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존중문회로의 패러다임 전환과 긍정적 육아문화 조성방안 연구(III) : 가정과 지역사회에서의 육아존중문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21-73-01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Tue 05/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ue 05/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
2022/05/06 |
Pages/Weight/Size |
171*251*30mm |
ISBN |
9791168650091 |
Categories |
사회 정치 > 행정 |
Contents
요약 1
Ⅰ. 서론 15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7
2. 연구내용 20
3. 연구방법 22
Ⅱ. 연구 배경 37
1. 육아문화 관련 용어 정의 39
2. 육아문화 관련 선행 연구 검토 40
3. 육아문화 관련 동향 48
4. 육아 관련 지원체계 및 활동 53
5. 보건복지부 100인의 아빠단 58
Ⅲ. 가정과 지역사회 내 긍정적 육아문화 조성사례 63
1. 국내 지역사회 육아지원 사례 65
2. 국외 육아문화 및 지역사회 육아지원 관련 동향 85
3. 소결 102
Ⅳ. 가정과 지역사회 육아문화 진단 및 개선 요구(Ⅰ): 질적조사 105
1. 가정 내 육아문화 현황 107
2. 지역사회 육아문화 현황 115
3. 육아문화 개선 요구 및 개선 방안 123
4. 소결 127
Ⅴ. 가정과 지역사회 육아문화 진단 및 개선 요구(Ⅱ): 양적조사 131
1. 가정 내 육아문화 진단 133
2. 지역사회 내 육아문화 평가 182
3. 긍정적 육아문화 조성을 위한 요건 199
4. 소결 219
Ⅵ. 가정과 지역사회 내 육아존중문화 조성 시도 223
1. '육아문화 크리에이터즈'들의 육아존중문화 조성 노력 225
2. SBS 특집방송을 통한 '육아존중문화 확산 프로젝트' 238
3. 소결 245
Ⅶ. 육아존중문화, 긍정적 육아문화 조성 방안 247
1. 가정에서의 육아존중문화, 긍정적 육아문화 조성 249
2. 지역사회에서 육아존중문화, 긍정적 육아문화 조성 256
3. 육아존중문화, 긍정적 육아문화 조성 263
참고문헌 269
Abstract 285
부록 289
부록 1. 설문조사지 289
부록 2. 심층면담 조사지 303
부록 3. 초점집단 면담자 사회인구학적 특성 305
Author
권미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