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교육을 위해서는 분명 문화에 대한 개념 정리가 필요하다. 문화가 무엇인지에 대한 정의를 내려야 무엇을 가르칠지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두 가지 관점에서 문화의 개념을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는 문화 인류학적 관점, 두 번째는 외국어교육론의 입장이다. KSL 문화 교육연구를 위해서는 두 관점에서 모두 접근할 필요가 있다. 먼저 문화인류학의 문화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통해 광의적 관점에서 큰 틀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KSL 역시 외국어 교육의 하나라는 점에서 외국어교육론의 문화에 대한 접근은 미시적 관점에서 문화 교육을 위한 세부 내용을 구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Contents
머리말
1. 문화 교육과 KSL에 대한 일반적 논의
1.1. 외국어교육의 문화 교육
1.1.1. 문화의 개념과 문화 교육의 필요성
1.1.2. 문화 교육 내용 선정을 위한 유형 분류
1.2. KSL 교육과정의 도입과 개정 / 32
1.2.1. 2012년 KSL 교육과정의 도입
1.2.2. 2017년 KSL 교육과정의 개정
1.2.3. KSL 학습 대상의 명료화
2. KSL 교육과정의 문화 교육
2.1. 문화 교육 원리와 교육 목표
2.2. 상호문화주의
2.3. KSL 문화 교육에 대한 비판적 분석
2.3.1. 내용 체계
2.3.2. 구성 원리
2.3.3. 성취 기준
2.3.4. 문화 항목
2.3.5. KSL 문화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향
3. KSL 교재의 문화 교육 내용
3.1. 교재 분석의 목적과 분석 기준
3.2. 의사소통 한국어 교재의 문화요소 분석
3.2.1. 초등학생용 의사소통 교재
3.2.2. 중·고등학생용 의사소통 교재
3.3. 학습 도구 한국어 교재의 문화요소 분석
3.3.1. 초등학생용 학습 도구 교재
3.3.2. 중·고등학생용 학습 도구 교재
3.4. 교재 분석 의의 및 논의점
4. KSL 문화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재설계
4.1. 목표
4.2. 내용 체계
4.2.1. 내용 체계 재설계 방향
4.2.2. 문화 항목 선정
4.2.3. 문화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4.3. 구성 원리
4.3.1. 문화 비교 관찰력의 설정
4.3.2. 숙달도별 문화 비교 관찰력
4.4. 성취 기준
4.4.1. 성취 기준의 구성
4.4.2. 숙달도별 성취 기준
5. KSL 단계별 문화 교육 내용
5.1. 문화 교육 내용 선정 원리
5.1.1. 문화 교육 내용 선정
5.1.2. 문화 교육 내용 등급 확대의 원리
5.2. 학령별·숙달도별 문화 교육 내용
5.2.1. 초등학교 초·중·고급 문화 교육 내용
5.2.2. 중·고등학교 초·중·고급 문화 교육 내용
Author
김연실
한국외대 한국어교육학과 졸업
한국외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석사, 박사 졸업.
현) 한국외대, 울산대 강사
저서
한국어 어휘 학습 (공저)
TOPIK Voca 4004 (공저)
한국어 끝내기 (공저)
울산대 한국어 회화 (공저)
한국외대 한국어교육학과 졸업
한국외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석사, 박사 졸업.
현) 한국외대, 울산대 강사
저서
한국어 어휘 학습 (공저)
TOPIK Voca 4004 (공저)
한국어 끝내기 (공저)
울산대 한국어 회화 (공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