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서는 필자들이 공공 및 민간기업 임직원을 대상으로 강의하였던 가치평가 및 자본시장회계에 관한 강의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그 동안 만났던 많은 기업의 임직원들은 기업의 본질가치를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개념체계와 이를 이해하 는 데 필요한 재무회계정보의 유용성 및 한계에 대해 항상 지적 갈증을 갖고 있었다. 이들은 기존사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해야 하는 책임뿐 아니라 새로운 투자기회를 발 굴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해야 하는 책임감에 언제나 긴장을 늦추지 않았 다. 그리고 기업가치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새로운 이론이나 전략 또는 모범 사례에 많은 관심과 애정을 보였다. 이 책은 바로 이들의 지적호기심과 관심을 다소 나마 충족시키기 위해 마련된 작은 노력이다.
이 책에서는 기업의 임직원들이 자본시장과 재무회계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배가 할 뿐만 아니라 재무회계정책에 관한 전략적 사고의 틀도 갖출 수 있도록 다양한 주 제를 다루고 있다. 경영자는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해 핵심 투자 및 영업활동에 필요 한 자금을 효율적으로 조달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자본제공자인 채권자와 주주로부 터 신뢰를 얻을 수 있는 방안까지도 고려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이 책에서는 기업가 치평가에 관한 여러 이론은 물론, 이를 실무에 적용하는 데 필요한 재무회계정보의 유용성과 한계를 자본제공자의 시각과 경영자의 시각 모두에서 다루고자 한다.
상장 기업에서 종종 나타나는 또 다른 특징은 이들 기업의 주가가 본질가치와 괴리 되기 쉽다는 점이다. 기업의 영업 및 투자활동을 적절히 평가하고 그로 인한 경영성 과를 예측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주식시장은 이들 기업의 본질가치를 과대평가하 거나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 책에서는 새로운 가치평가모형들을 사용하여 기 업의 주가가 본질가치를 적정하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기본적인 틀도 제공 하였다. 또한 기업가치평가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배당정책, 자사주 매입정책, 주주의 요구수익률, 기업지배구조, 부채조달정책, 경영자보상제도 그리고 회계정보 의 투명성에 관한 내용들이 자세하게 소개될 것이다.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학사,석사과정을 마치고, New York University (NYU), Stern School of Business, 경영학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City University of New York-Baruch Colleg에서 부교수로 있었으며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에서 연구원으로 있었다.공무원연금관리공단 자산운용위원회 위원,보건복지부 국민연금 기금운용평가단 평가위원,아모레퍼시픽 사외이사 및 대표감사위원,정보통신부 통신위원회 약관법령심의위원회 심의위원 등을 역임한 바 있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공인회계사, 회계학 전공)로 활동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학사,석사과정을 마치고, New York University (NYU), Stern School of Business, 경영학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City University of New York-Baruch Colleg에서 부교수로 있었으며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에서 연구원으로 있었다.공무원연금관리공단 자산운용위원회 위원,보건복지부 국민연금 기금운용평가단 평가위원,아모레퍼시픽 사외이사 및 대표감사위원,정보통신부 통신위원회 약관법령심의위원회 심의위원 등을 역임한 바 있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공인회계사, 회계학 전공)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