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OM CITY에서 만난 모세

사우디의 시나이산을 찾아서
$18.36
SKU
979113921722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Tue 05/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ue 05/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3/27
Pages/Weight/Size 152*225*20mm
ISBN 9791139217223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모세의 주 활동 무대가 지금의 사우디 서북부 타북 지방의 홍해 변 미디안 지역이란 추정이 관심을 끌고 있다. 지금까지는 사우디의 쇄국 정책으로 쿠란 속의 모세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2019년부터 사우디의 개방 정책에 따른 천지개벽 수준의 새로운 변화가 모세를 재조명하는 계기가 되었다. 1967년 ‘6일 전쟁’ 이후 15년간이나 이집트 땅 시나이반도를 공식 통치했던 이스라엘이 이 지역에서 자기 조상의 유적을 전혀 발견치 못했다는 사실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전통적인 시나이반도 남단의 시나이산이 진짜 위치가 아닐 수 있겠다는 의구심이 날 만하였다. 제2부는 모세의 일생을 돌아보고 그가 유다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어떻게 다루어지는지도 짚어 보았다.
Contents
프롤로그: 호기심 천국의 일생

제1부 책 한 권의 작은 기적

1.1 꿈인가 생시인가?
1.2 호기심 마니아의 일생, 사우디까지
1.3 신의 축복, 바라카
1.4 사우디 Vision 2030과 원자력

제2부 왜 모세를 지금?

2.1 모세의 일생
2.2 유다교의 모세 이야기
2.3 기독교의 모세 이야기
2.4 이슬람교의 모세 이야기

제3부 사우디의 시나이산, 어디까지가 사실일까?

3.1 라오즈산을 세 번씩이나
3.2 첫 번째 라오즈산 도전(2015.4.)
3.3 두 번째 라오즈산 도전(2019.12.)
3.4 세 번째 라오즈산 등반(2023.3.)

제4부 격변하는 중동, 사우디의 네옴시티 사업

4.1 ‘적의 적’은 친구?
4.2 이슬람의 발상지, 사우디아라비아의 변모
4.3 사우디의 천지개벽
4.4 미디안 땅에 네옴시티Neom City 사업, 무함마드의 한 수?

에필로그: 여든의 서재에서

참고문헌
Author
김병구
해방 직전 서울에서 태어났다. 배 만드는 기술자가 되고 싶어 1963년 서울공대 조선공학과 입학 후 일찍 University of Michigan 학부로 유학길에 올랐다. 미국 캘리포니아 공과대학(Caltech)에서 기계공학 박사 학위를 마쳤다.

미우주항공국(NASA) Jet Propulsion Lab에서 화성 탐사선(Viking Project) 테스트 엔지니어로 3년간 근무했다. 1974년 정부의 해외 과학자 유치 정책의 일환으로 이뤄진 ‘재미과학기술자 모국 방문단’에 참여한 것을 계기로 귀국해서 한국원자력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근무를 시작했다. 30년간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근무하고 정년퇴직했다.

영광(한빛)3·4호기 원자로설계 사업 책임자로 한국형 원전 국산화 기술 자립에 기여했다.
2002년부터 7년간 IAEA(국제원자력기구) 기술협력국장으로 일했다.

2009년 UAE(아랍에미리트) 원전 처녀 수출로 인해 신설된 아부다비 칼리파(Khalifa) 국립대학 원자력 공학과에 교수로 초빙돼 아랍 학생들을 가르쳤다. 2013년부터 사우디 정부 산하 원자력/신재생에너지청 (K.A.CARE)에서 원자력 자문관으로 5년간 근무했다.
해방 직전 서울에서 태어났다. 배 만드는 기술자가 되고 싶어 1963년 서울공대 조선공학과 입학 후 일찍 University of Michigan 학부로 유학길에 올랐다. 미국 캘리포니아 공과대학(Caltech)에서 기계공학 박사 학위를 마쳤다.

미우주항공국(NASA) Jet Propulsion Lab에서 화성 탐사선(Viking Project) 테스트 엔지니어로 3년간 근무했다. 1974년 정부의 해외 과학자 유치 정책의 일환으로 이뤄진 ‘재미과학기술자 모국 방문단’에 참여한 것을 계기로 귀국해서 한국원자력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근무를 시작했다. 30년간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근무하고 정년퇴직했다.

영광(한빛)3·4호기 원자로설계 사업 책임자로 한국형 원전 국산화 기술 자립에 기여했다.
2002년부터 7년간 IAEA(국제원자력기구) 기술협력국장으로 일했다.

2009년 UAE(아랍에미리트) 원전 처녀 수출로 인해 신설된 아부다비 칼리파(Khalifa) 국립대학 원자력 공학과에 교수로 초빙돼 아랍 학생들을 가르쳤다. 2013년부터 사우디 정부 산하 원자력/신재생에너지청 (K.A.CARE)에서 원자력 자문관으로 5년간 근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