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이라는 학문이 전통문화를 다루는 학문, 해외에서 한국을 연구하는 학문이라는 기존의 인식을 탈피하고, 한국 사회에 사는 한국인이 객관적·비판적으로 한국을 바라보는 폭넓고 실용적인 학문도 포함된다는 것을 알리고자 함에 K- 대학생들이 나섰다. 이 책은 2022년 연세대학교 한국학연계전공 「한국학입문2」를 수강한 학부생들의 한국학 연구를 엮은 책이다. 이 책의 20명의 저자들은 평소 즐겨보는 미디어, 일생 생활, 함께 살아가는 이 한국 사회 속 이야기를 신선하고 새로운 관점으로 재조명하여, 한국! ‘K-’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Contents
1장 미디어를 통해서 본 한국학 연구
넷플릭스 K-드라마 〈오징어 게임〉 속 한국전통문화에 대한 국내외 시청자 반응 연구_이다현
한국 여성 서사 드라마의 현황과 한국 여성 서사 드라마에 대한 인식 조사_ 김보리
한국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특징 연구_ 김관태
K-POP 걸그룹 〈뉴진스〉 데뷔 연령에 대한 인식 연구_권경란
K-POP의 정체성 연구_KAWAKAMI, YOSHIKO
웹툰 〈위대한 방옥숙〉과 부동산, 집값에 관련된 한국의 특수성 연구_김혜승
웹툰의 한영 번역의 현황과 한국의 문화를 살릴 수 있는 번역의 방향_김민주
먹방, 왜 볼까? K-먹방의 발전 방향과 차별점_ 심진용
한국 온라인 게임 유저층의 인식 변화 연구_김규완
2장 한국인의 생활문화를 통해 본 한국학 연구
K-카페 문화에 담긴 한국 문화의 특수성 고찰_최예원
한국의 월드컵 응원문화의 차별점과 지속성_임권택
K-푸드의 세계화 전략 및 반응_오문수
공간적 특성으로 바라본 한옥의 구조와 가구_국지훈
K-굿즈의 세계화 방향_김윤서
뷰티 마케팅에서의 한국 전통 문화 활용 트렌드 분석_이지윤
3장 한국 사회·문화를 통해 본 한국학 연구
K-언택트 사교육의 현황과 인식_이다영
봄 학기제로 나타나는 한국의 문화 특수성_최서진
재외동포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바라본 K-문화의 보존 및 확산_이지우
제주도 방언에 대한 인식 변화 및 활용·보전 방안 탐색_김후연
제사 문화에 대한 한국사회의 세대별 인식 조사 연구_오유경
Author
천수연,이다현,김보리,김관태,권경란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한국학협동과정 한국어교육 전공 석사 졸업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한국학협동과정 한국어교육 전공 박사 수료
(전)중국 WUHAN BUSINESS UNIVERSITY 전임강사
(전)동국대학교 국제어학원 한국어 강사
(현)연세대학교(한국학)학부연계전공 강사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한국학협동과정 한국어교육 전공 석사 졸업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한국학협동과정 한국어교육 전공 박사 수료
(전)중국 WUHAN BUSINESS UNIVERSITY 전임강사
(전)동국대학교 국제어학원 한국어 강사
(현)연세대학교(한국학)학부연계전공 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