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문명의 3대 발명품 중의 하나인 바퀴는 기원전 4,000년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농업과 문명사회로 변화되어 기존의 이동수단에서 바퀴를 이용한 사람과 물자의 이동은 현재의 문명의 기초가 되었다고 생각된다. 바퀴의 발명은 마차 혹은 자전거라는 이동 수단 그리고 이를 토대로 1886년 독일에서 내연기관을 이용한 자동차 특허가 출원되었다. 한편, 국내에서는 1970년대 초반에 국내 고유 모델인 현대자동차의 포니가 생산을 시작하였다. 2016년 현대/기아자동차(주)는 세계 5대 자동차 업체로 세계 자동차 시장을 누비고 있다. 국내 자동차 산업은 1970년부터 지금까지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다. 자동차에서 새시는 동력전달장치, 현가장치, 조향장치, 제동장치, 휠 및 타이어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데, 본 내용은 동력전달 장치를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Contents
CHAPTER 1 새시정비의 개요
·학습목표
·사용공구 및 내용
·정비부품 및 장비
·안전 및 주의사항
·기재사항
1. 새시정비의 목적
1.1. 자동차 정비 작업장
1.2. 자동차 정비 작업장의 구성
2. 정비작업 전 준비사항
2.1. 새시의 정비작업 전 준비사항
2.2. 차량 식별번호판 위치
2.3. 정비작업시의 안전사항
2.4. 고무부품 및 튜브
2.5. 전기계통 작업
2.6. SRS 에어백 부품에 대한 정보
2.7. 잭 및 리프트의 지지위치
2.8. 작업용 공구
2.9. 일반 조임토크
3. 정기점검 일람표
3.1. 일반점검 항목
3.2. 자동차 정비부품의 종류
4. 추천 윤활유량 및 유량
4.1. 윤활유의 종류
4.2. 윤활유의 유량
·학습정리
·총괄평가
·자기진단평가표
CHAPTER 2 변속기 탈·부착
·학습목표
·사용공구 및 내용
·정비부품 및 장비
·안전 및 주의사항
·기재사항
1. 엔진 및 변속기 탈거시
1.1. 엔진 마운팅의 구성부품
1.2. 엔진 및 변속기의 떼어내기
1.3. 엔진 및 변속기의 조립내기
2. 변속기 어셈블리 탈거시
·학습정리
·총괄평가
·자기진단평가표
CHAPTER 3 클러치[clutch]
·학습목표
·사용공구 및 내용
·정비부품 및 장비
·안전 및 주의사항
·기재사항
1. 클러치의 개요
2. 클러치의 종류
2.1. 코일스프링 클러치
2.2. 다이어프램 스프링식
3. 클러치의 조작기구
3.1. 케이블식 클러치
3.2. 유압식 클러치
4. 클러치의 정비 및 점검절차
4.1. 클러치페달
4.2. 이그니션 록크 스위치 검사
4.3. 클러치 컨트롤
4.4. 클러치 마스터실린더
4.5. 클러치 릴리스 실린더
4.6. 클러치 커버 및 디스크
5. 클러치의 청소 및 검사
5.1. 클러치 디스크 커버
5.2. 클러치 릴리스 베어링
5.3. 클러치 릴리스 포크
6. 장착
6.1. 릴리스 베어링
6.2. 디스크 커버
·학습정리
·총괄평가
·자기진단평가표
CHAPTER 4 수동변속기
·학습목표
·사용공구 및 내용
·정비부품 및 장비
·안전 및 주의사항
·기재사항
1. 수동변속기의 개요
1.1. 변속기의 필요성
1.2. 변속기의 구비조건
1.3. 변속기의 종류
1.4. 동기물림식
1.5. 차동장치의 개요
1.6. 차동장치
2. 변속기의 점검 및 정비절차
2.1. 변속기 오일교환
2.2. 드라이브샤프트 오일실의 교환
2.3. 스피드미터 케이블의 교환
2.4. 수동변속기 컨트롤
2.5. 변속레버 어셈블리
2.6. 수동변속기
2.7. 수동변속기 어셈블리
·총괄평가
·자기진단평가표
CHAPTER 5 자동변속기
·학습목표
·사용공구 및 내용
·정비부품 및 장비
·안전 및 주의사항
·기재사항
1. 자동변속기의 개요
1.1. 자동변속기의 구조
1.2. 자동변속기구 구성부품의 기능
2. 유압제어시스템
2.1. 유압제어시스템의 개요
2.2. 유압제어시스템
2.3. 유압제어 과정
3. 전자제어 자동변속기
3.1. 자동변속기의 구조 및 기능
3.2. 4단 자동변속기 유압회로
3.3. 자동변속기 오일
4. 무단변속기(CVT)
4.1. 무단변속기의 개요
4.2. 무단변속기의 성능 향상장치
4.3. 무단변속기의 구성별 분류
4.4. 무단변속기의 구성요소와 작동
4.5. 무단변속기의 전자제어
4.6. 고장진단
5. 정비 및 점검절차
5.1. 오일레벨 게이지 및 상태점검
5.2. 인히비터 스위치의 조정 및 통전시험
5.3. 킥다운 서보의 조정
5.4. 라인압력의 조정
5.5. 스피드미터 케이블의 교환
5.6. 변속기 컨트롤
5.7. 컨트롤 케이블의 조정
5.8. 액셀러레이터 스위치 점검 및 조정
5.9. 변속레버 어셈블리
5.10. 자동변속기
5.11. 자동변속기 어셈블리
5.12. 오일펌프 어셈블리
5.13. 클러치 어셈블리
5.14. 유성기어 세트
5.15. 애뉼러스 기어
5.16. 트랜스퍼 드라이브기어 어셈블리
5.17. 트랜스퍼 드리븐 기어 어셈블리
5.18. 트랜스퍼 샤프트 어셈블리
5.19. 디퍼렌셜
5.20. 밸브보디
5.21. 킥다운 서보
5.22. 스피드미터 슬리브
6. 제어 구성부품의 점검
6.1. 솔레노이드밸브의 점검
6.2. 오일 온도센서의 점검
6.3. A/T 컨트롤 릴레이 점검
6.4. 펄스 제너레이터 점검
·학습정리
·총괄평가
·자기진단평가표
CHAPTER 6 동력전달축과 액슬축
·학습목표
·사용공구 및 내용
·정비부품 및 장비
·안전 및 주의사항
·기재사항
1. 추진축의 개요
1.1. 추진축
1.2. 자재이음
2. 차동장치와 리어 액슬
2.1. 차동장치와 리어 액슬의 개요
2.2. 차동장치
2.3. 리어 액슬
3. 정비 및 점검절차
3.1. 드라이브샤프트
3.2. 프런트 드라이브샤프트
3.3. 프런트 액슬
3.4. 리어 액슬
4. 추진축의 구성부품
4.1. 추진축 탈거 및 점검
4.2. 자재이음 분해정비
·학습정리
·자기진단평가표
CHAPTER 7 동력전달 바퀴와 타이어
·학습목표
·사용공구 및 내용
·정비부품 및 장비
·안전 및 주의사항
·기재사항
1. 휠 및 타이어
1.1. 프런트 휠 얼라인먼트
1.2. 토인
1.3. 캠버
1.4. 캐스터
1.5. 킹핀 경사각
2. 리어 휠 얼라인먼트
2.1. 토인 점검
2.2. 타이어 마모
2.3. 휠 런아웃
2.4. 휠 너트 조임
3. 최대 조향각과 최소 회전반경
3.1. 최대 조향각
3.2. 최소 회전반경
4. 타이어 교환
·학습정리
·총괄평가
·자기진단평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