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여성NGO 현황분석 및 활성화 지원방안

$15.12
SKU
978898491914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13 - Mon 05/1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8 - Mon 05/1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10/31
Pages/Weight/Size 160*235*16mm
ISBN 9788984919143
Categories 사회 정치 > 행정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내용 및 방법 5
가. 연구내용 5
나. 연구방법 7

Ⅱ. 여성NGO 이론적 배경 및 분석틀 9
1. 여성NGO 개념과 범주 11
2. 여성NGO 활성화를 위한 4P 이론 18
3. 선행연구 검토 22
4. 연구 분석틀 31

Ⅲ. 여성NGO 현황 및 지원정책 분석 33
1. 여성NGO 발전 과정 35
가. 여성NGO 발전과정 35
나. 여성NGO 발전과정과 외적역량 중요성 39
2. 여성NGO 현황 및 특성 파악 41
가. 여성NGO의 현황 41
나. 여성NGO의 특성 42
다. 양성평등수준에 따른 사회경제적 성과 43
3. 여성NGO의 지원정책 분석 47
가. 여성NGO의 문제점 분석 47
나. 여성NGO의 지원정책 분석 49
다. 4P 역량의 중요성 및 충분성 차이분석 61
라. 여성NGO 전문가가 생각하는 개선방안 62
마. 소결 65

Ⅳ. 여성NGO 실태분석 및 진단 71
1. 실태조사 개요 73
가. 조사목적 73
나. 표본의 선정과 자료수집 73
다. 설문조사 추진방법 75
라. 조사내용과 응답자 특성 표시 75
2. 여성NGO 조직특성 및 활동현황 77
가. 여성NGO라 생각하는 이유 77
나. 설립연도 80
다. 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활동분야 82
라. 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활동방식 84
3. 4P 영역별 현황 분석 86
가. 재정 현황 86
나. 인적자원 현황 89
다. 정책참여 현황 101
라. 거버넌스 현황 111
4. 4P 영역별 역량 분석 120
가. 요인분석 120
나. 4P 역량수준 평가 121
다. 양성평등 정체성, 효능감, 성과 125
라. 4P 활동현황, 4P 활동역량, 양성평등 관계 133
마. 4P 영역별 애로사항 137
5. 4P 영역별 활성화 정책요구 분석 141
가. 여성NGO 종사자(대표 및 활동가) 141
나. 전문가 의견 149
6. 소결 165

Ⅴ. 여성NGO 사례 분석 171
1. 여성NGO 사례 분석 개요 173
2. 여성NGO 등록단체 175
가. 용인시여성단체협의회(경기도여성단체협의회 용인시지회) 175
나. 고양파주여성민우회(사단법인 고양여성민우회) 178
다. 한국여성의전화 181
라. 한국여성유권자연맹 184
마. 한국여성노동자회 186
바. 한국여성장애인연합 189
3. 여성NGO 미등록단체 193
가. 행동하는 페미니스트 193
나. 초록상상(동북여성환경연대) 197
다. 시흥 여성친화도시 시민참여단 201
라. 수원참여예산네트워크 206
4. 소 결 208

Ⅵ. 여성NGO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 211
1. 여성NGO 지원정책 방향 213
가. 재정 지원정책 방향 214
나. 인적자원 지원정책 방향 215
다. 정책과정 지원정책 방향 216
라. 거버넌스 지원정책 방향 217
2. 여성NGO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 218
가. 법·제도적 지원방안 218
나. 정책(프로그램)적 지원방안 229

참고문헌 237

부 록 247
1. 설문지 249
2. 1차 델파이설문 질문지 265
3. 2차 델파이설문 질문지 269
4. 3차 델파이조사 질문지 274
Abstract 279
Author
김복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