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산업 인적경쟁력 강화방안 연구(IV)

$8.64
SKU
979112600466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8 - Wed 05/1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Wed 05/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12/30
Pages/Weight/Size 158*234*20mm
ISBN 9791126004669
Categories 사회 정치 > 행정
Contents
요 약 i

제1장 서 론 (박명준) 1
제1절 문제의식 1
제2절 연구방식 5
제3절 보고서 개관 8

제2장 현장감독자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 대표모델 (정승국?박명준) 10
제1절 현장감독자에 관한 이론적 논의:일본과 독일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10
제2절 선진 모델에서 현장감독자에 대한 역량부여:도요타 사례 16

제3장 기계산업 현장 감독자 활용실태:설문조사 결과분석 (박명준) 24
제1절 도 입 24
제2절 현장감독자의 역할과 역량 27
제3절 소 결 40

[보론] 현장감독자의 권한 및 중요성에 관한 추가분석 (정승국) 42

제4장 공작기계산업 현장감독자 연구 (정승국) 46
제1절 도 입 46
제2절 이론적 논의 48
제3절 공작기계산업의 특성 51
제4절 사례기업들 주제별 비교분석 54
제5절 소 결 71

제5장 건설기계 현장감독자 사례연구 (정선욱) 73
제1절 도 입 73
제2절 건설기계산업 개관 75
제3절 건설A사 사례 80
제4절 건설B사 사례 90
제5절 소 결 100

제6장 반도체 장비 산업 현장감독자 사례연구 (최영섭) 106
제1절 개 요 106
제2절 반도체 장비 산업의 특징 108
제3절 반도체 장비 제조기업:A사 사례 116
제4절 반도체 장비 모듈 제조기업:B사 사례 124
제5절 반도체 부품 제조기업:C사 사례 138
제6절 소 결 153

제7장 결 론 (박명준) 158

참고문헌 162

[부록] 기계산업 인력활용 양태와 인적경쟁력 강화방안 설문조사(현장감독자) 165
Author
박명준,정선욱,정승국,최영섭
한국노동연구원 박명준 연구위원은 노동사회학자로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수학, 학부와 석사를 졸업했다. 이후 독일에 유학하면서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의 장학생으로 쾰른의 막스플랑크 사회연구소에서 ‘이행사회의 코포라티즘’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후 쾰른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이어서 베를린 자유대학교 동아시아학부에서 전임연구원으로 재직했다. 귀국 후 한국노동연구원의 초빙연구위원과 부연구위원, 국제협력실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산업노동학회 학술이사, 계간 학술지 경제와 사회 편집위원, 광주시 더 나은 일자리 위원회 실무위원, 한국일보 칼럼 ‘아침을 열며’의 필진으로 활동 중이기도 하다. 노사관계, 노동운동, 고용노동정책 전반에 걸쳐 두루 관심을 갖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이중노동시장 극복을 위한 대안적인 노사관계 구축에 관심을 갖고 있다. 그간 독일의 노사관계와 고용체제에 관하여 국내에 많은 소개를 했고, 광주형 일자리 창출 모델 연구를 주도적으로 수행한 바 있다.
한국노동연구원 박명준 연구위원은 노동사회학자로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수학, 학부와 석사를 졸업했다. 이후 독일에 유학하면서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의 장학생으로 쾰른의 막스플랑크 사회연구소에서 ‘이행사회의 코포라티즘’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후 쾰른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이어서 베를린 자유대학교 동아시아학부에서 전임연구원으로 재직했다. 귀국 후 한국노동연구원의 초빙연구위원과 부연구위원, 국제협력실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산업노동학회 학술이사, 계간 학술지 경제와 사회 편집위원, 광주시 더 나은 일자리 위원회 실무위원, 한국일보 칼럼 ‘아침을 열며’의 필진으로 활동 중이기도 하다. 노사관계, 노동운동, 고용노동정책 전반에 걸쳐 두루 관심을 갖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이중노동시장 극복을 위한 대안적인 노사관계 구축에 관심을 갖고 있다. 그간 독일의 노사관계와 고용체제에 관하여 국내에 많은 소개를 했고, 광주형 일자리 창출 모델 연구를 주도적으로 수행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