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성범죄자를 위한 치료프로그램 개발 및 제도화방안(II)

$10.80
SKU
9788973660261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4/02/01
Pages/Weight/Size 188*254*40mm
ISBN 9788973660261
Description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내용을 주제별로 묶은 연구보고서이다.
Contents
국문요약

제1장 서론(윤정숙)
제1절 연구 목적과 의의
1. 연구목적 및 의의
2. 연구내용 및 방법

제2장 성범죄자 치료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윤정숙)
제1절 성범죄자 치료프로그램 평가 연구에 대한 문헌연구
1. 성범죄자 치료프로그램 평가 연구의 목적 및 의의
2. 성범죄자 치료프로그램의 평가 방법
가. 치료내 변화
1) 사전ㆍ사후 척도를 이용한 변화량 파악
2) 임상적 유의도 파악
나. 치료후 변화
1) 무선 할당/무선화된 통제 집단
2) 기술적 방식
3) 위험성 밴드 분석(Risk band analysis)
4) 대응 비교 집단 구성(Matched comparison groups)
5) 메타분석
제2절 교정시설내 성범죄자 치료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 연구
1. 조사 개요
가. 조사 대상자
나. 조사 절차
다. 프로그램 내용
라. 평가 척도
2. 조사 결과
가. 조사 참여자의 특성
1) 인구사회적 특성
2) 범죄 경력
3) 범죄 유형 및 재범위험성 수준
나. 치료내 변화량
1) 사전ㆍ사후평가 척도의 기술 통계
2) 치료내 변화량
3. 조사 결과 정리 및 논의
가. 교정시설내 치료프로그램의 집단적 수준에서의 효과성
1) 치료내 변화량의 정리
2) 결과에 따른 향후 프로그램 개선책
나. 교정시설내 치료프로그램의 개별적 수준에서의 효과성
1) 재범위험성에 따른 효과성
2) 피해자 유형에 따른 효과성
다.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 대책

제3장 성범죄자 다면평가 척도(K-MIDSA) 타당화 연구(윤정숙ㆍRaymond Knight)
제1절 성범죄자 치료를 위한 임상적 평가
1. 성범죄자 치료를 위한 임상적 평가의 원칙
2. 성범죄자 치료를 위한 임상적 평가의 내용
가. 위험성 평가
나. 범죄유발욕구(=범죄유발요인) 평가
1) 단일 개념 평가 척도
2) 다면적 평가 척도
제2절 성범죄자 다면평가 척도(K-MIDSA) 타당화
1. 조사 개요
가. 조사 대상자
나. 조사 절차
다. 척도
1) 거짓말 척도
2) 성 척도
3) 남성적 충분성 및 성? 불충분성 척도
4) 성도착증 척도
5) 성적 가학증 척도
6) 표출적 공격성 척도
7) 사이코패스 관련 및 과담남성성 척도
8) 과잉 분노 척도
9) 아동 성폭행 척도
2. 조사 결과
가. 조사 참여자의 특성
1) 조사 참여자의 인구사회적 특성
2) 성범죄자 집단의 범죄 경력
3) 음란물 사용 경험
나. K-MIDSA의 소척도에 대한 신뢰도 분석
다. K-MIDSA의 타당도 분석
1) K-MIDSA의 수렴 타당도(Convergent Validity)
2) K-MIDSA 척도들의 집단 간 차이
라. K-MIDSA으 사전ㆍ사후평가 척도로서의 기능
1) 사전 점수와 사후 점수의 상관 관계
2) 사전 점수와 사후 점수의 차이
3. 조사 결과 정리 및 논의
가. K-MIDSA의 신뢰도 해석 및 후속 대책
나. K-MIDSA의 타당도 해석 및 후속 대책
1) 수렴 타당도
2) 집단간 차이
3) 사전ㆍ사후평가 척도로서의 기능
다. 후속 연구 및 표준화 작업
라. K-MIDSA의 향후 현장 사용 계획 및 유의점

제4장 결론(윤정숙)
1. 교정시설내 치료프로그램의 효과성
2. K-MIDSA의 타당화
3. 연구사업의 정리 및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부록 1. 2012년도에 개발된 성범죄자 치료프로그램의 전파 및 보급
부록 2. 성범죄자 임상적 평가 기록지
부록 3. K-MIDSA 설문지(일반인용)
부록 4. K-MIDSA 설문지(수형자용-사전검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