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번역의 시작은 바벨탑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지구가 글로벌화를 추진하면서 통번역은 한 나라의 정치, 경제, 문화, 사회가 발달하는 소프트파워가 되었다. 70년대 80년대 통번역학이 하나의 학문으로 우뚝 서면서 연구와 인재 양성에 주력하였다. 1992년 한·중 양국이 수교이래 양국간의 교류는 전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른 한·중 통번역사의 양성하기 위해 2009년부터 한국어 전공이 개설된 중국 대학에서 한·중 MTI 과정을 신설하여 현재 총 15개 대학에 한·중 MTI 과정이 개설되어 운영되고 있다. 한·중 통번역교육이 한국보다는 역사가 짧은 중국으로서는 인재양성의 교원, 교재, 교수방법 등 많은 분야에서 정비가 되지 않았고 체계가 미비하다. 본서는 현재 중국대학 내의 한·중 MTI 과정의 개설과목과 교육인력 그리고 커리큘럼에 대한 분석연구를 하였고, 이를 한국 내 통번역대학원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향후 교육목표에서 교과목 디자인까지 중국내 한중MTI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도출한 것이다.
Contents
I. 서론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및 필요성
3. 연구 방법 및 범위
4. 선행연구
II. 이론적 배경
1. 교육과목 및 교육실습에 관한 논의
2. 교육인력에 관한 논의
3. 중국 정부의 교육정책에 관한 논의
4. AIIC의 통역사 교육 지침에 관한 논의
III. 중국 대학 한·중 MTI 과정의 현황 및 분석
1. 교육과정의 현황 및 분석
2. 교육 인프라 현황 분석
3. 소결
IV. 홍콩 및 한국의 통번역과정 현황 분석
1. 홍콩 대학의 통번역과정 현황 및 분석
2. 한국 대학의 한·중 통번역과정 현황 및 분석
3. 소결
V. 홍콩 및 한국 통번역과정의 교육인프라 현황 및 분석
1. 홍콩 4개 대학 통번역과정의 교육 인프라
2. 한국 3개 대학 한·중 통번역과정의 교육 인프라
3. 소결
VI. 중국 내 한·중 MTI 교육과정의 개선방안
1. 한·중 MTI 과정에 대한 수요 조사 및 결과
2. 한·중 MTI 과정의 개선 방안
3. 한·중 MTI 과정 교육 인프라의 개선 방안
4. 소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