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철학의 DEF

$18.14
SKU
979116503151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2/15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91165031510
Description
이 책은, 제목의 “DEF”가 암시하듯 철학에 대해 문외한인 독자들을 위한 “ABC” 수준의 안내서라기보다는 대학 학부 과정에서 철학을 전공하거나 적어도 부전공 또는 복수전공으로 공부하는 독자들, 나아가 인문학적 소양을 심화시키고자 하는 독자들이 직접 칸트의 작품을 읽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려는 의도로 집필되었다. 칸트 세 저서, 『순수이성비판』, 『도덕형이상학 정초』, 『실천이성비판』에 대한 주석서 겸 입문서다.
Contents
책을 내며 / 5

Ⅰ. 칸트철학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1. 예비적인 물음들 / 13
2. 철학 공부의 두 가지 스타일 / 16
3. 칸트철학의 성격 / 19
4. 칸트철학 성립의 철학사적 배경 / 22
5. 칸트철학 연구에서 문헌학적 지식이 가지는 중요성 / 36

Ⅱ. 칸트철학의 전개 과정과 『순수이성비판』의 성립

1. 시기 구분의 문제 / 47
2. 여섯 단계 구분 / 50

Ⅲ. 『순수이성비판』의 이해

1. 『순수이성비판』은 어떤 성격의 철학서인가? / 84
2. 목차를 통한 접근 / 89
3. 초판 머리말 / 101
4. 재판의 서론 / 113
5. 선험적 감성론(공간론·시간론) / 143
6. 선험적 분석론 / 177

Ⅳ. 『도덕형이상학 정초』의 이해

1. 저서에 대하여 / 204
2. 머리말 / 212
3. 제1절: 도덕에 관한 평범한 이성 인식에서 철학적 이성 인식으로 이해 / 225
4. 제2절: 통속적 도덕철학에서 도덕형이상학으로 이행 / 246
5. 제3절: 도덕형이상학에서 순수실천이성비판으로 이행 / 276

Ⅴ. 『실천이성비판』의 이해

1. 저서에 대하여-『실천이성비판』의 성립 / 282
2. 머리말 / 286
3. 서론 / 309
4. 순수실천이성의 요소론(분석론) / 312
5. “순수실천이성의 원칙들의 연역” / 335

참고문헌 / 352
찾아보기 / 362
Author
김수배
현재 충남대학교 철학과 교수다. 성균관대학교, 독일 뮌헨대학교, 트리어대학교 등에서 공부했으며 옥스포드대학교 방문 교수, 한국칸트학회 회장, 한국철학상담치료학회 부회장 등을 지냈다. 주요 저서로 『칸트 인간학의 성립과 그것이 볼프 학파의 경험 심리학과 가지는 관계(Die Entstehung der Kantischen Anthropologie und ihre Beziehung zur empirischen Psychologie der Wolffschen Schule)』(1994), 『역사 속의 이성, 이성 안의 역사』(2004), 『인문학과 법의 정신』(공저, 2013), 『호소의 철학―칸트와 호모 히스토리쿠스』(2015)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현대에 도전하는 칸트』(공역, 2004), 『철학상담의 이론과 실제』(2010), 『일곱 고개 옳거니. 영신수련, 삶을 향한 길』(2011), 『상담과 심리치료에서 철학의 역할』(공역, 2016), 『도덕형이상학. 덕론의 형이상학적 기초원리』(2018) 등이 있으며, 다수의 칸트철학, 철학상담 관련 국내외 논문이 있다.
현재 충남대학교 철학과 교수다. 성균관대학교, 독일 뮌헨대학교, 트리어대학교 등에서 공부했으며 옥스포드대학교 방문 교수, 한국칸트학회 회장, 한국철학상담치료학회 부회장 등을 지냈다. 주요 저서로 『칸트 인간학의 성립과 그것이 볼프 학파의 경험 심리학과 가지는 관계(Die Entstehung der Kantischen Anthropologie und ihre Beziehung zur empirischen Psychologie der Wolffschen Schule)』(1994), 『역사 속의 이성, 이성 안의 역사』(2004), 『인문학과 법의 정신』(공저, 2013), 『호소의 철학―칸트와 호모 히스토리쿠스』(2015)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현대에 도전하는 칸트』(공역, 2004), 『철학상담의 이론과 실제』(2010), 『일곱 고개 옳거니. 영신수련, 삶을 향한 길』(2011), 『상담과 심리치료에서 철학의 역할』(공역, 2016), 『도덕형이상학. 덕론의 형이상학적 기초원리』(2018) 등이 있으며, 다수의 칸트철학, 철학상담 관련 국내외 논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