ㆍ1장: 유교·도가·기독교의 생태 의식 통합
ㆍ2장: '생태도(ecodao)' 개념 제안 - 기(氣), 태극(太極) 기반의 생태 신학
ㆍ3장: 창조론과 도의 대화 - 무(無), 혼돈과 질서, 음양의 신학적 통찰
Part 2. Technodao in an Age of Transhumanism and Artificial Intelligence
ㆍ4장: 트랜스휴머니즘과 죽음의 문제 - 인간적 유한성의 존엄
ㆍ5장: 유교적 인간 형성과 기술적 인간 증강의 대비
ㆍ6장: 새로운 휴머니즘 제안 - 도의 신학에 기초한 AI 시대 윤리
ㆍ7장: AI 윤리와 동아시아 지혜 통합 - 관계적 인격, 덕 윤리, 생태적 조화
Part 3. Theodao in a Global Polyphonic Age of Decolonization
ㆍ8장: 동서 신학의 대화 - 이퇴계/왕양명과 바르트/칼뱅 비교
ㆍ9장: 성서 해석의 도적 전환 - 로고스 중심에서 도(道) 중심으로
ㆍ10장: 탈식민적 지식론으로서 도의 신학 - 기 epistemology, 태극 epistemology, 여성적 지혜 강조
Part 4. Korean Cosmic Spirituality and K-Theology
ㆍ11장: 다석 유영모의 한국적 기독교 영성, ‘빈몸 되기’의 신학
ㆍ12장: “Spiritual Hiking” 번역과 해설 - 초종교적 우주 영성
ㆍ13장: 김용복의 선토피아 신학과 민중신학의 디지털 시대 확장
Appendix: Theodao in Critical Making?Retrieved
ㆍ생태, 과학, 종교 간 초기 대화의 시도들
ㆍAI 이전 시대의 신학적 선구적 논의 모음
Author
김흡영
김흡영金洽榮은 한국과학생명포럼의 대표이자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에 본부를 둔 ‘세계과학종교학술원’의 창립 정회원이며, 미국 버클리연합신학대학원(GTU)의 아시아신학 석학교수였다. 강남대학교에서 조직신학 교수로 재직했고, 한신대학교, 연세대학교, 중국 복단대학교의 초빙교수였으며, ‘아시아신학자협의회’ 공동의장과 ‘한국조직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도의 신학Ⅰ, Ⅱ』, 『현대과학과 그리스도교』, 『Wang Yang-ming and Karl Barth』, 『Christ and the Tao』,『가온 찍기』 등이 있다.
김흡영金洽榮은 한국과학생명포럼의 대표이자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에 본부를 둔 ‘세계과학종교학술원’의 창립 정회원이며, 미국 버클리연합신학대학원(GTU)의 아시아신학 석학교수였다. 강남대학교에서 조직신학 교수로 재직했고, 한신대학교, 연세대학교, 중국 복단대학교의 초빙교수였으며, ‘아시아신학자협의회’ 공동의장과 ‘한국조직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도의 신학Ⅰ, Ⅱ』, 『현대과학과 그리스도교』, 『Wang Yang-ming and Karl Barth』, 『Christ and the Tao』,『가온 찍기』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