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응 스님 명저 『깨달음과 역사』 영문판 발간
불광출판사, 한국불교 저변확대 위해 미국 출판시장 진출!
‘깨달음 논쟁’을 촉발시킨 현응 스님(조계종 교육원장)의 화제작 『깨달음과 역사』가 영문으로 출간되었다. 번역은 미국 미네소타주립대 교수인 홍창성, 유선경 두 교수 부부가 맡았다. 이번 영문판 『깨달음과 역사』는 1990년 초판 발행 이후 개정판(2009)과 개정증보판(2016)에 이은 것으로, 미국 출판시장 개척과 한국불교 저변확대를 위해 기획되었다. 영문판 『깨달음과 역사』가 영미권 독자들에게 어떻게 다가가고 해석될지 기대를 모은다.
『깨달음과 역사』는 민주화 요구가 거세지던 1980년대 중후반, 무엇이 시대에 부합하는 불교인지 고민했던 현응 스님의 성찰이 담긴 책이다. 책 제목에서 말하는 깨달음이란 변화하는 관계성의 법칙, 즉 공의 시각으로 삶을 조망하는 것이고, 역사란 현실에서 살아가는 ‘존재들’의 삶과 그 삶이 벌어지는 장소를 말한다. 현응 스님은 깨달음의 시각으로 역사를 비춰보고 실현하는 실천적 삶을 천명하며 사회문제를 도외시하는 것은 불교가 아님을 피력했다. 이러한 파격적인 내용은 많은 불교도에게 역사를 인식하는 안목을 열어주었으며 불교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서슬 퍼런 1980년대에 이토록 날카롭고 비판적인 시각으로 민중불교운동을 논의했다는 것은 큰 용기가 필요한 일이었고, 현응 스님의 뜻에 공감하는 많은 독자들이 지지를 표했다. 이러한 독자들의 성원이 지난 27년 동안 이 책의 생명을 유지시킨 힘의 원천이 되었다.
『깨달음과 역사』의 저력은 지난 2015년 발간 25주년을 기념하여 ‘깨달음과 역사, 그 이후’라는 주제로 학술세미나를 개최할 때 다시 드러났다. 세미나를 통해 많은 스님들과 불교학자들 사이에 깨달음에 관한 논의가 벌어졌고, 이를 계기로 한국불교계에 ‘깨달음 논쟁’을 촉발시켰다. 이 과정에서 『깨달음과 역사』 개정증보판이 출간되고, 평소 현응 스님의 불교적 해석에 적극적인 지지를 보낸 미국 미네소타주립대 홍창성, 유선경 두 교수가 영문으로 번역해 발간하는 동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홍창성 교수는 “현재 미국의 지식인층이 불교에 주목하고 있고, 『깨달음과 역사』만큼 현대적 관점에서 독창적으로 동아시아 불교를 논의하고 있는 책이 없기 때문에 짧은 기간 안에 스님의 책이 많이 알려질 것”이라고 전망한다.
Contents
Translators’ Note
Introduction
1. Twelve Letters for My Dharma Brothers
January Letter_Mahayana and Hinayana
February Letter_No-Mind Is the Way
March Letter_Just Clarify, No Holiness
April Letter_Transmigration and Liberation
May Letter_Form Is Emptiness, Emptiness Is Form
June Letter_Sudden Enlightenment, for the Revolutionary Enlightenment
- The Twofold Structure of Emptiness
July Letter_Sudden Enlightenment, for the Revolutionary Enlightenment
- The Great Way Is Gateless
August Letter_Sudden Enlightenment, for the Revolutionary Enlightenment
- Enlightenment and History
September Letter_Sudden Enlightenment, for the Revolutionary Enlightenment
- On the Doctrine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and the Doctrine of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Cultivation
October Letter_Mind · The Buddha · Sentient Beings
November Letter_The Journey of Bodhisattva
December Letter_The Buddha’s Pure Land
2. Awakening - Enlightenment
3. A Stroll for Enlightenment
4. Critique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and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Cultivation
5. Buddhism Approaching History
Buddhism and Society
The Social Practice of Buddhism
For the Mahayanist Progress of People’s Buddhism Movement
6. Basic Buddhism and Mahayana Buddhism
Glossary
한국어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1장 사제(師弟)에게 보내는 열두 번의 편지
1월_ 대승과 소승
2월_ 무심시도(無心是道)
3월_ 확연무성(廓然無聖)
4월_ 윤회와 해탈
5월_ 색즉시공 공즉시색
6월_ 공(空)의 이중적 구조
7월_ 대도무문(大道無門)
8월_ 깨달음과 역사
9월_ 돈오점수설, 돈오돈수설에 대해
10월_ 마음·부처·중생
11월_ 보살만행(菩薩卍行)
12월_ 불국정토(佛國淨土)
2장 각(覺) - 깨달음
3장 깨달음을 위한 산책
4장 돈오점수, 돈오돈수설 비판
5장 역사에 다가가는 불교
불교와 사회
불교의 사회적 실천
민중불교운동의 대승적 전개를 위하여
6장 기본불교와 대승불교
Author
현응,홍창성,유선경
현응(玄應)스님은 1955년 경남 창원에서 태어났다. 불교에 인연이 있어 1971년 해인사로 출가해 종성(宗性) 화상을 은사로 수계했다. 해인사승가대학을 졸업하였고, 민족문화추진위원회의 국역연수원에서 수학하다가 봉암사, 해인사 등 제방선원에서 정진하기도 하였다. 해인사승가대학에서 강의를 하였으며, 불교단체(대승불교승가회, 선우도량, 실천불교승가회 등)를 결성하여 활동했으며 사찰과 종단 소임을 역임했다(총무원 기획실장, 중앙종회의원, 불교신문사 사장, 해인사 주지). 현재는 조계종 교육원장으로 선출되어 재임 중이다. 저서로는 『깨달음과 역사(2009)』가 있다.
현응(玄應)스님은 1955년 경남 창원에서 태어났다. 불교에 인연이 있어 1971년 해인사로 출가해 종성(宗性) 화상을 은사로 수계했다. 해인사승가대학을 졸업하였고, 민족문화추진위원회의 국역연수원에서 수학하다가 봉암사, 해인사 등 제방선원에서 정진하기도 하였다. 해인사승가대학에서 강의를 하였으며, 불교단체(대승불교승가회, 선우도량, 실천불교승가회 등)를 결성하여 활동했으며 사찰과 종단 소임을 역임했다(총무원 기획실장, 중앙종회의원, 불교신문사 사장, 해인사 주지). 현재는 조계종 교육원장으로 선출되어 재임 중이다. 저서로는 『깨달음과 역사(2009)』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