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풀어 쓴 MMPI-2/A

해석상담 및 심리상담에서의 적용
$19.44
SKU
978899972738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13 - Mon 05/1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8 - Mon 05/1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9/30
Pages/Weight/Size 153*225*20mm
ISBN 9788999727382
Categories 대학교재 > 사회과학 계열
Description
심리라는 음악의 미술적 표현, MMPI
예술적 해석을 위해서는 척도의 원리를 알아야한다!

MMPI는 가히 최고의 심리검사라고 할 수 있다. 모든 검사가 정말 좋은 검사이지만, 그중에서도 MMPI는 현존하는 심리검사 중 가장 완성도가 높은 검사라 할 수 있다. 실제적인 활용뿐만 아니라 이론적인 타당성까지도 가장 잘 갖추어져 있으며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다.

MMPI는 정신건강 분야에서 가장 많이 알려져 있고,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검사이다. 그러나 초심자가 해석하기가 그렇게 쉽지만은 않은 검사이기도 하다. 객관적 검사의 대표주자이지만, 이론적 타당성보다는 임상적 경험에 바탕을 두고 만든 검사이기 때문에 MMPI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일정 부분 예술적인 수준의 전문적 기교가 필요하다. MMPI가 전쟁이라는 급박한 위기 상황에서 지극히 현실적인 판단을 하기 위해 만든 도구라는 MMPI의 근본적인 원리를 이해해야 한다.

이 책은 타당도 척도, 임상척도, 다양한 소척도 까지 MMPI 해석에 필요한 척도에 대한 기본 설명과 해석 방법에 대해 다루고 있다. 단순히 매뉴얼대로 척도를 해석하는 것이 아닌 척도의 기본적인 의미를 알고 실제 현장에서 범주적 해석과 차원적 해설을 함께 할 수 있도록 책을 집필했다. 또한 저자의 임상 겸험을 더하여 임상 척도의 개념을 확장해 제시한다.

기본차원을 이해한다는 것은 각 임상척도의 근본원리를 이해하는 것이고, 이는 MMPI를 마치 칸딘스키의 미술작품처럼 음악(소리)의 미술적 표현으로 보게 만든다. 각 기본차원이 악기가 되어 관현악을 연주하는데, 이것이 시각적으로 표현된 것이 MMPI이다. 각 임상척도들은 대부분 심각한 정리병리 상태와 연결되어 있다. 개별 악기에 대한 이해가 높은 사람이 관현악 전체를 더 잘 즐길 수 있고 각 재료와 구성 요소를 잘 이해하고 있는 사람이 미술작품을 더 잘 즐길 수 있는 것처럼, 기본차원과 관련된 심리과정에 대한 이해가 커질수록, 이 멋진 ‘심리 관현악 미술작품’을 더 즐겁게 감상할 수 있을 것이다. 부디 즐거운 관람이 되기를 바란다.
Contents

시작하며: 심리라는 음악의 미술적 표현, MMPI

Chapter 01 MMPI-2에 대한 이해
1. MMPI-2 해석 맛보기
2. MMPI-2의 특징
3. 검사 실시

Chapter 02 타당도 척도
1. 타당도의 개념
2. 무응답에 대한 해석
3. F 척도[F, F(B), F(P), F1, F2]: 고통감, 비전형적 반응 경향
4. FBS 척도: 부정왜곡 척도(증상 타당도 척도)
5. L 척도: 구체적 사고, 관습적 사고, 미숙한 사고
6. K 척도: 세련된 자기방어, 자기애적 경계심
7. S 척도: 자기만족
8. VRIN 척도, TRIN 척도: 비일관성

Chapter 03 임상척도
1. 1번 척도: Hs(hypochondriasis)
2. 2번 척도: D(depression)
3. 3번 척도: Hy(hysteria)
4. 4번 척도: Pd(psychopathic deviate)
5. 5번 척도: Mf(masculinity-femininity)
6. 6번 척도: Pa(paranoia)
7. 7번 척도: Pt(psychasthenia)
8. 8번 척도: Sc(schizophrenia)
9. 9번 척도: Ma(hypomania)
10. 0번 척도: Si(social introversion)
11. 프로파일 해석

Chapter 04 다양한 소척도-성인
1. 임상 소척도(Harris-Lingoes 척도)
2. 재구성 임상척도
3. 성격병리 5요인 척도
4. 내용 척도 및 내용 소척도
5. 보충 척도

Chapter 05 다양한 소척도-청소년
1. 내용 척도 및 내용 소척도
2. 성격병리 5요인 척도
3. 보충 척도

후기: MMPI-3에 대한 아쉬움
부록: 해석에 도움이 되는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성태훈
고려대학교에서 학사, 석사를 거쳐 임상심리 전공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삼성서울병원 정신과에서 3년의 임상심리 수련을 마쳤고, 임상심리전문가 자격을 취득한 이후에는 개인병원, 중소병원, 전문상담센터, 사회복지기관 등 여러 장면에서 심리평가를 담당하였으며, 2009년 원주에서 지우심리상담센터를 개소한 이후에도 인근 병원과 협력관계를 유지하면서 수련감독자로서 다수의 심리평가를 지도감독하고 있다.
상담센터에서는 직접 찾아오는 수검자들뿐 아니라 교육기관, EAP업체, 도박센터, 법원, 보호관찰소 등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의뢰된 수검자들을 대상으로 심리 상담 및 평가를 시행하고 있으며, 심리평가 보고서 작성뿐 아니라 정신병리, 심리치료 등에 대해서도 자문, 강의, 저술 및 슈퍼비전을 지속하고 있다.
고려대학교에서 학사, 석사를 거쳐 임상심리 전공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삼성서울병원 정신과에서 3년의 임상심리 수련을 마쳤고, 임상심리전문가 자격을 취득한 이후에는 개인병원, 중소병원, 전문상담센터, 사회복지기관 등 여러 장면에서 심리평가를 담당하였으며, 2009년 원주에서 지우심리상담센터를 개소한 이후에도 인근 병원과 협력관계를 유지하면서 수련감독자로서 다수의 심리평가를 지도감독하고 있다.
상담센터에서는 직접 찾아오는 수검자들뿐 아니라 교육기관, EAP업체, 도박센터, 법원, 보호관찰소 등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의뢰된 수검자들을 대상으로 심리 상담 및 평가를 시행하고 있으며, 심리평가 보고서 작성뿐 아니라 정신병리, 심리치료 등에 대해서도 자문, 강의, 저술 및 슈퍼비전을 지속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