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자 및 예비창업자의 성공을 진심으로 바라며, 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본서는 창업을 하고 있거나 창업을 준비하시는 예비창업자님과 대학생을 위한 창업경영과 법률의 기본서입니다.
창업관련 강의를 수강하고 있는 대학생 및 고등학생, 예비창업자 그리고 현장에서 실제 창업을 하고 있는 창업자들과의 멘토링을 진행하면서 실무적으로 창업자들이 어려워하거나 궁금해 하고, 필요로 하는 사항 등을 기반으로 쉽게 실무적 접근을 할 수 있도록 창업경영과 법률에 대한 내용을 총 정리하였습니다.
급변하는 시장 속에 새로운 아이템을 찾아 창업을 하고 싶지만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을 하여야할지 모르는 창업자에게 쉽게 창업에 대한 프로세스를 설명 및 정립시켜 줄 것입니다.
경영학을 법학을 전공하지 않았다고 하여 창업을 못하는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시작부터 겁을 먹는 것은 이미 창업을 할 준비와 자세가 되어있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맞습니다. 창업의 성공은 정말 어려운 것이며 사막에서 바늘을 찾는 것과 같습니다. 때론 시간과 비용만을 버렸다고도 생각될 수 있지만 그렇다고 내가 생각하는 미래를 내가 생각하는 아이템을 그냥 버린다는 것 또한 향후 후회로 남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사회에 진출하기 전, 회사에 입사하기 전, 지원 사업에 참여하기 전 등 창업은 본인의 사업적 소질과 판단능력, 의사결정을 경험해 볼 수 있는 기회이며, 소자본의 창업 등을 시작해봄으로써 더욱 더 단단해져 있는 자신을 찾아 낼 수 있는 또 하나의 기회가 될 것입니다.
본서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의 실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해주기 위해 작성되었고, 현장의 전문가와 창업을 경험해본 교수진들이 함께 작성한 교재입니다.
창업 과연 경영만 잘 한다고 성공할 수 있을까요? 창업자와 예비창업자는 창업을 시작하기 전과 시작한 후에 창업의 Risk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창업에 관한 법률을 한번 정도는 기본적으로 읽어보고 이해함으로써 창업 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본서는 창업자 및 예비창업자에게 기본적인 창업경영과 법률에 관한 소양을 간략하게나마 소개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하였으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개정을 통한 창업경영과 법률의 바이블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Contents
제1편 창업경영
들어가며 22
제1장 창업의 기초 24
1. 창업의 기초배경 24
(1) 정의 24
(2) 창업자 및 사업개시일 기준 24
(3) 창업범위 26
2. 한국표준산업분류의 이해 27
(1) 대분류별 주요개정 내용정리 27
(2) 개정에 따른 분류구조별 항목 수 및 분류구조의 이해 33
3. 창업범위 제외 업종 36
4. 한국표준산업분류 검색방법 37
5. 창업의 기본적 요소 42
(1) 창업의 기본적 필요요소 42
(2) 문제점 43
6. 창업진행방법 44
(1) 직접창업 44
(2) 지원화 창업 44
7. 창업유형 46
(1) 프랜차이즈 47
(2) 무점포 창업 47
(3) 일반적 창업 47
(4) 벤처창업 48
(5) 소호창업 48
8. 창업적성검사 49
제2장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 52
1. 기업가정신의 유래 52
2. 기업가정신의 출연 및 중요성 53
3. 기업가의 필요 능력 53
(1) 승부욕 53
(2) 인내심 54
(3) 네트워크 능력 54
(4) 애사심 54
(5) 인성 55
(6) 소통 55
(7) 전문가 55
(8) 의사결정 55
(9) 대책방안능력 56
(10) 책임감 56
(11) 선택과 집중 56
4. BAD기업가 유형과 개선방향 57
(1) 나홀로형 57
(2) 완벽주의자형 57
(3) 마음대로형 58
(4) 즉흥형 58
(5) 무조건형 59
(6) 잘난체형 59
(7) 다혈질형 59
(8) 나폴레옹형 60
5. 기업가정신의 CASE 60
(1) 현대 故정주영 회장 60
(2) GS 허창수 회장 61
(3) 삼성 故이병철 회장 61
(4) 빌게이츠의 성공 10계명 62
(5) 스티브잡스의 성공 10계명 64
(6) 창업자 모아콘텐츠(주) 김명석 대표 66
(7) 창업자 ㈜이엔이 고성호 대표 67
제3장 창업아이템선정 프로세스 69
1. Item 발굴 69
2. Item 선정을 위한 분석(정보수집) 70
(1) 분석을 위한 질문의 예 70
(2) 자료수집의 방법 70
3. 시장분석의 방법 71
(1) 선행조건 및 조사내용 71
(2) 조사방법 71
(3) 조사목적 71
4. 비즈니스모델(Business Model) 정립 Tool 73
(1) 린 스타트업(Lean Startup) 73
(2) 비즈니스모델 캔버스(BM Canvas) 76
제4장 마케팅 79
1. 마케팅의 개념 79
(1) 정의 79
(2) 전반적인 프로세스 80
2. BCG매트릭스 81
(1) 개념 81
(2) 해당 사업영역의 의미 82
(3) 창업적용 83
3. SWOT 83
(1) 개념 83
(2) SWOT분석에 의한 전략수립 절차 83
(3) 분석을 위한 체크리스트 84
(4) SWOT분석에 따른 대책방안 및 전략수립 86
4. STP 전략 87
(1) 개념 87
(2) 시장세분화 88
(3) 표적시장 89
(4) 포지셔닝 90
5. 4P+3P(마케팅믹스) 91
(1) 정의 91
(2) 생산전략 92
(3) 가격전략 92
(4) 유통경로전략 92
(5) 촉진전략 93
(6) 유형적 증거 93
(7) 사람 94
(8) 프로세스 94
6. 손익분기점 95
(1) 개념 95
(2) 손익분기점 관련 공식 96
제5장 자금조달 및 창업지원자금제도 97
1. 기업성장단계와 투자자 유형 97
2. 자금조달_엔젤투자 VS 벤처캐피탈 98
(1) 엔젤투자와 벤처캐피탈 비교 98
(2) 엔젤투자(Angel Investor)의 개념 99
(3) 벤처캐피탈(Venture Capital: VC)의 개념 99
3. 주요 창업지원자금제도 100
(1) 창업기업지원 자금 100
(2) 청년창업전용 자금 101
(3) 청년창업 특례 보증 101
(4) 예비창업자 사전보증 102
제6장 사업계획서 및 투자계획서 104
1. 사업계획서의 의의 105
2. 투자계획서의 의의 106
3. 사업계획서의 핵심요소 106
(1) 아이디어 106
(2) 사람 107
(3) 기술 107
(4) 자금 107
(5) 시장 107
4. 사업계획서 작성원칙 108
(1) 간단·명료 108
(2) 객관적 입증 108
(3) 차별성 108
(4) 일관성 109
(5) 창업자의 의지 109
(6) 투명성 109
5. 사업계획서의 핵심구성 110
6. 실제 사업(투자)계획서 샘플 111
(1) 주식회사 모아콘텐츠 사업(투자)계획서 샘플 112
(2) 주식회사 이엔이 사업(투자)계획서 샘플 140
7. 기관 사업계획서 샘플 156
(1) “창업아이템 사업화” 신청서 및 사업계획서 156
(2) “창업맞춤형사업” 신청서 및 사업계획서 166
(3) “청년창업사관학교 입교” 신청서 및 사업계획서 179
(4) “선도벤처연계 창업지원사업” 신청서 및 사업계획서 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