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 시대는 다시 올까?
금리가 떨어지면 부동산이 오를까?
주식과 코인, 지금 사도 될까?
예금과 적금으로 돈을 모을 수 있을까?
예측할 수 없다는 전제하에
재테크를 리테크하라
Reset 자산 구성을 재설정하라
Remind 돈의 원리를 상기하라
Restart 재테크 시스템을 재가동하라
언젠가는 오른다
바닥을 확인하면서 준비하라
불확실한 경제, 확실한 재테크는 무엇인가?
“대규모 경기부양에도 물가 걱정은 없을 것이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폴 크루그먼의 말이었다. 그를 비롯한 저명한 경제학자들과 전문가들은 돈을 마구 풀어서 부동산과 주가는 올라도 물가는 오르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의 주장은 팬데믹 시기에 각국 정부가 경기부양을 위해 양적 완화를 시도하는 근거가 되었다. 2008년에 풀린 3조 달러 중 1조 달러도 회수하지 못한 상태에서 코로나19 이후 8조 달러 이상을 쏟아붓고도 인플레이션 우려는 없다고 했던 그들의 예측은 무참히 깨졌다.
자산시장이 과열된 상황에서 물가가 급등하자 FRB(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경기 침체를 감수하더라도 고물가는 잡아야 한다면서 급격하게 금리를 올리기 시작했다. 수많은 자이언트 스텝(0.75%p 인상)을 밟으며 급격한 금리 인상이 몰고 온 킹달러 현상은 세계 경제를 흔들었다. 기준금리 인상은 곧바로 부동산과 주식 시장에 영향을 미쳤다. 끊임없이 오를 것 같던 부동산과 주가가 하락세로 돌아섰다. 대출을 통한 레버리지로 투자에 나섰던 사람들은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으로 더 많은 지출을 감수해야 했다. 월급이 인상되더라도 물가 상승을 감안하면 실질적으로 월급이 깎인 것이나 다름없다. 기본적인 생활에 많은 비용이 지출되면서 재테크를 위한 현금이 줄어들었다. 더불어 재테크를 해서 내 집 마련을 하고 노후를 준비하겠다는 계획도 불확실해졌다.
자산 가격은 떨어지고 금리는 올라가는 상황에서 나의 자산 포트폴리오는 갈 곳을 잃었다. 부동산을 사야 할지 팔아야 할지, 주식을 팔고 은행이자를 받는 것이 이득인지, 비트코인은 앞으로 어떻게 될지 예측할 수 없다. 프로그램이 작동을 멈췄을 때는 리셋해야 하듯이, 자산시장이 멈췄을 때는 처음부터 다시 점검해야 한다. 재테크 상식을 다시 일깨우고, 원칙을 다시 세우고, 자산 회복을 기다려야 한다. 바로 재테크의 리테크가 필요한 시점이다.
Contents
prologue_급변하고, 불확실하고, 복잡하고, 모호한 시대의 재테크
제1장 나의 재테크, 이것만은 알고 리셋하라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도 예측하지 못한 불황
영끌족들은 영원히 오를 줄 알았다
오를지 내릴지는 오직 신만이 안다
50 대 50 확률에서 어느 쪽을 선택할 것인가?
불황 없는 경제에 모든 것을 걸었던 케인스
정부는 내 자산을 지켜주지 않는다
장밋빛 전망을 믿으면 호구가 될 뿐이다
떨어지는 그래프가 언제 다시 상승할까?
미국의 기준금리, 언제까지 오를까?
인구가 줄어들면 내 자산도 줄어든다?
내가 팔면 떨어지고 사면 오르는 타이밍
제2장 재테크의 핵심, 돈의 원리를 리마인드하라
문제는 돈의 양이 아닌 가격, 즉 금리
일하지 않고 재테크만으로 먹고살 수 있었던 시대
물가가 오르면 금리도 오른다
종이돈이 사라지면 돈의 가치는 어떻게 될까?
금리를 내려도 부동산과 주식이 오르지 않을 때
제로금리 시대가 다시 올 수 있을까?
달러가 불안할수록 금이 오른다
킹달러, 대안이 없다
비트코인의 폭등, 다시 올까?
스테이블 코인은 달러를 업고 갈 수 있을까?
제3장 0.1퍼센트까지 은행이 숨겨둔 금리를 되찾아라
현금 보유는 언제나 옳다?
100달러를 벌기보다 1달러 현금을 지켜라
1퍼센트라도 높은 금리에 분산투자하라
모든 은행이 안전한 것은 아니다
적금은 곧 종잣돈이다
MMF, MMDA, 알뜰한 이자 수익
은행은 내 돈으로 돈을 벌어서 이자를 준다
대출을 할 때는 최악의 경우를 생각하라
주식보다 채권시장을 알아야 하는 이유
금리와 채권은 반대로 움직인다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정크본드
보험, 내가 위험할 때만 이익이 발생한다
연금보험 연금저축, 돈을 쓰지 못하게 하는 효과
들어야 할 보험, 고민해야 할 보험
화폐 발행, 돈으로 할 수 있는 최고의 재테크
제4장 부동산 떨어질 때 리바이벌을 대비하라
집값은 금리의 5배로 하락한다
영원히 오르지 않듯 영원히 떨어지지는 않는다
바닥을 확인하면서 준비하라
부동산 투자, 더 깊이 파고들어라
분양가에 숨어 있는 먹이사슬
세금을 무시하면 아무것도 안 남는다
양도세가 만든 똘똘한 한 채
상가의 세금엔 자비가 없다
사람들이 관심 없는 곳에 시세차익이 있다
부동산 불패 신화, 앞으로도 계속될까?
금리가 떨어지면 부동산이 오를까?
수익형 부동산은 금리와 공실을 따져봐라
전세가 좋을까, 월세가 좋을까?
경매는 절대 성급하게 뛰어들지 마라
재건축 규제 완화를 눈여겨봐라
토지 투자는 장기적으로 바라보자
제5장 속절없는 주식, 장기적으로 리커버하라
시중에 돈을 줄이면 주가는 떨어진다
출렁이는 주가에는 이유가 없다
주가 예측은 불가능하다는 전제하에 움직이자
하락할 때마다 조금씩 분산 매수하라
지금은 비관적인 매수자가 되어라
주식을 매수하고 나면 그냥 잊어라
지금은 안전한 투자가 답이다
주식시장에서 호구가 되지 않으려면?
우상향의 착각을 만드는 주가지수
우량기업은 우상향할 가능성이 높다
제6장 지금부터 다시 시작하는 재테크 10계명
| 제1계명 | 리스크를 우습게 보지 마라
| 제2계명 | 불행한 부자가 되어서는 안 된다
| 제3계명 | 예측은 틀릴 가능성이 무조건 50퍼센트다
| 제4계명 | 아는 만큼만 투자하라
| 제5계명 | 세상은 철저한 기브 앤 테이크
| 제6계명 | 재테크 시장도 경쟁이 치열하다
| 제7계명 | 재미있게 할 수 있는 재테크를 찾아라
| 제8계명 | 재테크의 운은 인간관계다
| 제9계명 | 편법은 반드시 부메랑으로 돌아온다
| 제10계명 | 중요한 것은 흔들리지 않는 마음이다
Author
장순욱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했다. 경제를 몰라 세상이 답답하고 취직이 걱정돼 제대 후 경제학 공부를 시작했고, 내친김에 영국 뉴캐슬 대학교에서 국제금융을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경제신문과 스포츠투데이를 거쳐 중앙일보 NIE면 담당 기자와 팀장으로 일했다. 기자 시절부터 실물경제와 재테크의 다양한 면을 추적해왔고, 이를 바탕으로 《푼돈의 경제학》, 《부자들의 상상력》, 《하룻밤에 읽는 경제》, 《불황의 경제학》, 《시간과 균형》 등 여러 책을 썼다. MBC, SBS, YTN, CBS, KTV 등에서 경제평론가로 활동했으며, 현재 미국 뉴욕과 한국을 오가며 세계경제를 탐색하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했다. 경제를 몰라 세상이 답답하고 취직이 걱정돼 제대 후 경제학 공부를 시작했고, 내친김에 영국 뉴캐슬 대학교에서 국제금융을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경제신문과 스포츠투데이를 거쳐 중앙일보 NIE면 담당 기자와 팀장으로 일했다. 기자 시절부터 실물경제와 재테크의 다양한 면을 추적해왔고, 이를 바탕으로 《푼돈의 경제학》, 《부자들의 상상력》, 《하룻밤에 읽는 경제》, 《불황의 경제학》, 《시간과 균형》 등 여러 책을 썼다. MBC, SBS, YTN, CBS, KTV 등에서 경제평론가로 활동했으며, 현재 미국 뉴욕과 한국을 오가며 세계경제를 탐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