4.2 (실습) 행렬 곱
4.3 선형 계층
4.4 (실습) 선형 계층
4.5 (실습) GPU 사용하기
4.6 마치며
9장 심층신경망 I
9.1 심층신경망
9.2 심층신경망의 학습
9.3 역전파 알고리즘의 수식
9.4 그래디언트 소실 문제
9.5 렐루
9.6 (실습) Deep Regression
9.7 마치며
10장 확률적 경사하강법
10.1 확률적 경사하강법이란?
10.2 SGD의 직관적 이해
10.3 미니배치 크기에 따른 SGD
10.4 (실습) SGD 적용하기
10.5 마치며
11장 최적화
11.1 하이퍼파라미터란?
11.2 팁 : 효율적인 연구/개발 진행 방법
11.3 적응형 학습률
11.4 적응형 학습률의 수식
11.5 (실습) 아담 옵티마이저 적용하기
11.6 마치며
12장 오버피팅을 방지하는 방법
12.1 모델 평가하기
12.2 오버피팅이란?
12.3 테스트셋 구성하기
12.4 (실습) 데이터 나누기
12.5 마치며
13장 심층신경망 II
13.1 이진 분류
13.2 평가 지표
13.3 (실습) Deep Binary Classification
13.4 심층신경망을 활용한 분류
13.5 소프트맥스 함수와 교차 엔트로피 손실 함수
13.6 다중 클래스 분류 결과 분석하기
13.7 (실습) Deep Classification
13.8 마치며
미국 스토니브룩 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2011년부터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자연어 처리 연구 개발을 시작했고, 현재는 SK텔레콤에서 초거대 언어 모델 GPT3를 활용한 개인화 챗봇과 지식 대화 모델링을 연구 개발 및 상용화하고 있다. 또한 2018년부터 패스트캠퍼스에서 자연어 처리 및 파이토치 강의를 하고 있다. 저서로 『소문난 명강의 : 김기현의 자연어 처리 딥러닝 캠프』(한빛미디어, 2019)가 있다.
미국 스토니브룩 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2011년부터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자연어 처리 연구 개발을 시작했고, 현재는 SK텔레콤에서 초거대 언어 모델 GPT3를 활용한 개인화 챗봇과 지식 대화 모델링을 연구 개발 및 상용화하고 있다. 또한 2018년부터 패스트캠퍼스에서 자연어 처리 및 파이토치 강의를 하고 있다. 저서로 『소문난 명강의 : 김기현의 자연어 처리 딥러닝 캠프』(한빛미디어, 2019)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