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제임스 E. 로더(James E. Loder, 1931~2001)의 대표적인 세 저서를 다룬다.
“The Transforming Moment”
“The Logic of the Spirit”
“The Knight's Move”
변형의 순간
영의 논리
기사의 움직임
로더의 책 “변형의 순간”은 인간의 인식 영역을 4중성(fourfold)으로 본다. 4중성(fourfold)은 인간 자신의 환경적 요인인 세계(world), 인간 자신인 자아(self), 인간에게 다가오는 죽음의 가능성인 공허(void), 마지막으로 인간에게 새로운 존재 가능성을 전달하는 주최자인 거룩(Holy)이다.
본 책은 로더가 말하는 인간 인식의 4중성을 4차원의 개념으로 재구성했다. 로더는 인간 인식의 4중성이 현재의 차원과 다른 차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했다. 그러나 이 책은 적극적인 의미에서 차원을 나눈다. 그 이유는 거룩(Holy)이 우리가 존재하는 시공간을 넘어서는 하나님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자아는 세계 안에서 상호 작용(?) 하면서 일방적으로 침범하여 들어오는 공허(죽음)의 공포(?)를 수용할 수밖에 없는 존재다. 그러나 거룩(Holy)이 인간 존재를 초월한 위치에서 임재(?)하면 자아의 환경과 일방적인 죽음의 틈입으로 인한 공포는 생명으로 변형된다. 그에 따라 인간도 거룩(Holy)을 향해 응답(↑)하고 거룩(Holy)을 지향(↑)하는 존재가 된다.
이 책은 위의 그림이 보여주는 화살표의 관계 “?, ?, ?, ↑”를 4차원적 변형과 치유로 구성했다. 1차원은 죽음 즉 공허(void)다. 세계를 살아가는 인간 존재는 죽음의 일방적인 침입을 경험한다. 1장에서 나오는 1차원 즉 공허의 내용은 죽음의 공포이고 그것을 인간 생애 8단계로 각각 설명하고 있다.
2차원은 세계(world)다. 인간이 살아가는 세계는 중립적 관점을 강요해왔다. 사회, 문화, 교육의 모든 영역에서 성경적 세계관을 배제한다. 특히 과학은 ‘하나님의 존재 증명 불가’라는 이유로 신앙을 금기의 영역으로 취급했다. 기독교도 과학은 신앙을 방해하는 학문으로 취급하였다. 로더는 신학과 과학의 이원화 현상을 극복하고자 신학과 과학의 대화를 시도했다. 2차원 세계(world)는 과학으로 신학을 재해석하는 시도를 보여준다.
3차원은 자아(self) 즉, 인간이다. 인간은 3차원적 존재다. 3차원은 시간과 공간으로 구성된 영역이다. 인간은 세계(world)라는 공간에서 살며 죽음이라는 시간의 흐름을 맞이하는 존재다. 그 가운데 인간은 주어진 본성(nature) 즉, 생존의 본능을 바탕으로 학습된 속성(nurture)을 상호작용하며 세계에 적응한다. 그러나 인간 존재는 죽음 앞에서 ‘영원성’을 생각해야 하는 존재다. 인간은 죽음이라는 유한성의 공포와 영원한 생명이라는 새로운 가능성 앞에 그 어느 것 하나 혼자서 완전한 답을 내릴 수 없다. 그리고 그 답은 인간 존재가 살고 있는 3차원 공간을 초월한 존재인 거룩(Holy)으로부터 찾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4차원은 거룩(Holy) 즉, 하나님이다. 거룩은 죽음(nothingness)으로 가는 인간을 영원한 생명으로 변형을 일으키는 주최자다. 그리고 로더는 거룩이신 하나님이 단지 인간의 영생만을 위해 일하시는 분이 아님을 강조한다. 하나님은 인간의 전 생애에서 역사하시는 ‘창조주의 영’이다. 인간의 모든 생을 주관하고 창조하는 하나님의 영을 강조한다. 이 ‘창조주의 영’은 강력한 성령의 체험만을 전달하는 분이 아니라 말씀과 지식을 통해 일상에서도 역사하신다.
Contents
시작하는 말 | 인간 존재의 4차원 6
제 1장 1차원 인간 존재의 첫 번째 차원 공허(void) 15
1. 공허(죽음)의 에너지 부정(negation) 17
2. 공허(죽음)의 가면 18
3. 공허(죽음)의 원인 원죄 21
4. 공허(죽음)의 8단계 23
1단계: 초기 유아기(infancy) “부정(negation)의 승리” 24
(1) 불신의 발생 24
(2) 죽음본능 26
(3) 의존의 비참함 1유형: 생존 29
(4) 죽음본능의 사례 31
2단계: 걸음마기(toddler) “인간 반항의 기원” 35
(1) 수치심의 발생 35
(2) 공격본능 38
(3) 의존의 비참함 2유형: 독립 40
(4) 수치심의 사례 44
3단계: 오이디푸스 아동(Oedipal child) “성과 죽음” 51
(1) 죄책감의 발생 51
(2) 병리적 종교 52
(3) 의존의 비참함 3유형: 집착 53
(4) 죄책감의 사례 57
4단계: 학령기 아동(school child) “일과 성취의 모호성” 62
(1) 열등감의 발생 62
(2) 성취중독 63
(3) 열등감의 세 종류 65
① 의존의 비참함 1유형: 죽음본능에서 오는 열등감 65
② 의존의 비참함 2유형: 과잉보호에서 오는 열등감 66
③ 의존의 비참함 3유형: 금기된 욕구와 남근선망 열등감 67
(4) 성취중독의 사례 69
5단계: 청소년기(adolescence) “청소년 정체성의 다섯 축” 72
(1) 역할혼란의 발생 72
(2) 청소년 비행 73
(3) 역할혼란의 세 종류 74
① 의존의 비참함 1유형: 죽음본능에서 오는 역할혼란 74
② 의존의 비참함 2유형: 과잉보호에서 오는 역할혼란 75
③ 의존의 비참함 3유형: 금기된 욕구와 남근선망 역할혼란 75
(4) 역할혼란의 사례 76
6단계: 성인전기(young adulthood)
“사랑에 몰두하며 정체성을 위협함” 78
(1) 고립감의 발생 78
(2) 고립 속 함몰(absorption)과 파멸(annihilation) 79
(3) 고립된 사랑의 세 종류 80
① 의존의 비참함 1유형: 죽음본능에서 오는 고립 81
② 의존의 비참함 2유형: 과잉보호에서 오는 고립 82
③ 의존의 비참함 3유형: 금기된 욕구와 고립 83
(4) 고립의 사례 84
7단계: 중년기(middle age) “양극의 붕괴” 87
(1) 침체의 발생 87
(2) 죽음의 직감 87
(3) 버거운 인생의 무게 88
(4) 침체의 사례 89
8단계: 노년기(beyond 65) “총체적 절망” 92
(1) 절망의 발생 92
(2) 절망의 사례 94
*1차원을 정리하며 95
제 2장 2차원 인간 존재의 두 번째 차원 세계(world) 99
1. 세계(world)의 정의와 특성: 과학과 신학의 관계를 중심으로 100
1) 객관성과 주관성이 공존하는 세계 100
2) 중립이 강요되는 세계 101
3) 세계에 대한 신학적 왜곡 102
2. 중립적 세계를 향한 선택과 집중의 주제 104
1) 중립에서 선택으로: 영(spirit)의 발견 104
2) 중립에서 선택으로: 영(spirit)의 관련성 104
3) 양적 변증법에서 질적 변증법으로 106
3. 질적 변증법과 변형 109
1) 양극의 조율(marginal control) 109
2) 질적 변증법(qualitative dialectic)의 해설 111
3) 질적 변증법(qualitative dialectic)의 과학적 해설 113
① 상호 완성(coexhaustiveness)과 상호 배타성(mutual exclusiveness) 114
② 공통적 특성(common) property)과 병행적 특성(conjugate property) 115
③ 공존(coinherence)과 상호 호혜(reciprocity) 116
④ 스스로 완전함(completeness)과 공동의 필요성(necessity) 117
⑤ 비대칭성(asymmetry)과 지향(pointing) 118
4. 관계적 인식: 변형과 치유 121
1) 불완전한 인간 발달의 변형과 치유 123
2) 시간의 재정의 124
*2차원을 정리하며 124
제 3장 3차원 인간 존재의 세 번째 차원 자아(self) 127
1. 인간의 ‘영’과 ‘육체’ 128
2. ‘하나님의 영’과 ‘인간의 영’ 130
3. 원죄와 구원 131
4. ‘하나님의 영’과 ‘인간의 영’의 관계적 연결 134
5. 자아(self)의 8단계 137
1단계: 초기 유아기(infancy) “생존의 본능” 139
(1) 나르시시즘과 생존 139
(2) 에릭슨의 과업 신뢰구축 139
(3) 지능 본능 140
(4) 얼굴 추구 본능 143
2단계: 걸음마기(toddler) “자유의 본능” 145
3단계: 오이디푸스 아동(Oedipal child) “주도의 본능” 149
(1) 신체, 인지 발달 그리고 성 차이 지각 149
(2) 상상력이 주는 힘 150
(3) 지능의 발달 151
(4) 최초 성의 발달 152
(5) 거울 대상과 이상화 대상 154
4단계: 학령기 아동(school child) “일의 본능” 156
(1) 근면성: 사회화의 시작 156
(2) 피아제의 인지 발달 157
(3) 두 세계의 자유로운 왕래 157
5단계: 청소년기(adolescence) “자아 발견의 본능” 160
(1) 청소년기의 과업: 정체성 160
① 신체적 축: 시간과 공간 160
② 이데올로기의 축 162
③ 권위의 축 164
④ 사랑의 축 165
⑤ 일의 축 166
(2) 청소년기의 가능성 167
6단계: 성인전기(young adulthood) “친밀의 본능” 169
(1) 청년기의 과업: 친밀감 169
(2) 꿈의 공유 170
7단계: 중년기(middle age) “세대 전수의 본능” 171
(1) 중년기 과업: 생산성 171
(2) 중년기의 인지 171
(3) 반대성향의 출현 172
8단계: 노년기(beyond 65) “자아 통합의 본능” 176
(1) 노년기 과업: 자아 통합 176
(2) 노년기 삶의 안내 176
(3) 죽음 이후의 삶 178
*3차원을 정리하며
제 4장 4차원 인간 존재의 네 번째 차원 거룩(Holy) 181
1. 거룩(Holy)의 정의 182
2. 중보자 거룩(Holy) 184
3. 거룩(Holy) 체험의 양식 185
4. 예수 그리스도의 8가지 성품 188
1단계: 초기 유아기(infancy) “영원한 얼굴의 발견” 188
(1) 영원히 떠나지 않는 얼굴 188
① 하나님의 형상인 인간 189
② 하나님의 얼굴로 나아감 190
③ 죄의 기원 191
(2) 기본적 불신에서 기본적 신뢰로 4차원적 변형 사례 191
① 영원히 떠나지 않는 의존대상의 발견 191
② 치료의 과정 194
2단계: 걸음마기(toddler) “인간 걸음마, 궁극의 도착지” 197
(1) 인간 걸음마, 궁극의 도착지 197
① 예수 그리스도의 자율성 197
② 저 세상으로의 전환적 중간대상 “십자가” 199
(2) 수치심에서 자율성으로 4차원적 변형 사례 201
① 수치심 가운데 발생한 용기 201
② 치료의 과정 203
3단계: 오이디푸스 아동(Oedipal child) “존재의 차이 예배의 기원” 206
(1) 성 차이 지각에서 존재 차이의 지각까지 206
① 성 욕동(sexual drive)과 영적 갈망(spiritual drive) 206
② 성 차이 지각과 존재 차이의 지각 208
(2) 성, 죽음에서 주도적 예배의 시작 4차원적 변형 사례 210
① “하나님 당신은 누구십니까?” 210
② 치료의 과정 215
4단계: 학령기 아동(school child) “놀이: 삼위 하나님의 친교” 218
(1) 놀이: 삼위 하나님의 친교 218
① 신학적 관점으로 변형된 일의 동기(motivation) 218
② 변형된 방어기제 220
(2) 열등감에서 성실함으로 4차원적 변형 사례 223
① 개척으로 얻은 자유 223
② 치료의 과정 225
5단계: 청소년기(adolescence) “영혼의 해방기” 227
(1) 영혼의 해방으로 인도하는 정체성 227
① 형식적 사고와 우주적 존재의 발견 227
② 변형된 정체성의 모델 228
(2) 역할혼란에서 정체성으로 4차원적 변형 사례 230
① “내가 너를 기다리겠다.” 230
② 치료의 과정 232
6단계: 성인전기(young adulthood) “에로스를 넘어 언약으로” 234
(1) 하나님의 강력한 임재, 친밀감 234
(2) 고립에서 친밀로 4차원적 변형 사례 236
7단계 중년기(middle age) “균형을 넘어 변형” 240
(1) ‘균형’이 아니라 ‘변형’ 240
(2) 침체에서 생산으로 4차원적 변형 사례 242
8단계: 노년기(beyond 65) “하나님을 꿈꾸며 하나님과 대화함” 246
(1) 바울의 셋째 하늘 246
(2) 절망에서 통합으로 4차원적 변형을 위한 여정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