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작 I.1

$34.02
SKU
978895733675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5/11
Pages/Weight/Size 152*225*30mm
ISBN 9788957336755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유작』(Opus postumum)을 통해 노년의 칸트를 만나다!
‘한국어 칸트전집’으로 제1∼3묶음 최초 완역 출간!


-신과 세계, 철학과 철학함에 대한 칸트의 간결하고 흥미로운 철학적 아포리즘
-노년기 칸트의 인간적인 면모와 칸트 사상의 전체를 조망하는 보람도 거둘 수 있어
-비판철학으로서의 칸트 사상과 상치되는 내용, 이성의 전진(前進)인가, 역진(逆進)인가?

이 책은 칸트(1724~1804)가 남긴 『유작』으로 통칭되는 그의 말년의 단편 내지 단편적 초고 묶음의 4분의 1 남짓(총 13개 묶음글 가운데 앞의 3개 묶음글)을 한국어로 옮기고 주해한 것이다. ‘칸트전집’을 대표하는 베를린 학술원판 전집은 제21권과 제22권 그리고 제23권에 이 『유작』을 수록하고 있는데, 『유작』 I.1은 제21권의 절반(머리말과 1~334면)을 역주한 것이다.

『유작』은 칸트 노년(1796~1803)의 일상과 철학적 사념의 자취를 보여주고 있어서 신과 세계, 철학과 철학함 등에 대한 칸트의 간결하고 매혹적인 철학적 아포리즘을 발견하는 기쁨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비판철학자로서의 칸트의 사상과 모순되는 것처럼 보이는 내용들도 담고 있어 칸트 철학 연구자들의 비상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역해자에 따르면 비판철학자 칸트에게 형이상학은 ‘자유 형이상학’ 곧 ‘윤리 형이상학’만이 가능했다. 그러나 노년의 칸트는 ‘자연 형이상학’ 곧 ‘존재 형이상학’을 포함한 ‘하나의 형이상학 체계’를 모색하고 있어, “『유작』이 비판적 이성의 전진(前進)인가 또는 역진(逆進)인가?”라는 물음을 야기한다.
Contents
책을 내면서 5

제1부 『유작』 해제 15

『유작』 해제 17
칸트 『유작』의 성격과 의의 17
조각글 ‘묶음’들의 대강 20
『유작』 I.1의 주요 주제들 21
형이상학으로서의 초월철학 21
자연과학의 형이상학적 기초원리들에서 물리학으로의 이행(I) 29
우주의 근원적 원소로서의 에테르/열소(I) 34
칸트 논저 약호(수록 베를린 학술원판 전집 권수)와 한국어 제목 40
『유작』 관련 주요 문헌 49

제2부 『유작』 I.1 역주 67

역주의 원칙 69
유사어 및 상관어 대응 번역어 표 72
『유작』 I.1 역주 101
편자 서문 103
제1묶음 107
제2묶음 277
제3묶음 379
『유작』 I.1 찾아보기 449
일러두기 451
인물 찾아보기 453
개념 찾아보기 457
Author
임마누엘 칸트,백종현
철학자 칸트는 63세에 이르러 집을 소유할 수 있었다. 그때는 이미 결혼 적령기를 한참이나 지난 나이였다. 쉰일곱 살에 첫 번째 위대한 저작 <순수이성비판1781>을 출간했다. 십 년을 넘게 시간강사 생활을 이어가다 마흔여섯 살이 돼서야 자기 고향에 있는 쾨니히스베르크 대학의 철학과 교수가 될 수 있었다. 세상에 자신을 알아주는 이가 드물고 남들보다 성과가 없는 고단한 인생이라면 뒤늦게 빛을 본 칸트의 인생을 떠올려 봄직하다. 평범한 서민의 아들이었으며 젊어서 두각을 나타낸 인물도 아니었고 부와 명예를 위해 활발하게 활동한 사람도 아니었다. 그러나 칸트는 늦은 나이에 빛을 내기 시작한 천재였다. 인류 스스로 과감하게 생각하라는 메시지를 던진 계몽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철학자였다. 또한 그 자신이 인류가 현대의 정신세계로 진입할 수 있는 커다란 출입문이었다. <도덕 형이상학의 기초 1785>, <실천이성비판1788>, <판단력 비판 1790>, <영원한 평화를 위하여1795>, <도덕 형이상학1797> 등을 썼다.
철학자 칸트는 63세에 이르러 집을 소유할 수 있었다. 그때는 이미 결혼 적령기를 한참이나 지난 나이였다. 쉰일곱 살에 첫 번째 위대한 저작 <순수이성비판1781>을 출간했다. 십 년을 넘게 시간강사 생활을 이어가다 마흔여섯 살이 돼서야 자기 고향에 있는 쾨니히스베르크 대학의 철학과 교수가 될 수 있었다. 세상에 자신을 알아주는 이가 드물고 남들보다 성과가 없는 고단한 인생이라면 뒤늦게 빛을 본 칸트의 인생을 떠올려 봄직하다. 평범한 서민의 아들이었으며 젊어서 두각을 나타낸 인물도 아니었고 부와 명예를 위해 활발하게 활동한 사람도 아니었다. 그러나 칸트는 늦은 나이에 빛을 내기 시작한 천재였다. 인류 스스로 과감하게 생각하라는 메시지를 던진 계몽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철학자였다. 또한 그 자신이 인류가 현대의 정신세계로 진입할 수 있는 커다란 출입문이었다. <도덕 형이상학의 기초 1785>, <실천이성비판1788>, <판단력 비판 1790>, <영원한 평화를 위하여1795>, <도덕 형이상학1797> 등을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