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PL의 정석
부실채권의 기본원리부터 실전투자까지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13 - Mon 05/1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8 - Mon 05/1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4/04/15
Pages/Weight/Size
188*257*30mm
ISBN
9791155421086
Description
부실채권 실전투자를 위한 기본원리서.
아무리 부실채권시장이 변해도 변하지 않는 것이 한 가지 있다. 부실채권의 기본원리이다. 이 책은 부실채권의 기본원리가 무엇인지를 독자들에게 심도 있게 설명하는데 중점을 뒀다.
또한 이 책은 부실채권을 채권거래라는 시장의 관점에서 1차, 2차, 3차 시장으로 분류하고, 구두상품권 이론, 금융기관의 채권매각 원리, 채권행사권리금액 계산방법, 채권거래의 3자 원리, 채권양도계약 3방식의 진행과정과 현금흐름표, 비용계산, 차액보전이론 등을 통해 실무와 이론을 접목시켰다는 데 다른 NPL 서적들과 가장 큰 차이점이 있다.
Contents
제1부 부실채권 일반론 19
제1장 부실채권의 흐름도 20
제2장 부실채권의 의의 22
제1절 부실채권의 개념
Ⅰ. 일반적 부실채권 | Ⅱ. 실정법 부실채권
제2절 부실채권개념 이해하기
Ⅰ. NPL이란? | Ⅱ. 저당권은 물권인가? 채권인가? | Ⅲ. 부실채권개념 이해하기
제3장 부실채권의 종류 31
Ⅰ. 특별채권 | Ⅱ. 워크아웃채권 | Ⅲ. 일반채권 | Ⅳ. 채무자 채무개선 채권
제4장 부실채권을 연구하는 이유 39
Ⅰ. 사례연구 1 | Ⅱ. 사례연구 2 | Ⅲ. 론세일(부실채권)의 구조 |
Ⅳ. 부실채권 이해하기(구두상품권) | Ⅴ. 부실채권의 장·단점
제5장 부실채권의 구조 50
Ⅰ. 부실채권의 위치 | Ⅱ. 부실채권의 구조
제2부 부실채권매각사유와 부실채권시장의 규모 55
제1장 부실채권의 발생과 매각 56
제1절 부실채권의 발생원인
Ⅰ. 내부적 요인 | Ⅱ. 외부적 요인 | Ⅲ. 대외적 요인
제2절 부실채권의 매각이유
Ⅰ. 내부적요인 | Ⅱ. 외부적요인
제3절 부실채권 매각의 장·단점
Ⅰ. 부실채권 매각의 장점 | Ⅱ. 부실채권 매각의 단점
제4절 부실채권의 정리방법
Ⅰ. 국제입찰 | Ⅱ. 자산담보부증권(NPL ABS) 발행
Ⅲ. 자산관리회사(AMC)의 합작 설립 | Ⅳ. PEF, CRV로 매각 | Ⅴ. 채권의 개별매각
제2장 부실채권시장 66
제1절 부실채권시장의 의의
Ⅰ. 부실채권시장의 개념 | Ⅱ. 부실채권거래시장의 분류
제2절 부실채권시장의 발전단계
Ⅰ. 부실채권시장의 발전단계 | Ⅱ. 부실채권정리제도
제3절 부실채권시장의 특징
제4절 부실채권시장의 규모
Ⅰ. 부실채권의 규모 | Ⅱ. 부실채권비율 |
Ⅲ. BIS 자기자본비율 | Ⅳ. 기업결산시기와 영업이익 규모
제3부 제1차 부실채권시장 87
제1장 부실채권 1차시장의 의의 88
Ⅰ. 1차 부실채권시장의 개념 | Ⅱ. 1차 부실채권시장의 흐름도
제2장 부실채권의 유통시장 90
제1절 부실채권의 매각방법
Ⅰ. 부실채권 매각방법 | Ⅱ. 매각방식별 SPC설립 여부 및 설립주체
제2절 국제입찰방식
Ⅰ. 채권양도 형태에 따른 분류 | Ⅱ. 채권매각절차 |
Ⅲ. 매각대금의 지급방법 | Ⅳ. 국제입찰 추진일정표
제3절 NPL ABS방법
Ⅰ. NPL ABS방식 | Ⅱ. 자산유동화의 의의 | Ⅲ. 자산유동화의 참여자 |
Ⅳ. 자산실사방법 | Ⅴ. 자산유동화증권의 발행절차 |
Ⅵ. 자산유동화 작업순서 | Ⅶ. 자산유동화제도의 도입과 발전과정 |
Ⅷ. 자산유동화증권(ABS)의 의의
제4절 PEF, CRV로 매각방식
Ⅰ. 기업구조개선 사모전문투자회사(PEF: Private Equity Fund)
Ⅱ. 기업구조조정투자회사(CRV: Corporate Restructuring Vehicle)
제5절 개별매각
제3장 자산유동화전문유한회사 127
제1절 SPC
Ⅰ. SPC의 의의 | Ⅱ. SPC의 종류 | Ⅲ. SPC의 구조(부동산유동화)
제2절 자산유동화전문유한회사
Ⅰ. 자산유동화전문회사의 의의 | Ⅱ. 자산유동화전문회사의 설립요건 |
Ⅲ. 자산유동화전문회사의 조직 | Ⅳ. 자산유동화전문회사의 업무범위 |
Ⅴ. 자산유동화전문회사의 해산 등
제3절 자산관리회사(AMC)
Ⅰ.자산관리회사의 개념 | Ⅱ. 자산관리회사의 업무분화 |
Ⅲ. 자산관리회사의 조직과 채권회수 | Ⅳ. 자산관리회사의 형태
제4부 제2차 부실채권시장 143
제1장 부실채권 2차시장의 의의 144
Ⅰ. 2차 부실채권시장의 개념 | Ⅱ. 2차 부실채권시장의 흐름도
제2장 부실채권은 어디에 가면 구입할 수 있나요? 146
제1절 부실채권을 개인도 직접 구입 할 수 있나요?
Ⅰ. 제1금융기관 | Ⅱ. 저축은행 | Ⅲ. 농협, 수협 | Ⅳ. 신협 |
Ⅴ. 새마을금고 | Ⅵ. 외국계 은행 | Ⅶ. 유동화전문유한회사
제2절 부실채권은 어디에 가면 구입할 수 있나요?
Ⅰ. 저축은행, 신협, 새마을금고
Ⅱ. 농협자산관리회사
Ⅲ. 유동화전문유한회사
1. 매각방식별 SPC설립 여부 및 설립주체 / 2. 자산관리위탁자 찾는 방법 /
3. 투자자와 SPC 및 자산관리위탁회사 관계
Ⅳ. 기타 자산관리회사
제3절 부실채권은 어느 시점에 사야 하나요?
Ⅰ, 경매호가구조 | Ⅱ, 초기에 채권매입과 채권매각가격
제4절 부실채권을 얼마에 살 수 있나요?
Ⅰ, OO은행의 매각채권 POOL 구성내역
Ⅱ, 채권매각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제3장 채권행사권리금액 173
제1절 채권행사권리금액의 의의
Ⅰ. 채권행사권리금액의 개념 | Ⅱ. 채권행사권리금액의 중요성 |
Ⅲ. 채권행사권리금액의 구성요소
제2절 채권행사권리금액 계산방법
Ⅰ. 채권행사권리금액의 계산순서 | Ⅱ. 사례물건
제3절 채권행사권리금액 계산하기
Ⅰ. 채권원금을 예측 가능한 경우
Ⅱ. 채권원금 일부변제가 이루어진 경우
Ⅲ. 채권최고액을 120% 또는 130%로 나누어도 소수점이 발생하는 경우
Ⅳ. 외환대출채권의 채권행사권리금액 계산방법
제4절 채권행사권리금액의 위치
제4장 NPL 투자의 형태 192
제1절 투자자배당
Ⅰ. 투자자배당의 의의 | Ⅱ. 배당채권의 종류 | Ⅲ. 개인채권자의 배당채권
Ⅳ. 안정적 배당채권(Loan cap) | Ⅴ. 안정적 배당채권(Mortgage cap) |
Ⅵ. 불안정적배당채권
제2절 투자자유입
Ⅰ. 투자자유입 | Ⅱ. NPL 유입에 부적합한 채권 | Ⅲ. NPL 유입에 적합한 채권
Ⅳ. 배당과 유입을 선택할 수 있는 채권 | Ⅴ. 단기투자목적 유입채권 |
Ⅵ. 투자자유입과 제2순위 채권매입
제5장 부실채권과 3자 원리 214
제1절 배당채권과 유입채권 비교
제2절 부실채권의 3자 원리
Ⅰ. 배당과 유입의 원리 | Ⅱ. 사례물건의 전제조건 |
Ⅲ. 사례자료 분석 | Ⅳ. 채권의 원리
제6장 부실채권 매각방식 227
제1절 론세일방식
Ⅰ. 론세일방식의 의의 | Ⅱ. 론세일방식의 계약방법 | Ⅲ. 채권양도와 부동산등기부 |
Ⅳ. 론세일방식과 채권양도통지 | Ⅴ. 론세일방식과 질권대출 |
Ⅵ. 근저당권과 피담보채권의 확정
제2절 채무인수방식
Ⅰ. 채무인수방식의 의의 | Ⅱ. 채무인수방식의 계약방법
Ⅲ. 채무인수와 부동산등기부 | Ⅳ. 채무인수방식과 단서조항
제3절 사후정산부방식
Ⅰ. 사후정산부방식의 의의 | Ⅱ. 사후정산부방식의 계약방법
Ⅲ. 채권매각 3방식의 비교
제4절 입찰참여 및 채권일부양도방식
Ⅰ. 입찰참여 및 채권일부양도방식의 의의
Ⅱ. 입찰참여 및 채권일부양도방식의 계약방법
Ⅲ. 입찰참여 및 채권일부양도방식의 장·단점
제5절 기타 채권매각방식
Ⅰ. 벌크세일방식 | Ⅱ. 유입부동산방식(Real Estate Owned : 레오매입) |
Ⅲ. 입찰이행방식 | Ⅳ. 프리세일방식(Pre Sale)
제6절 체권 매각 3방식의 진행과정
Ⅰ. 채권내용 | Ⅱ. 론세일방식 | Ⅲ. 채무인수방식 | Ⅳ. 사후정산부채권양도방식
제7장 채권양도방식과 부대비용계산 286
제1절 채권내용
제2절 투자자배당과 부대비용계산
Ⅰ. 배당투자의 부대비용 | Ⅱ. 근저당권 이전등기 비용 항목
Ⅲ. 근저당권 이전비용 사례 Ⅰ | Ⅳ. 근저당권 이전비용 사례 Ⅱ |
Ⅴ. 경매비용
제3절 투자자유입과 부대비용계산
Ⅰ. 론세일방식 | Ⅱ. 채무인수방식, 사후정산부방식
제4절 론세일방식과 채무인수방식의 채권매각가격 차이
제8장 채권양수도계약서 295
Ⅰ. 론세일방식 | Ⅱ. 채무인수방식 | Ⅲ. 사후정산부방식
Ⅳ. 입찰참여 및 채권일부양도방식 | Ⅴ. 유입부동산방식 | Ⅵ. 입찰이행방식
제9장 가격협상의 방법 310
제1절 가격협상 전 준비사항
Ⅰ. 유입목적 부동산의 가격조사 | Ⅱ. 채권매입목적과 매입가격 |
Ⅲ. 채권매입방식 결정
제2절 채권매각가격 유추하기
Ⅰ. AMP의 의의 | Ⅱ. AMP 유추방법 | Ⅲ. AMP 작성양식
제3절 가격협상시점
Ⅰ. 채권협상시점 | Ⅱ. 변경과 채권매입시점
제4절 가격협상방법
Ⅰ. 자기소개 | Ⅱ. 채권매입 가격제시 | Ⅲ. 매입의향서 제출 | Ⅳ. 가격협상의 3요소
제5부 제3차 부실채권시장 329
제1장 부실채권 3차시장의 의의 330
Ⅰ. 3차 부실채권시장의 개념 |Ⅱ. 3차 부실채권시장의 흐름도 |
Ⅲ. 최근 경매시장의 특징
제2장 일반경매와 NPL경매의 차이 333
제1절 시장참여자의 성격
제2절 절차상 차이
제3절 세제상 차이
Ⅰ. 취득세 | Ⅱ. 양도소득세 | Ⅲ. NPL과 양도소득세
1. 소송의 쟁점 / 2. 법원의 판단근거 / 3. 판결의 요지 /
4. 부실채권과 이자소득세 / 5. 법원의 판결내용 등
제3장 경매자료 분석과 부실채권매입 347
Ⅰ. 사례내용 | Ⅱ. 론세일 투자자배당 | Ⅲ. 론세일 투자자유입 | Ⅳ. 채무인수방식
● 참고문헌 352
● 부록 1.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 354
2. 자산유동화 에 관한 법률 시행령 378
3. 자산유동화 업무감독규정 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