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and the Shaping of New Social Order

Exploring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in the Digital Age
$17.01
SKU
978897641829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23 - Wed 05/2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5/20 - Wed 05/2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07/18
Pages/Weight/Size 153*224*20mm
ISBN 9788976418296
Categories 사회 정치 > 미래예측
Description
『IT and the Shaping of New Social Order』은 지난 40년 동안의 사회 변혁을 IT 분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사회"의 미래 전망에 대해 논한다. 분석 방법으로는 기술과 사회 사이의 상호 인터페이스를 전제로 하는 SST(Social Studies of Technology) 틀을 적용했다. 책을 통해 저자가 내놓는 세 가지 전망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정보혁명은 단순한 기술 혁명이 아니다. 그것은 기술과 사회 사이의 상호 작용의 결과로 간주하여야 한다. 둘째, 구조적 전환과 같은 사회 환경의 변화가 사회 정보화의 끝이 아닐 수도 있다. 오히려, 문화적, 정신적, 그리고 제도적 측면의 변화는 기술 시스템과 사회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데 더 많이 기여하기 때문에 명백하고 외부적 변화보다 더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정보사회를 독립된 문명의 단위로 여길 수 없다. 대신, 정보 사회는 다가올 융합 문명의 전조로 여겨지거나 기껏해야 산업 문명과 융합 문명을 연결해 주는 과도기적인 범주의 문명으로 생각된다.
Contents
Preface
List of Figures and Tables

Chapter 1. Introduction
The Rise of New Technological Social Formation

Section Ⅰ Structural Problematics
Chapter 2. From Hierarchy to Boundary: IT-based Social Inequality
Chapter 3. A Critical Reexamination of Digital Divide

Section Ⅱ Life-world Transformation
Chapter 4. Cyberculture
Emergence of New Cultural Consciousness
Chapter 5. Online Buddhist Community
An Alternative Religious Organization

Section Ⅲ Changing Self and Identity
Chapter 6. Lifelogging and Changing Nature of Self
Chapter 7. Avatars and the Formation of ‘Net Identity’

Section Ⅳ Topics in Risk Management
Chapter 8. Surveillance Technology, Privacy and Social Control
Chapter 9. Dialectics of Risk, Security and Surveillance in a High-Tech Society

Section Ⅴ New Media and Society
Chapter 10. New Media and the Social Reconstruction of Reality
Chapter 11. Policy Measures in the Age of New Media
Chapter 12. Closing
Toward a Convergence Civilization

References
Index
Author
Mun Cho Kim
서울대 화학과, 고려대 대학원 사회학과 및 미국 조지아대(University of Georgia)에서 수학한 후 1982년부터 고려대 사회학과에서 사회학 이론, 지식과 사회, 문화사회학 등을 가르치면서 노동ㆍ정보사회ㆍ문화ㆍ과학기술ㆍ현대사상 분야의 연구를 수행해왔다. 한국이론사회학회장, 한국과학기술학회장, 한국사회학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동아시아사회학회장으로 일하고 있다.

논문으로 “Surveillance Technology, Privacy and Social Control”(2004), “數字隔構的 批判性 再檢討”(2005), “코스모폴리탄 사회학”(2009), “융합시대의 미디어 정책”(2011), “Social Unrest in Korea”(2012)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과학기술과 한국사회의 미래》(1999),《韓國社會と日本社會の變容》(2005, 공편),《한국사회의 양극화》(2008) 등이 있다.
서울대 화학과, 고려대 대학원 사회학과 및 미국 조지아대(University of Georgia)에서 수학한 후 1982년부터 고려대 사회학과에서 사회학 이론, 지식과 사회, 문화사회학 등을 가르치면서 노동ㆍ정보사회ㆍ문화ㆍ과학기술ㆍ현대사상 분야의 연구를 수행해왔다. 한국이론사회학회장, 한국과학기술학회장, 한국사회학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동아시아사회학회장으로 일하고 있다.

논문으로 “Surveillance Technology, Privacy and Social Control”(2004), “數字隔構的 批判性 再檢討”(2005), “코스모폴리탄 사회학”(2009), “융합시대의 미디어 정책”(2011), “Social Unrest in Korea”(2012)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과학기술과 한국사회의 미래》(1999),《韓國社會と日本社會の變容》(2005, 공편),《한국사회의 양극화》(2008)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