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서적 전문출판 서광사에서 『How로 본 중국철학사』를 출간하였다. 이 책의 저자는 대만 대만대학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강원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남상호 교수이다. 저자는 [육경과 공자인학], 『한시로 만나는 제자백가』 등 이미 동양 철학에 관한 저서를 10여 권 저술한 바 있다.
저자는 서문에서 지난 1992년부터 중국 철학에 대한 연구 방법을 ‘무엇’(What)에서 ‘어떻게’(How)로 바꾸면서, 일체를 하나의 ‘방법’으로 보게 되었다고 말한다. 그렇게 방법의 눈으로 사물을 보는 것이 ‘방법론적 세계관’인데, 저자의 방법론적 세계관은 무연관(無然觀)으로 정리할 수 있다. 무연(無然)의 ‘무’(無)는 역설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부정어이고, ‘연’[然]은 일체 사물을 지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무연은 무연 자체도 무연하게 포월(包越)할 수 있는 원형사형 개념이라 할 수 있다. 그런 개념으로 건립된 무연관은 어떤 철학적 개념도 하나의 ‘방법’으로 볼 수 있는 방법론적 세계관이다. 저자의 관점은 바로 무연관이다.
이 책 제1장에서는 중국 철학 방법론의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 중국 철학 방법상 특질과 주요 방법 등을 짚어 보고, 제2장에서는 중국 철학 본체론의 특징을 유가?불가?도가로 나누어 살펴본 뒤 본체론 이외 영역과의 체용론적 이해에 대해 알아본다. 제3장부터는 제25장까지는『주역』, 관자, 공자, 맹자, 순자, 학용(『대학』과 『중용』), 노자, 장자, 묵자, 한비자, 『여씨춘추』, 동중서, 『회남자』, 사마천, 양웅, 천태종, 화엄종, 선종, 장재, 주희, 왕수인, 왕부지, 웅십력 등 중국의 주요 사상가 및 저서를 방법론적 관점으로 체계적이고 일목요연하게 분석한다. 그리고 제26장에서는 앞에서 다뤘던 각 사상의 방법론들을 공시적?통시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저자의 방법론적 관점에서 제자백가 및 중국의 사상가들을 새롭게 분류해 본다. 마지막으로 제27장에서는 본체론적 세계관의 한계를 지적하고, 저자의 방법론적 세계관, 즉 무연관이 어떻게 본체론적 세계관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지 심도 있게 다룬다.
What 중심의 철학은 명사형 철학이 되고, How 중심의 철학은 동사·형용사형 철학도 되며, 심지어 부사형 철학도 될 수 있다. 중국 철학에 대해 How로 물어 “중국의 철인들은 자신의 철학을 어떻게 건설했는가?”라고 묻는다면 어떤 대답이 가능할까? 저자는 “세계관적 목적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나머지 범주가 결정되며, 세계관적 범주 간의 관계에 따라 그 철학 사상의 성격이 결정된다”고 대답할 것이다.
저자의 저서 중 『한시로 만나는 제자백가』 등은 운문으로 쓴 것이고, 『How로 본 중국철학사』등은 산문으로 쓴 것이다. 저자가 그렇게 운문으로 저술한 것은 중국의 제자백가들이 그랬듯이 시적 상상을 통해 우리의 자생적 창의 철학을 꿈꾸기 위한 것이다. 그래서 저자는 새로운 철학을 위해 ‘운문으로 꿈꾸고 산문으로 해몽하라’고 권한다.
Contents
서문 5
제1장 중국 철학 방법론 서설 15
1. 연구 목적 17
2. 세계관 19
3. 방법 23
4. 방법 중심의 연구 방법 26
5. 중국 철학의 방법상 특질과 주요 방법 31
1) 중국 철학의 방법상 특질 31
2) 중국 철학의 주요 방법 33
3) 중국 철학의 한계 극복 문제 34
제2장 중국 철학 방법의 형이상학적 기초 35
1. 중국 철학 본체론의 특징 36
2. 중국 철학의 본체론 39
1) 유가: 道, 仁, 理, 乾元, 太極 39
2) 도가: 道, 無, 一, 無極, 太一 48
3) 불가: 空, 佛性, 眞如 50
3. 본체론 이외 영역과의 체용론적 이해 52
4. 결론 58
제3장 주역의 천인합덕의 방법 61
1. 방법론적 배경 63
2. 주요 방법 68
1) 음양론과 생명 69
2) 시위론과 중용 74
3) 천인합덕론과 인 79
3. 삶으로의 복귀 85
제4장 관자의 중정화조의 방법 89
1. 방법론적 배경 92
2. 주요 방법 95
1) 기초 방법 - 중정화조 95
2) 경제적 방법 - 족식 99
3) 정치적 방법 - 정명 102
4) 법적 방법 - 공평무사 106
5) 외교 군사적 방법 - 사대자소 111
6) 윤리 도덕적 방법 - 정덕입중 114
7) 종교적 방법 - 봉천명 117
3. 삶으로의 복귀 118
제5장 공자의 문질빈빈의 방법 121
1. 방법론적 배경 123
2. 주요 방법 124
1) 시적 방법 125
2) 선후본말적 방법 127
3) 중용의 방법 129
4) 중심 방법의 도출 136
5) 문질론을 중심으로 본 방법 간의 관계 139
3. 삶으로의 복귀 141
제6장 맹자의 배의여도의 방법 143
1. 방법론적 배경 145
2. 주요 방법 148
1) 도덕적 주체성의 회복과 확충을 위한 기본 방법 148
2) 도덕적 주체성의 회복과 확충 155
3. 삶으로의 복귀 161
제7장 순자의 예악화성의 방법 163
1. 방법론적 배경 165
1) 12자에 대한 비판 166
2)「해폐」에서의 비판 170
3) 순자의 대안과 철학적 개념의 정립 173
2. 주요 방법 175
1) 예악론 179
2) 화성론 185
3. 삶으로의 복귀 196
제8장 학용의 진성명덕의 방법 199
1. 방법론적 배경 201
2. 주요 방법 204
1)『대학』의 선후본말적 방법과 수기치인 205
2)『중용』의 중용적 방법과 성기성물 208
3. 삶으로의 복귀 213
제9장 노자의 무위자연의 방법 215
1. 방법론적 배경 216
2. 주요 방법 218
1) 자기부정의 방법 218
2) 직관적 방법 223
3) 자기부정의 방법과 직관의 결합 227
4) 수양론과 현실적인 최소한의 긍정 228
3. 삶으로의 복귀 231
제10장 장자의 여도합일의 방법 233
1. 방법론적 배경 235
1) 무한 우주관과 소요유적 인생관 236
2) 세계관적 인식의 중지와 직관 238
2. 주요 방법 241
1) 내적 갈등 구조의 해소 242
2) 외적 갈등 구조의 해소 245
3) 자연 본성의 회복 247
4) 자연과 현실 248
3. 삶으로의 복귀 251
제11장 묵자의 겸애교리의 방법 255
1. 방법론적 배경 256
2. 주요 방법 259
1) 양진법 264
2) 삼표법 265
3) 실천 방법 269
3. 삶으로의 복귀 274
제12장 한비자의 포법처세의 방법 277
1. 방법론적 배경 278
2. 주요 방법 282
1) 법 282
2) 술 287
3) 세 292
4) 법·술·세의 통합 294
3. 삶으로의 복귀 296
제13장 여씨춘추의 여원동기의 방법 299
1. 방법론적 배경 300
2. 주요 방법 304
1) 전생의 방법 308
2) 제자백가 세계관의 통합 방법 311
3) 정치적 천하통일과 방법 332
3. 삶으로의 복귀 338
제14장 동중서의 천인감응의 방법 341
1. 방법론적 배경 342
2. 주요 방법 348
1) 천인감응론의 기초 349
2) 실천 방법 357
3. 삶으로의 복귀 375
제15장 회남자의 도사일통의 방법 379
1. 방법론적 배경 381
2. 주요 방법 389
1) 만수위일의 통합론 392
2) 집일응만의 실용론 400
3. 삶으로의 복귀 413
제16장 사마천의 승폐통변의 방법 415
1. 방법론적 배경 417
2. 주요 방법 421
1) 구천인통고금의 방법 421
2) 승폐통변의 방법 430
3. 삶으로의 복귀 440
제17장 양웅의 응시변경의 방법 443
1. 방법론적 배경 445
1) 실용적 지변 사관 446
2) 실용적 진리관 448
2. 주요 방법 449
1)『 방언』의 방법 451
2)『 태현』의 방법 456
3)『 법언』의 방법 463
3. 삶으로의 복귀 467
제18장 천태종의 정혜쌍수의 방법 471
1. 방법론적 배경 473
2. 주요 방법 476
1) 정혜쌍수의 기초 방법 477
2) 교판론 480
3) 지관론 482
3. 삶으로의 복귀 492
제19장 화엄종의 상즉원융의 방법 495
1. 방법론적 배경 496
2. 주요 방법 498
1) 오교십종론 498
2) 상즉원융론 500
3. 삶으로의 복귀 518
제20장 선종의 일행삼매의 방법 521
1. 방법론적 배경 523
1) 불경의 영향 526
2) 조사의 영향 531
3) 전통 철학 사상의 영향 534
2. 주요 방법 537
1) 역설적 부정법 539
2) 직심발행의 방법 545
3. 삶으로의 복귀 548
제21장 장재의 허체화용의 방법 551
1. 방법론적 배경 552
2. 주요 방법 558
1) 용즉체의 태허 본체론 558
2) 취산무궁의 태화 우주론 564
3) 성명의 천도 도덕론 572
3. 삶으로의 복귀 585
제22장 주희의 이일분수의 방법 587
1. 방법론적 배경 588
1) 이일분수설의 철학사적 배경 588
2) 유가의 부흥과 이일분수설 596
2. 주요 방법 597
1) 이일과 분수의 관계 597
2) 주희의 형이상학과 이일분수설 601
3) 주희의 인식론·가치론과 이일분수설 604
4) 이일분수설에 대한 비판과 대안 607
3. 삶으로의 복귀 611
제23장 왕수인의 직치양지의 방법 613
1. 방법론적 배경 614
1) 전통 유가의 문제 614
2) 주희의 이원론적 문제 615
2. 주요 방법 617
1) 치의 두 가지 의미 619
2) 지의 두 가지 의미 626
3) 직치양지와 성성경세 633
3. 삶으로의 복귀 638
제24장 왕부지의 기체도용의 방법 641
1. 방법론적 배경 642
2. 주요 방법: 기체도용론 646
3. 주요 문제 651
1) 도가와 유무·생성 문제 652
2) 불가와 적멸·생사 문제 654
3) 정주학의 도체기용적 문제 656
4) 유가적 실용성 확보의 문제 659
4. 삶으로의 복귀 662
제25장 웅십력의 반구실증의 방법 665
1. 방법론적 배경 667
2. 주요 문제 670
1) 도·불가 철학의 문제 670
2) 서양 철학의 문제 672
3. 주요 방법 675
1) 체용론 676
2) 반구실증론 681
4. 삶으로의 복귀 689
제26장 중국 철학 방법의 종횡 관계 691
1. 공시적 고찰 693
2. 통시적 고찰 697
3. 신편 제자백가 703
제27장 방법론적 세계관에 관하여 709
1. 존재와 개념의 함정 709
2. 방법(How)과 무연관 714
3. 무연관의 인식론 725
4. 무연관적 형이상학 726
5. 무연관과 중국 철학 732
후기 735
1. 멈출 수 없는 대장정의 어느 역에서 735
2. 철학적 자유정신의 부활 738
3. 시적 방법과 무연관 740
4. 마지막 한 삼태기의 흙 7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