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여는 가치 중심의 프로젝트(PBL) 수업

쉽게 읽히는 프로젝트 수업 중독자들의 이야기
$19.44
SKU
979118674245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1/24 - Thu 01/3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1/21 - Thu 01/2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11/15
ISBN 9791186742457
Categories 사회 정치 > 교육
Description
2018년부터 경인교대부설초등학교 동료교사 7명이 자발적으로 조직한 ‘크레파스 수업연구회’가 4년간 연구해 온 프로젝트 수업 노하우를 이 한 권에 담았습니다. 메타버스와 인공지능의 시대, 학생들에게 단편적인 지식만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바라보고 세상과 함께 살아갈 힘을 키워주기 위한 선생님들의 고민에 공감하고 감동할 것입니다.

-이 책의 강조점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어떻게 설계하고 프로젝트 수업을 어떻게 실행하면 좋을까요?
1. 가장 먼저 교사의 철학을 담은 ‘가치’를 선정하고
2.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상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3. 빅아이디어를 통해 ‘주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설계합니다.
4. 프로젝트 수업에서는 ‘질문’으로 학생의 의욕을 자극하고,
5. 다양하고 효과적인 ‘탐구’를 통해 학생의 성장을 확인하고
6. 모든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과정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지며
7. 결국 최종의 ‘결과물’은 프로젝트 수업의 의미를 더해줍니다.

이 책은 프로젝트 설계, 실행에서 위의 7가지를 어떻게 해야할 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 줍니다.
Contents
저자의 말 4

1. PBL 준비

1-1 의욕
1-1 의욕(意欲, Motivation) 18
가. 미네르바 스쿨이 우리와 다른 점 18
나. 배움에 대한 의욕을 자극하기 20
다. 질문으로 의욕 자극하기 22

1-2 열정
1-2 열정(熱情, Passion) 25
가. 교사는 교육전문가 25
나. 열정만 요구되는 교사 27
다. 우리의 열정을 가로막는 것 29
라. 열정 가득한 교육 동지들이 함께하기를 꿈꾸며 30

1-3 신뢰
1-3 신뢰(信賴, Trust) 32
가. 학부모의 교육적 역할 33
나. 학부모의 신뢰와 지지 얻기 35
다. 학부모와의 간격 좁히기 37

2. PBL 이해

2-1 정의
2-1 정의(定義, Definition) 44
가. 프로젝트의 도입과 변화 44
나. 프로젝트의 주체 47
다. 프로젝트에서 교과를 통합하는 이유 50
라. 주제를 중심으로 한 프로젝트 교육과정 53

2-2 구분
2-2 구분(區分, Division) 56
가. 프로젝트 학습 vs 프로젝트 수업 56
나. 프로젝트 기반 학습 vs 문제 기반 학습 57
다. 우리 프로젝트의 다른 점 59

2-3 요건
2-3 요건(要件, Requirement) 63
가. 학습 의욕을 자극하는 질문 65
나. 지속적이며 협력이 있는 탐구 66
다. 생활 관련성과 미래 지향성 70
라. 학생의 자주적인 의사와 자율적인 선택 72
마. 과정의 성찰, 성장의 확인 75
바. 적절한 비평과 개선 77
사. 공개할 결과물 79

2-4 제한
2-4 제한(制限, Restriction) 82
가. 학급 교육과정 vs 프로젝트 교육과정 82
나. 학급 교육과정=프로젝트 교육과정 84
다. 이 책의 기획 설명 86

3. PBL 설계

3-1 가치
3-1 가치(價値, Value) 90
가. 프로젝트에 가치 담기 90
나. 가치의 의미 96
다. 학급 교육과정의 운영관 99
라. 가치 프로젝트 교육과정 탄생 102
마. 가치를 담은 학급 교육과정
운영관의 예시 103

3-2 성취기준
3-2 성취기준(成就基準, Achievement Standard) 106
가. 가치와 성취기준 연결하기 106
나. 교과 간의 성취기준 통합하기 108
다. 빅 아이디어로 주제 만들기 111
라. 프로젝트를 통한 잠재적
교육과정의 힘 117

3-3 주제 119
3-3 주제(主題, Subjec) 120
가. 주제 중심의 가치 프로젝트 120
나. IB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122
라. 소주제로 흐름 다듬기 128
마. 세부 활동 계획 세우기 131

4. PBL 실행

4-1 질문
4-1 질문(質問, Question) 136
가. 의욕(관심)을 자극하는 질문 136
나. 질문의 힘! 140
다. 교육과정 속에서의 질문 142
라. 탐구 질문과 핵심 질문 143
마. 탐구 질문 디자인 145
바. 핵심 질문 디자인 146

4-2 탐구
4-2 탐구(探究, Inquiry) 150
가. 탐구 주체 152
나. 탐구 대상과 내용 158
다. 탐구 방법 162

4-3 결과(산출물)
4-3 결과(산출물) 169
가. 결과(산출물)의 의미 169
나. 결과(산출물)의 중요성 171
다. 결과(산출물)의 구성 176
라. 프로젝트 결과(산출물)의 형태 179
마. 결과(산출물)의 계획 181

4-4 평가
4-4 평가(評價, Assessment) 185
가. 좁은 의미의 평가 185
나. 평가의 궁극적인 이유 187
다. 과정 중심의 평가 190
라. 평가 방법과 주의사항 193
마. 과정 중심 평가 계획의 예시 200

5. PBL 사례

5-1 사례
이경윤 선생님의
1학년 2학기 네 번째 프로젝트대주제: 평화로운 우리나라 205
가. 우리 학급의 가치 205
나. 교육과정 성취기준 207
다. 대주제와 소주제 208
라. 탐구 질문 212
마. 탐구 과정 212
바. 결과(산출물) 214
사. 과정 중심의 평가 215

신성진 선생님의
2학년 2학기 세 번째 프로젝트대주제: 함께 만드는 아름다운 세상 218
가. 우리 학급의 가치 218
나. 성취기준 220
다. 대주제와 소주제 221
라. 탐구 질문 224
마. 탐구 과정 225
바. 결과(산출물) 226
사. 과정 중심의 평가 228

문석현 선생님의 3학년 1학기
세 번째 프로젝트대주제: 내가 살아갈 행복한 미래 230
가. 우리 학급의 가치 230
나. 교육과정 성취기준 232
다. 대주제와 소주제 233
라. 탐구 질문 236
마. 탐구 과정 237
바. 결과(산출물) 239
사. 과정 중심의 평가 241
가. 우리 학급의 가치 243

우희석 선생님의 4학년 1학기
첫 번째 프로젝트대주제: 모두 함께 행복한 마을 디자인 243
나. 교육과정 성취기준 244
다. 대주제와 소주제 246
라. 탐구 질문 249
마. 탐구 과정 250
바. 결과(산출물) 252
사. 과정 중심의 평가 254

서정보 선생님의 5학년 2학기
첫 번째 프로젝트대주제: MIRAE 역량으로 溫故知新하기 256
가. 우리 학급의 가치 256
나. 교육과정 성취기준 257
다. 대주제와 소주제 259
라. 탐구 질문 264
마. 탐구 과정 265
바. 결과(산출물) 266
사. 과정 중심의 평가 269

공영재 선생님의 6학년 2학기
두 번째 프로젝트대주제: 세계시민의 평화와 발전 272
가. 우리 학급의 가치 272
나. 교육과정 성취기준 274
다. 대주제와 소주제 276
라. 탐구 질문 280
마. 탐구 과정 281
바. 결과(산출물) 283
사. 과정 중심의 평가 289

부록
지역 문제 해결 공공 디자인 제안 292
학교 공간혁신 디자인 298
프로젝트 학습 발표회 302
지속가능 실천 발표와 전시 305
인권: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308
종합정리 세트! 테마 조회 311
또 다른 평가; 프로젝트 결과통지서 314
지역 문제 해결 공공 디자인 제안 314

참고문헌 319
Author
시동국,서정보,공영재,신성진,우희석,이경윤,문석현
現 경인교육대학교부설초등학교 교사, 교육학석사
자연스러운 토의토론, 스스로 하는 플립 러닝,
함께 행복한 교실 놀이 연구
크레파스 대표, 미래 예비교사 및 교원 임용시험 지도 등 활동
바른인성교육 실천사례 발표, 수업연구대회 등 다수 입상
現 경인교육대학교부설초등학교 교사, 교육학석사
자연스러운 토의토론, 스스로 하는 플립 러닝,
함께 행복한 교실 놀이 연구
크레파스 대표, 미래 예비교사 및 교원 임용시험 지도 등 활동
바른인성교육 실천사례 발표, 수업연구대회 등 다수 입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