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작 I. 2』(아카넷, 2020. 11. 20)는 『유작 I. 1』(한국어 칸트전집 23.1)의 후속 권이다. 칸트 『유작』(Opus postumum) 제4묶음(‘8철지초안’, ‘낱장들’ 포함), 제5묶음, 제6묶음의 완역과 필요한 주해를 담고 있다. 『유작 I. 1』에 이어 『유작 I. 2』에는 칸트 『유작』 전반의 주요 주제에 관한 상세 해설이 담겨 있으며 『유작』의 칸트철학 내의 위치와 의의에 대한 해설을 함께 볼 수 있다. 특히 칸트 노년의 유고인 『유작』에서 독자는 칸트의 생(生)과 사(死)에 관한 상념들을 문득문득 마주치게 된다.
『유작』은 하나의 ‘저작(Werk)’이라기보다는 칸트가 말년의 여러 갈래의 상념들을, 이를테면 걷고자 했던 여러 ‘길들(Wege)’을 수시로 임시적으로 적어놓은 조각글 모음이다. 그 길들은 대개 출입구도 보이지 않는데다 자주 끊겨 있다. 그러나 이 『유작』을 통해 기존 칸트의 저작에서 볼 수 없는 삶과 죽음에 대한 칸트의 단상들을 접하고, 생의 마지막까지 부단히 학문에 정진하는 노철학자를 만나는 일은 경이로운 체험이다.
Contents
책을 내면서 5
제1부 [유작] I.2 해제 및 해설 13
조각글 ‘묶음’들의 대강 15
주제 해설 18
자연 형이상학에서 물리학으로의 이행 18
‘이행’의 주제 18
‘이행’의 성격 및 위상 20
‘이행’ 가능성의 원리 24
‘이행’의 구성 26
자연과학의 형이상학적 기초원리들에서
물리학으로의 이행[편성의 윤곽] 26
‘이행’의 최상 원리로서의 열소/에테르 31
자연과학의 형이상학적 기초원리들에서
물리학으로의 이행의 최상 원리로서의 열소의 실존 증명 33
빈 공간 지각 불가능성 논증 34
물질 운동의 시원 논증 35
물질의 운동력들의 기본[요소]체계의 최상의 원리로서의 열소 36
여론(餘論): 초월적 관념론 또는 초월철학의 행로 37
비판철학에서의 초월적 관념론 37
‘초월적 관념론’ 38
‘비판적 관념론’ 40
경험 실재주의에서의 직관과 그 방식 41
개별적이고 직접적인 표상으로서의 직관 41
경험적 직관과 순수 직관 42
근원적 직관과 파생적 직관 43
감성적 직관과 지성적 직관 44
독일관념론[독일이상주의]과의 마주침 44
피히테의 ‘절대적 주관’ 이론과 칸트의 대응 44
피히테의 자아론 전개 44
칸트의 대응 47
셸링의 초월적 관념론의 체계와 칸트의 응대 49
셸링에서 절대자로서의 자아와 ‘지성적 직관’ 49
셸링에서 초월적 관념론으로서의 초월철학 개념 52
칸트의 응대 55
[유작]에서의 ‘초월철학’의 기도(企圖)와 행방 56
자기의식-자기촉발-자기직관-자기정립의 지평 57
칸트 논저 약호(수록 베를린 학술원판 전집 권수)와 한국어 제목 64
철학자 칸트는 63세에 이르러 집을 소유할 수 있었다. 그때는 이미 결혼 적령기를 한참이나 지난 나이였다. 쉰일곱 살에 첫 번째 위대한 저작 <순수이성비판1781>을 출간했다. 십 년을 넘게 시간강사 생활을 이어가다 마흔여섯 살이 돼서야 자기 고향에 있는 쾨니히스베르크 대학의 철학과 교수가 될 수 있었다. 세상에 자신을 알아주는 이가 드물고 남들보다 성과가 없는 고단한 인생이라면 뒤늦게 빛을 본 칸트의 인생을 떠올려 봄직하다. 평범한 서민의 아들이었으며 젊어서 두각을 나타낸 인물도 아니었고 부와 명예를 위해 활발하게 활동한 사람도 아니었다. 그러나 칸트는 늦은 나이에 빛을 내기 시작한 천재였다. 인류 스스로 과감하게 생각하라는 메시지를 던진 계몽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철학자였다. 또한 그 자신이 인류가 현대의 정신세계로 진입할 수 있는 커다란 출입문이었다. <도덕 형이상학의 기초 1785>, <실천이성비판1788>, <판단력 비판 1790>, <영원한 평화를 위하여1795>, <도덕 형이상학1797> 등을 썼다.
철학자 칸트는 63세에 이르러 집을 소유할 수 있었다. 그때는 이미 결혼 적령기를 한참이나 지난 나이였다. 쉰일곱 살에 첫 번째 위대한 저작 <순수이성비판1781>을 출간했다. 십 년을 넘게 시간강사 생활을 이어가다 마흔여섯 살이 돼서야 자기 고향에 있는 쾨니히스베르크 대학의 철학과 교수가 될 수 있었다. 세상에 자신을 알아주는 이가 드물고 남들보다 성과가 없는 고단한 인생이라면 뒤늦게 빛을 본 칸트의 인생을 떠올려 봄직하다. 평범한 서민의 아들이었으며 젊어서 두각을 나타낸 인물도 아니었고 부와 명예를 위해 활발하게 활동한 사람도 아니었다. 그러나 칸트는 늦은 나이에 빛을 내기 시작한 천재였다. 인류 스스로 과감하게 생각하라는 메시지를 던진 계몽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철학자였다. 또한 그 자신이 인류가 현대의 정신세계로 진입할 수 있는 커다란 출입문이었다. <도덕 형이상학의 기초 1785>, <실천이성비판1788>, <판단력 비판 1790>, <영원한 평화를 위하여1795>, <도덕 형이상학1797> 등을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