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 트릴로지(Super Trilogy)

디지털 자산 과연 투기인가, 새로운 질서인가
$18.04
SKU
979119046260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Mon 05/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Mon 05/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4/28
Pages/Weight/Size 127*188*13mm
ISBN 9791190462600
Categories 경제 경영 > 경제
Description
디지털 자산,
기술이 아니라 구조로 읽는 시대


5,000조 원을 넘은 디지털 자산 시장. 그 안에 있는 건 단지 기술이 아니다. STO, RWA, AI, 메인넷, 거버넌스. 이 모든 키워드는 하나의 흐름, 바로 ‘권력 구조의 재편’으로 수렴된다. 『슈퍼 트릴로지』는 이 흐름을 AI·메인넷·분산 거버넌스라는 세 축으로 해부하며 “기회냐, 투기냐”라는 질문을 넘어서“ 누가 이 시장을 설계하고 있는가”를 묻는 책이다. 디지털 자산 시장은 왜 갑자기 제도권의 관심을 받고 있는가? ETF 승인, 기관투자자 유입, 커스터디 확대… 겉으로는 기술을 수용하는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국채의 신뢰가 흔들린 정부들이 새로운 투자자에게 자금을 유도하려는 전략의 일환일 수도 있다. 이 책은 그 이면을 읽는다. ‘디지털 자산이 커진 것’이 아니라, ‘기존 권력이 그 안으로 들어온 것’일 수 있다는 해석. 『슈퍼 트릴로지』는 다음을 안내한다: AI가 블록체인 거버넌스를 바꾸는 방식, 상위 10개 메인넷이 만든 역설적 중앙화 구조, STO와 RWA가 단순 기술이 아닌 제도화의 설계라는 사실, SEC, EU MiCA, 한국 금융위 등 글로벌 규제 흐름의 교차점.

개인·기업·정부가 지금 어떤 전략적 위치에 서 있는지를 판단할 근거

이 책은 기술의 매뉴얼이 아니다. 구조의 실루엣을 그려주는 지도다. 읽고 나면, 디지털 자산 시장이 더는 ‘미래’가 아니라 ‘지금 여기의 권력 공간’이라는 사실이 보이게 된다.
Contents
서문 | 3개의 힘, 하나의 미래, 글로벌 금융권력의 전환점

1. 글로벌 금융·정치 이벤트와 중앙화 vs. 분산화 흐름 … 5
2. AI 결합, 메인넷 시장의 과점 역설 … 6

1장 | 디지털 자산 시장의 현주소 - 5,000조 원과 10개 메인넷


1. “주식·부동산보다 안전한 메인넷이 있을까?” … 16
2. 상위 10개 메인넷이 시장 전체를 점유하는 역설적 풍경 … 23
3. 디지털 자산 시장의 성장과 탈중앙화의 역설 … 25

2장 | STO와 RWA: 규제 공백 속에서 움트는 거대한 잠재력


1. STO(증권형 토큰) 개념과 도입기: 블록체인판 IPO … 44
2. RWA(실물자산 토큰화)의 등장 배경 및 금융 혁신 … 47
3. 기업·투자자가 STO·RWA에 뛰어드는 이유 … 52

3장 | 글로벌 자본 이동과 미국 국채


1. 미국 국채 신용등급 강등, 매력 하락 요인 … 64
2. SEC vs. 월가, 은행과 거래소 갈등 … 66
3. 한국 파생상품 규제 경험, 국채-디지털 자산 연계 가능성 … 72

4장 | 규제 SOLID LOCK과 메인넷 선택, 정부·금융기관의 새로운 게임판


1. SOLID LOCK의 5가지 핵심 요소(S·O·L·I·D) … 83
2. 기관투자자 보안·규제·수익 모델 요구 … 89

5장 | AI와 블록체인의 융합 - 핵심 기술 인프라로의 발전


1. 블록체인 = 데이터 신뢰성/투명성 인프라 … 96
2. AI+IoT+블록체인 융합, 보안·거래·데이터 무결성 … 99
3. EigenLayer, Chainlink Functions, SingularityNET 등 사례 … 100

6장 | 거버넌스 재편: AI 관리 효율과 블록체인의 분산성


1. AI가 투표·합의 과정에 개입할 때 발생하는 변화 … 118
2. EOS·테조스·폴카닷·코스모스의 중앙화 완화 시도 … 124
3. AI 알고리즘 편향, 개인정보 보호, 윤리적 문제 … 130

7장 | 향후 시나리오와 전략 - 5,000조 시장의 다음 단계


1. STO·RWA 확산 시 자본 이동 전망 … 136
2. 3단계(베스트·베이스·워스트) 시나리오 및 실제 지표 … 144
3. 미래 거시경제·국제정세 변수와 디지털 자산 … 150

에필로그 | “슈퍼 트릴로지”가 가져올 권력 구조의 대전환

1. 중앙화 vs. 분산화의 양면성 … 154
2. AI 네트워크, 메인넷, 거버넌스 결합의 잠재력 … 158
3. 독자에게 남기는 질문과 마무리 메시지 … 159
참심층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자료나 사이트 … 165

참고·근거자료 … 166
용어사전 (Glossary) … 167
“SOLID LOCK” 개념과 기존 금융 규제·회계 원칙을 바탕으로 핵심 포인트 … 178
참고주석… 186
Author
박상민
(주)비토즈 DX사업본부, 디지털기술융합협회 이사이다. STO, RWA, AI 시각화, 블록체인 거버넌스 등 기술과 비즈니스 접점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이끌어온 디지털 전환 전문가다. 과거 비유테크놀러지 전략기획본부 이사로서 빅데이터 플랫폼, 디지털자산 거래소, 금융특화 블록체인 프로젝트 등 실물 기반 디지털 인프라 구축을 주도했다. 현재 메인넷 프로젝트 비토즈(BEATOZ)의 DX사업본부를 이끌며, 디지털 자산과 실물자산을 연결하는 딥 임베딩 전략을 추진 중이다. 그는 기술 자체보다 기술이 가져올 사회적 가치와 구조 변화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현장과 기술을 연결하는 통찰을 제공한다.
(주)비토즈 DX사업본부, 디지털기술융합협회 이사이다. STO, RWA, AI 시각화, 블록체인 거버넌스 등 기술과 비즈니스 접점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이끌어온 디지털 전환 전문가다. 과거 비유테크놀러지 전략기획본부 이사로서 빅데이터 플랫폼, 디지털자산 거래소, 금융특화 블록체인 프로젝트 등 실물 기반 디지털 인프라 구축을 주도했다. 현재 메인넷 프로젝트 비토즈(BEATOZ)의 DX사업본부를 이끌며, 디지털 자산과 실물자산을 연결하는 딥 임베딩 전략을 추진 중이다. 그는 기술 자체보다 기술이 가져올 사회적 가치와 구조 변화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현장과 기술을 연결하는 통찰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