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 두형 시인은 영어로 시를 쓴다. 그리고 그 시를 우리말로도 쓴다. 하나의 마음에서 두 개의 언어로 길어 올리는 독특한 작업을 하면서 그는 두 나라의 사람들에게 우리의 마음을 전한다
이 시집에서 언어적 실험 (language experiment)을 시도한 시들은 정상적인 구문 (syntax)을 깨뜨리고 언어를 병렬식으로 나열한 패라택시스 (parataxis)의 사용 면에 있어서 포스트모더니즘과 미국의 언어 시인(the Language Poets) 들과 연관성이 있다 할 수 있다.
이것이 의도하는 것은 너무나도 상투화된 글의 홍수에서 깨어날 수 있는 쇼크를 공급하는 것과 현대 사회에는 단순하고 안전한 로직(logic)이 통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언어의 자의성 (arbitrariness)를 통해 보여주는 것이라고. 우리말 뿐만 아니라 영어 시에도 관심이 있고 이중언어로 된 텍스트에 흥미를 느끼는 독자층이 상당히 있다고 생각하는 강두형 시인은 해외의 교포사회의 이중언어 사용자들과 한국문학을 연구하는 외국인 독자들을 생각하여 이번 영한 대역 시집을 내놓을 결심을 했다고 한다.
Contents
I. LA LYRIQUE_서정
The Ship of Ivory_상아의 배
The Hakka Boats at Aberdeen_애버딘 항구의 하카 선
A Night in Southern California: A Ballad_남가주 야곡
The Pine-Trees of the Southern Mountain_남산의 소나무
The Red Sun in the Afternoon_오후의 붉은 태양
II. L'AMOUR_사랑
Chanson d'amour_샹송다무르(戀歌)
To Parnime: A Prose Poem_파르님에게: 산문시
A ma femme_아 마 파므(나의 아내에게)
A Letter to My Dear Wife_내 아내에게 보낸 편지
She_그 여자
III. LES D?COUVERTES_발견
Hong Dongji the Hero_영웅 홍 동지
The Testament of a Young Artist_젊은 예술가의 유언
Tao道_도
The Poet in the Reed Hat: An Exercise in Interpretation
김 삿갓: 해석 문제 하나
A Lazy Day in Koreatown, in front of the Arirang Supermarket
in Garden Grove, California
한가한 어느 날 캘리포니아 코리아타운 가든그로브 아리랑마켓 앞에서 쓴 시
Reflections on "Oldboy," the Movie_올드보이에 대한 명상
Eating Live Octopus No Worse Than Cutting Open Living
Human Brain, Frying It, and Then Eating It
산 낙지를 먹는 게 살아있는 인간의 뇌를 잘라서, 프라이하고, 먹는 것 보다 나쁘지 않다
IV. LA LANGUE_언어
MetaArt_메타아트
Flashy Art_야한 예술
Pansori_판소리
0n Modern Poetry_현대시에 관하여
V. LE SOI_자아
Nihilist_니힐리스트
The Self Must First Recognize Itself as Being Foremost
자아가 먼저 자신이 우선이라고 인정해야 합니다
Oregon Notes_오레건 일기
VI. L'AME_영혼
April Lamentations_사월애가
Christ with the Crown of Thorns_가시관의 크라이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