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과 앎의 관계를 논하고 인식의 본질을 찾고자 한 작품이다.
주제는 탁월함의 획득 방식에 대한 질문으로 탁월함이 가르침이나 배움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지, 탁월함의 교사가 있는 지를 논한다.
플라톤
Platon (전 427-전 347)
그리스의 철학자.
타르게리온의 달(5월), 그리스의 아테네에서 태어났다. 부친 아리스톤의 선조는 코로도스왕, 모친 페리크치오네의 선조는 솔론의 친구인 드로피데스로 거슬러 올라가는, 말하자면 명문 출신이었다.
젊어서는 시작(詩作)에 열중했고 비극의 창작을 시도했으나 20세경에 만년(晩年)의 소크라테스에게 사사받자 자작시를 불태워 버렸다고 한다. 28세 때에 경애하는 스승 소크라테스가 부당한 죄상(罪狀)으로 사형을 당한다. 소크라테스의 사형은 플라톤으로 하여금 평생을 공직 생활에서 물러나 오로지 저작에만 전념하게 하는 동기가 되었다.
그로부터 40세까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이라고 불리는 아카데미아 창설까지를 그의 편력시대라고 한다. 그동안 그는 메가라, 이집트, 키레네, 이탈리아, 시칠리아 등 해외 여행을 하는 한편 많은 대화편을 썼다.
Contents
메논(Meno) : 플라톤 대화편
World Classic Reading Book
(세계고전문학리딩북)
Contents
Preface
Meno
INTRODUCTION.
ON THE IDEAS OF PLATO.
MENO
Author
플라톤
고대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으로 서양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명문 귀족 집안에서 태어나 20세에 소크라테스의 제자가 되었다.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셨을 때 그의 나이 28세였다. 그 후 여러 곳을 여행하며 견문을 넓히고 기원전 387년에 철학 중심의 종합 학교인 아카데메이아를 세웠다. 소크라테스의 사상과 철학이 담긴 글을 저술하며 그 안에 자신의 철학도 담았다. 「파이돈」 「크리톤」 「향연」 「국가」 「프로타고라스」 등 35편의 저서를 남겼는데 「소크라테스의 변명」을 제외하면 전부 대화체 형식으로 되어 있어 『대화편』이라 불린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철학을 저술 활동으로 남기지 않았기에 그의 사상을 엿보려면 플라톤의 『대화편』에 의존해야 한다. 초기 『대화편』에서 소크라테스의 철학을 짙게 느낄 수 있으며 후기로 갈수록 소크라테스 철학을 근간으로 한 플라톤 철학이 나타난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으로 서양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명문 귀족 집안에서 태어나 20세에 소크라테스의 제자가 되었다.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셨을 때 그의 나이 28세였다. 그 후 여러 곳을 여행하며 견문을 넓히고 기원전 387년에 철학 중심의 종합 학교인 아카데메이아를 세웠다. 소크라테스의 사상과 철학이 담긴 글을 저술하며 그 안에 자신의 철학도 담았다. 「파이돈」 「크리톤」 「향연」 「국가」 「프로타고라스」 등 35편의 저서를 남겼는데 「소크라테스의 변명」을 제외하면 전부 대화체 형식으로 되어 있어 『대화편』이라 불린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철학을 저술 활동으로 남기지 않았기에 그의 사상을 엿보려면 플라톤의 『대화편』에 의존해야 한다. 초기 『대화편』에서 소크라테스의 철학을 짙게 느낄 수 있으며 후기로 갈수록 소크라테스 철학을 근간으로 한 플라톤 철학이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