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성은 이제 더 이상 먼 미래의 일이 아니다. 급박한 현실문제이자 가장 첨예한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저성장과 인구감소로 인한 경제위기, 기후변화에서 오는 환경위기, 계층·종교·인종·젠더갈등에서 비롯된 사회위기가 심화되며 인간의 세계가 지금처럼 지속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의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인류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는데 있어 특히 중요한 것이 도시다.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 우리나라의 인구의 90%가 도시에 산다. 때문에 도시를 지속가능하게 바꾼다면 인간의 세계도 지속가능할 수 있다. 이 책은 기존의 성장 vs 반성장 도시 패러디임이 지속가능도시 패러다임으로 수렴되고 있다는 점일 밝히면서 지속가능도시를 만드는 세 가지 힘이 무엇인지 탐구한다.
첫째, 회복탄력성, 이는 저성장과 인구감소, 기후위기 등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압력을 견뎌내며 도시를 유지하는 힘을 말한다. 둘째, 혁신은 지금껏 겪어본 적 없는 다양한 도시문제를 새로운 기술과 시스템을 통해 해결하고 미래를 향해 도시를 전진하게 하는 역량, 다시 말해 나아가는 힘이다. 셋째, 포용, 떠받치는 힘이다. 다양한 인재들이 장벽없이 소통하는 도시에서 혁신이 창조되며 그로부터 강한 회복탄력성이 창출된다. 재산과 피부색, 종교와 성별 등으로 사람을 차별하고 배제하지 않는 포용적 사회는 지속가능도시의 가장 기본적인 전제조건이다.
04 Governance: 열 사람의 한 걸음이 지속가능성
도시정부 실천과제 1: 집단지성으로 합리성과 반부패를 성취하라
도시정부 실천과제 2: 집단지성을 제도화하라
도시정부 실천과제 3: 참여와 협치의 효능을 느끼게 하라
Ⅲ. 지속가능도시, 현재와 미래 사이
01 도시경제, 디자인에서 해법을 찾다
Economy, 지속가능도시의 첫 번째 실마리
대도시와 중소도시, 같은 목표 다른 길
성수동의 경험, 포용적 디자인이 혁신을 이루다
02 선진국 대한민국, 아래로부터의 환경혁명
기후위기, 환경문제면서 경제문제
지방정부가 앞장서는 대한민국 환경혁명
성동구의 환경혁명, 스타트업과 함께
03 강한 사회가 지속가능도시를 만든다.
사회를 만드는 사회정책
사회서비스, 지방정부의 임무
스마트 포용도시 성동
04 지속가능도시의 디딤돌은 참여와 협치다.
집단지성, 혁신을 이끄는 힘
시민참여 활성화, 구체적 의제와 충분한 교육
성동형 거버넌스, 갈등 속에서 피운 꽃
Author
정원오
서울시 성동구청장, 서울특별시 도시계획위원, 도시재생협치포럼 공동대표. 여수에서 태어나 학창시절을 보내고 서울시립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공부했고 한양대학교 도시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대학시절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으며, 20대에 자치구 비서실장을 시작으로 국회의원 보좌관, 국회보좌관협의회장, 지방공기업 상임이사, 대학 특임교수 등 입법·정책·정무 분야에서 이론과 실무를 겸했다. 저서로는 『성동을 바꾸는 100가지 약속(성동의 미래지도)』, 『도시의 역설, 젠트리피케이션』, 『도시의 혁신, 스마트시티』 등이 있다.
2014년부터 성동구청장으로 일하면서 필수노동자 지원정책, 소셜벤처 육성정책, 젠트리피케이션 방지정책을 전국 최초로 추진하여 전국적으로 확산시켰다. 사회적 약자에서 시작해 모든 시민이 참여하고 도시의 혜택을 누리는 포용도시를 만드는 것이 저자의 꿈이다.
서울시 성동구청장, 서울특별시 도시계획위원, 도시재생협치포럼 공동대표. 여수에서 태어나 학창시절을 보내고 서울시립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공부했고 한양대학교 도시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대학시절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으며, 20대에 자치구 비서실장을 시작으로 국회의원 보좌관, 국회보좌관협의회장, 지방공기업 상임이사, 대학 특임교수 등 입법·정책·정무 분야에서 이론과 실무를 겸했다. 저서로는 『성동을 바꾸는 100가지 약속(성동의 미래지도)』, 『도시의 역설, 젠트리피케이션』, 『도시의 혁신, 스마트시티』 등이 있다.
2014년부터 성동구청장으로 일하면서 필수노동자 지원정책, 소셜벤처 육성정책, 젠트리피케이션 방지정책을 전국 최초로 추진하여 전국적으로 확산시켰다. 사회적 약자에서 시작해 모든 시민이 참여하고 도시의 혜택을 누리는 포용도시를 만드는 것이 저자의 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