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23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5
2. 연구 내용 28
3. 연구 방법 31
4. 연구 범위 및 용어 정의 36
Ⅱ. 연구 배경 43
1. 선행 연구 고찰 45
2. 육아 지원 정책 동향 53
PartⅠ 2021년 KICCE 기초분석 81
Ⅲ. KICCE 소비실태조사 개요 83
1. 4차년도 KICCE 소비실태조사 설계 85
2. 설문 구성 및 변화 90
3. 응답자 특성 98
Ⅳ. 육아 가구의 소비실태 및 양육비용 109
1. 생활비 지출 총액 및 주요 지수 112
2. 육아 가구 양육비용 실태 115
3. 공적 지원금 및 세제 혜택 수혜 실태 132
4. 양육비용 부담 및 코로나19로 인한 변화 137
5. 저소득 가구 심층면담 결과 분석 143
Ⅴ. 육아 가구의 육아서비스 이용 행태 및 지원 요구 159
1. 영유아 육아서비스 이용 행태 161
2. 초등학령기 육아서비스 이용 행태 192
3. 가정내 돌봄 및 부모지원서비스 이용 행태 205
4. 육아서비스 지원에 대한 요구 228
PartⅡ 심층분석: 코로나19 확산 초기 양육비용 격차 251
Ⅵ. 코로나19 확산 초기 양육비용 변화와 공적지원금 효과 253
1. 심층 분석 개요 255
2. 코로나19 전후 영유아 가구의 소득과 양육비용 261
3. 코로나19 관련 공적지원금의 양육부담 경감 효과 281
PartⅢ 결론 및 정책 제언 287
Ⅶ. 결론 및 정책 제언 289
1. 생애 초기 동등한 출발선 보장을 위한 사회적 안전망 강화 292
2. 위드 코로나 대응 및 미래 사회를 위한 준비 308
3. 육아지원 정책의 실효성 제고 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