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의 시각화는 통계적 처리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관심 있는 자료에 대한 직관적 이해는 전문적인 분석가뿐만 아니라 누구에게나 필요하다. 이러한 직관적 이해는 컴퓨터와 통계적 도구의 발달로 인해 더욱 편리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 많은 발전이 기대되고 있다.
이 책에서는 자료 시각화를 위하여 누구나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통계적 도구인 R을 사용하였으며, 그중에서도 패키지 ggplot2와 plotly를 사용한 시각화에 집중하였다. 1장에서는 R의 기본 기능과 간단한 시각화를 살펴보고, 2장에서는 그래픽 패키지 중 하나인 ggplot2를 활용한 시각화 기법을, 3장에서는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동적 그래프를 다루는 패키지 plotly를 활용한 시각화 기법들을, 4장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의 핵심이 되는 지도에 대한 부분을 다루었으며, 5장에서는 통계적 분석의 기초가 되는 확률분포들의 그래프 및 중심극한정리를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오류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였지만 미비한 부분들이 나올 수 있다. 이런 부분들은 계속하여 보완하고 수정할 것이며, 책의 보완점이나 출간 후 나올 수 있는 수정사항 등은 자유아카데미 홈페이지(www.freeaca.com) 자료실에 제공할 예정이다. 아래의 참고사이트는 시각화 샘플들이 나와 있는 곳으로, 다양한 시각화를 경험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니 참고하기를 바란다.
끝으로, 이 책의 출판에 즈음하여 적극적인 지원을 해준 모든 분들과 자유아카데미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를 드린다. 아무쪼록 이 책을 공부하는 모든 분들이 R의 유용한 패키지들을 활용하여 자료들을 시각화하고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참고 사이트:
1. https://www.rstudio.com/resources/cheatsheets/
2. https://www.statmethods.net/graphs/index.html
3. https://plot.ly/r/
Contents
[1장 자료 처리]
01 자료의 생성 및 도수분포표
02 그래프를 이용한 자료의 요약
2.1 막대그래프
2.2 원형그래프
2.3 줄기-잎 그림
2.4 점도표
2.5 히스토그램
03 자료의 수치적 요약
04 그래프 및 수치를 이용한 자료의 복합적 요약
4.1 상자그림
4.2 상자그림과 히스토그램을 동시에 그리기
4.3 도수다각형
4.4 확률밀도함수
05 다변량 자료의 요약
5.1 표를 이용한 자료의 요약
5.2 그래프를 이용한 자료의 요약
06 격자그림
6.1 히스토그램
6.2 상자그림
6.3 산점도
6.4 3차원 산점도
6.5 산점도행렬
07 특정 패키지의 존폐 여부 및 종료된 패키지 설치 방법
[2장 ggplot2 활용 자료 시각화]
01 함수 qplot( )
02 함수 ggplot( )
2.1 막대그래프
2.2 선그래프
2.3 히스토그램 및 밀도그래프
2.4 점도표
2.5 상자그림
2.6 바이올린 그래프
2.7 산점도
2.8 부분도
2.9 평행좌표그래프
2.10 막대사탕 차트
2.11 원형 막대그래프
2.12 방사형그래프
2.13 벤 다이어그램
[3장 plotly를 활용한 동적 그래프]
01 기본 그래프
1.1 첫 걸음
1.2 산점도
1.3 선그래프
1.4 막대그래프
1.5 원그래프
1.6 버블 차트
1.7 영역 채우기
1.8 간트 차트
1.9 다중 차트
1.10 점도표
1.11 아령 그래프
1.12 게이지 차트
02 통계적 그래프
2.1 오차막대
2.2 상자그림
2.3 히스토그램
2.4 2차원 히스토그램
2.5 2차원 히스토그램 외곽선
2.6 바이올린 그래프
2.7 SPLOM
03 3D 그래프
3.1 3차원 산점도
3.2 3차원 선그래프
3.3 3차원 표면그래프
3.4 3차원 망 그림
04 세부 그래프
4.1 다중 축
4.2 세부 그래프
4.3 그림 넣기
4.4 3차원
4.5 지도의 세부그래프
05 그래프 조정 도구 추가
5.1 버튼 추가
5.2 자료의 다양한 표현
5.3 범위 슬라이드와 선택 버튼
5.4 슬라이더
06 애니메이션
6.1 기본적인 애니메이션
6.2 누적 애니메이션
[4장 지도]
01 R에서 제공되는 지도자료를 이용하여 지도 그리기
1.1 패키지 ggplot2의 함수 map_data( )를 이용하여 지도그리기
1.2 패키지 ggplot2와 rnaturalearth를 이용하여 지도 그리기
1.3 패키지 ggplot2와 패키지 rworldmap를 이용하여 지도 그리기
1.4 패키지 raster의 함수 “getData()”를 이용하여 지도 그리기
02 법정동 코드와 행정구역 코드 일원화를 위한 자료
03 대한민국 지도 그리기
3.1 패키지 sf의 함수 st_read( )를 이용하여 지도 그리기
3.2 패키지 raster의 함수 shapefile( )를 이용하여 지도 그리기
04 google 이용 지도 그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