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 Available

국내외 자원 및 에너지/CCUS/섹터커플링 소ㆍ부ㆍ장 시장분석과 비즈니스 전략 (하)

$506.00
SKU
9791192693583

 

본 상품은 '출판사에서 직접 유통하는 상품' or '배터리 포함으로 인한 항공운송 불가'의 이유로

KBOOKSTORE에서는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7/03
Pages/Weight/Size 210*297*35mm
ISBN 9791192693583
Categories 경제 경영 > 경제
Contents
Ⅲ. 탄소포집·재활용·저장기술(CCUS) 핵심 분야 시장분석

8. CO2 전환 바이오매스 생산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분석
가. 해외업체
나. 국내업체
(3) 국내 연구기관 분석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동향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기술
(2) 국내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기술개발 중기 종합계획안
(4) 국내 기술개발 목표
[별첨] CO2 전환 바이오매스 생산의 전략적 이해
(1) 산업 및 시장적 의미
(2) 산업적 니즈
(3) 시장 및 산업적 밸류체인
(4) 산업적 가치 유형

9. 고효율 CO2 전환 알코올 및 알데히드류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분석
가. 해외업체
나. 국내업체
(3) 국내 연구기관 분석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동향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기술
(2) 국내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4) 국내 기술개발 목표
[붙임] 고효율 CO2 전환 알코올 및 알데히드류의 전략적 이해
(1) 산업 및 시장적 의미
(2) 산업적 니즈
(3) 시장 및 산업적 밸류체인
(4) 산업적 가치 유형

10. 탄소상쇄/탄소배출권 거래 서비스 분야
1) 국내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분석
가. 해외업체
나. 국내업체
(3) 국내 연구기관 분석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동향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기술 2
(2) 국내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4) 국내 기술개발 목표
[붙임] 탄소상쇄/탄소배출권 거래 서비스의 전략적 이해
(1) 산업 및 시장적 의미
(2) 산업적 니즈
(3) 시장 및 산업적 밸류체인
(4) 산업적 가치 유형

Ⅳ. 섹터 커플링(Sector Coupling) 핵심 분야 시장 분석

1. (P2G) Power to Methane 분야
1) 국내외 시장 및 기술 분석
(1)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가. 기술개발 이슈
① 수전해 기술
② 메탄화 기술
③ 수소저장 기술
나. 국내외 업체 기술분석
① 해외업체
② 국내업체
③ 국내 중소·중견기업
(3) 국내 연구기관 분석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동향
2)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기술
(2)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3) 국내 기술개발 목표
(4) 국내 기업 기술개발 전략
[별첨] (P2G) Power to Methane의 전략적 이해
(1) 산업 및 시장적 의미
(2) 산업적 니즈
(3) 산업적 밸류체인

2. (P2G) Power to Hydrogen 분야
1) 국내외 시장 및 기술 분석
(1)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가. 기술개발 이슈
① 상용 수전해 기술
② 차세대 수전해 기술
③ 수소 저장 기술
나. 국내외 업체 기술분석
① 해외업체
② 국내업체
③ 국내 중소·중견기업
(3) 국내 연구기관 분석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동향
다. 국내 (P2G) Power to hydrogen 관련 선행연구 사례
2)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기술
(2)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3) 국내 기술개발 목표
(4) 국내기업 기술개발 전략
[별첨] (P2G) Power to Hydrogen의 전략적 이해
(1) 산업 및 시장적 의미
(2) 산업적 니즈
(3) 산업적 밸류체인

3. 가상발전소 플랫폼 분야
1) 국내외 시장 및 기술 분석
(1)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가. 기술개발 이슈
① 분산자원 활용
② EU 내 가상발전소 실증 프로젝트 확대
③ AI 적용
④ S/W 설계 및 기능개발
나. 국내외 업체 기술분석
① 해외업체
② 국내업체
③ 국내 중소·중견기업
(3) 국내 연구기관 분석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동향
다. 국내 가상발전소 플랫폼 관련 선행연구 사례
2)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기술
(2)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3) 국내 기술개발 목표
(4) 국내 기업 기술개발 전략
[별첨] 가상발전소 플랫폼의 전략적 이해
(1) 산업 및 시장적 의미
(2) 산업적 니즈
(3) 산업적 밸류체인

4. (V2G) Vehicle-to-Grid 분야
1) 국내외 시장 및 기술 분석
(1)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가. 기술개발 이슈
① 구동시스템 기술개발 동향
② 배터리시스템 기술 개발 동향
③ 충전시스템 기술 개발 동향
나. 생태계 기술동향
① 해외업체
② 국내업체
③ 국내 중소·중견업체
(3) 국내 연구기관 분석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동향
다. 국내 (V2G) Vehicle-to-Grid 관련 선행연구 사례
2)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핵심기술 리스트
(2)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3) 국내 기술개발 목표
(4) 국내기업 기술개발 전략
[별첨] (V2G) Vehicle-to-Grid의 전략적 이해
(1) 산업 및 시장적 의미
(2) 산업적 니즈
(3) 산업적 밸류체인

Ⅴ. 국내외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시장분석 및 정부지원 분석

1. STEEP(사용 후 배터리) 분석
1) 국내외 사회적 분석
(1) 배경 및 목적
(2) 전주기 생태계 현황
(3) 정부 투자 동향
가. 국내 주요 기관·시설
나. 정부 R&D 투자 동향
(4) 글로벌 정책동향
가. 해외 정책 동향
① 미국
② 유럽
③ 중국
④ 일본
나. 국내 정책 동향
다. 주요 이슈
2) 국내외 기술 분석
(1) 배경 및 목적
(2) 전주기 기술 현황
가. 전처리(탈거/운송/해체/진단·평가)
① 탈거 및 방전
② 운송
③ 해체
④ 진단·평가
나. 재활용
다. 재사용
(3) 기술발전에 따른 향후 이슈
가. 차세대 배터리
① 전고체 전지
② 리튬-황전지(Lithium-sulfur battery)
③ 리튬-공기전지(Lithium-Air battery)
나. 팩 설계 기술 고도화
① 전기차 전용 플랫폼
② Cell to Pack(CTP) 기술
(4) 글로벌 산업 및 업체 동향
가. 비즈니스 모델
나. 재사용 산업 동향
다. 재활용 산업 동향
라. 국내외 기업 동향
① 미국
ⓐ Li-cycle
ⓑ Redwood Materials
② 유럽
ⓐ Umicore
ⓑ Northvolt
ⓒ Duesenfeld
ⓓ Glencore
③ 일본
④ 중국
ⓐ Brunp
ⓑ GEM
ⓒ 화유코발트
⑤ 국내 기업 동향
ⓐ 성일하이텍
ⓑ 에코프로CNG
ⓒ 포스코HY 클린메탈
ⓓ GS건설 에네르마
ⓔ 굿바이카
ⓕ 솔루엠
ⓖ 민테크
ⓗ 인선모터스
ⓘ 퀀텀솔루션
3) 국내외 경제적 분석
(1) 배경 및 목적
(2) 시장 전망
가. 전기차 수요 전망
나. 배터리 수요 전망
다. 양극재 수요 전망
라. 금속 수요 전망
마. 폐차 발생량 전망
바. 사용후 배터리 발생량 전망
사. 재활용 시장 전망
(3) 재사용 경제성 평가
가. 탈거/방전 비용
나. 진단 비용
(3) 재활용 경제성 평가
(4) 전주기 관점의 경제성 평가
(5) 주요 이슈
4) 국내외 생태 및 환경적 분석
(1) 배경 및 목적
(2) 배터리 전주기 환경오염
가. 채굴과정에서의 환경오염
나. 제련과정에서의 환경오염
① 침출수에 의한 환경오염
② 매립가스에 의한 환경오염
(3) 배터리 재활용 시 환경오염
가. 대기오염
나. 수질오염
다. 주요 이슈
5) 정치적(지정학적) 분석
(1) 배경 및 목적
(2) 지정학적 이슈
가. 미-중 무역분쟁
나. 자원 민족주의
① 중국
② 인도네시아
③ 중남미 4국
다. 러-우 전쟁 장기화
(3) 주요 광물의 부존·생산·가공 국가·기업 현황
가. 부존현황
① 니켈
② 코발트
③ 리튬
④ 망간
나. 생산·기업 현황
① 니켈
ⓐ 니켈 광산생산
ⓑ 정련니켈 생산
ⓒ 니켈 정련기업 현황
② 코발트
ⓐ 코발트 광산생산
ⓑ 정련코발트 생산
ⓒ 코발트 정련기업 현황
③ 리튬
ⓐ 리튬 광산생산 현황
ⓑ 리튬 정련기업 현황
④ 망간
다. 주요 이슈

2. FGI(Focus Group Interview)
1) FGI 기획
(1) 문항 설계
(2) 패널 구성
2) 그룹별 FGI 결과
(1) 재활용 그룹
가. 전처리분야 민간 역할 확대
나. 폐기물 규제 완화
다. 법제도적 명확화
라. 경제성
마. 정부 R&D
바. 안전 및 친환경 재활용 공정
사. 업계 공동 표준 및 대응
(2) 재사용 그룹
가. 전처리분야 민간 역할 확대
나. 경제성
① 경제성 부족 이슈
② 공공조달 강화
다. 대기업 중심의 생태계 구축
라. 안전성 인증
마. 기술경쟁력 확보
바. OEM사 정보 공유
(3) 전처리 그룹
가. 전처리분야 민간 역할 확대
① 탈거 및 보관
② 운송
나. OEM사 정보 공유
① BMS 정보
② 운송 정보
③ 자동화 공정 도입을 위한 도면 정보
다. 재활용 신규진입 활성화
라. 기술경쟁력 강화
① 실증 확대 및 규제 완화
② 진단평가 기술 고도화
마. 안전 진단 및 인증
① 안전 이슈
② 인증 비용
바. 전주기 이력체계 구축
사. 대기업 중심 생태계 구축 우려
① 민간 매각 허용
② 구독서비스 및 EPR 제도
③ 보험

3. 핵심이슈 및 정부지원 방안 분석
1) 핵심 이슈
2) 정부지원 방안

Ⅵ. 국내외 폐플라스틱 재활용 산업 시장분석

1. 글로벌 ESG 동향 : COP27 Review
1) 글로벌 여건의 변화
2) COP27이 직면한 글로벌 상황
3) COP27의 결과

2. 순환경제의 부상 : 폐플라스틱 재활용의 중요성
1) EU와 순환경제의 부상
2) 순환경제란 무엇인가
3) 왜 순환경제로의 전환이 중요한가
4) 글로벌 플라스틱 처리 방법에 따른 시나리오
5) EIB의 순환경제 가이드
6) EU의 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한 노력
7) 플라스틱에 대한 국제기구의 관심
8) 미국, 플라스틱에 대한 규제
9) 中, 플라스틱에 대한 규제
10) 한국형(K) 순환경제 로드맵
11) 석유, 화학, 음식료, 화장품 등 산업에서의 영향

3.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1) 종류별 재활용 시장 전망
2) 플라스틱 재활용 시장 전망
3) 폐플라스틱의 처리와 재활용
(1) 물리적 재활용
(2) 화학적 재활용
〈참조〉 국내 폐플라스틱 열분해 추진 현황
(3) 열적(에너지) 재활용
(4) 글로벌 폐플라스틱 관련 기업 동향

Ⅶ. 국내외 탄소중립 추진형황 및 국내 기후기술 산업의 해외진출 전략

1. 글로벌 기후변화 체제 수립과 기후기술 산업의 등장
1) 신(新) 기후체제 수립 배경
2) 기후기술 산업 개요 및 성장

2. 주요국 탄소중립 정책과 기후기술 산업 동향
1) 미국
2) 중국
3) 일본
4) 독일
5) 베트남
6) 인도네시아
7) 인도
8) 멕시코
9) 튀르키예
10) 남아프리카공화국

3. 한국 기후기술 산업 동향
1) 산업규모 및 최근 동향
2) 최근 3개년 수출입 동향
(1) 기후기술 분류 기준
(2) 기후기술 제품의 연도별 수출입 통계
가. 태양광
나. 풍력
다. 수력
라. 송배전 & 전력 IT 산업
마. 수송효율화 산업
바. 에너지효율화 산업
사. 연료전지
아. 폐기물
3) 주요국 기후기술 수출현황 분석
(1) 미국
가. 태양광
나. 풍력
다. 송배전 & 전력 IT 산업
라. 수송효율화 산업
마. 에너지 효율화 산업
바. 연료전지
사. 폐기물
아. 수력
(2) 중국
가. 태양광
나. 풍력
다. 송배전 & 전력 IT 산업
라. 수송효율화 산업
마. 에너지 효율화 산업
바. 연료전지
사. 폐기물
아. 수력
(3) 일본
가. 태양광
나. 풍력
다. 수력
라. 송배전 & 전력 IT 산업
마. 수송효율화 산업
바. 에너지 효율화 산업
사. 연료전지
아. 폐기물
(4) 독일
가. 태양광
나. 풍력
다. 수력
라. 송배전 & 전력 IT 산업
마. 수송효율화 산업
바. 에너지효율화 산업
사. 연료전지
아. 폐기물
(5) 베트남
가. 태양광
나. 풍력
다. 수력
라. 송배전 & 전력 IT 산업
마. 수송효율화 산업
바. 에너지효율화 산업
사. 연료전지
아. 폐기물
(6) 인도네시아
가. 태양광
나. 풍력
다. 수력
라. 송배전 & 전력 IT 산업
마. 수송효율화 산업
바. 에너지효율화 산업
사. 연료전지
아. 폐기물
(7) 인도
가. 태양광
나. 풍력
다. 수력
라. 송배전 & 전력 IT 산업
마. 수송효율화 산업
바. 에너지효율화 산업
사. 연료전지
아. 폐기물
(8) 멕시코
가. 태양광
나. 풍력
다. 수력
라. 송배전 & 전력 IT 산업
마. 수송효율화 산업
바. 에너지효율화 산업
사. 연료전지
아. 폐기물
(9) 튀르키예
가. 태양광
나. 풍력
다. 수력
라. 송배전 & 전력 IT 산업
마. 수송효율화 산업
바. 에너지효율화 산업
사. 연료전지
아. 폐기물
(10) 남아프리카공화국
가. 태양광
나. 풍력
다. 수력
라. 송배전 & 전력 IT 산업
마. 수송효율화 산업
바. 에너지효율화 산업
사. 연료전지
아. 폐기물

4. 시사점
1) 한국 기후기술 산업의 SWOT
(1) 태양광 산업
가. 태양광 산업 SWOT 분석
나. 국가별 태양광 산업 유망 산업군
① 미국
② 중국
③ 일본
④ 독일
⑤ 베트남
⑥ 인도네시아
⑦ 인도
⑧ 멕시코
⑨ 튀르키예
⑩ 남아프리카공화국
(2) 풍력 산업
가. 풍력 산업 SWOT 분석
나. 국가별 풍력 산업 진출 전략
① 미국
② 중국
③ 일본
④ 독일
⑤ 베트남
⑥ 인도네시아
⑦ 인도
⑧ 멕시코
⑨ 튀르키예
⑩ 남아프리카공화국
(3) 수력 산업
가. 수력 산업 SWOT 분석
나. 국가별 풍력 산업 진출전략
① 미국
② 중국
③ 일본
④ 독일
⑤ 베트남
⑥ 인도네시아
⑦ 인도
⑧ 멕시코
⑨ 튀르키예
⑩ 남아프리카공화국
(4) 송배전 & 전력 IT 산업
가. 송배전 & 전력 IT 산업 SWOT 분석
나. 국가별 송배전 & 전력 IT 산업 진출 전략
① 미국
② 중국
③ 일본
④ 독일
⑤ 베트남
⑥ 인도네시아
⑦ 인도
⑧ 멕시코
⑨ 튀르키예
⑩ 남아프리카공화국
(5) 수송효율화 산업
가. 수송효율화 산업 SWOT 분석
나. 국가별 수송 효율화 산업 진출전략
① 미국
② 중국
③ 일본
④ 독일
⑤ 베트남
⑥ 인도네시아
⑦ 인도
⑧ 멕시코
⑨ 튀르키예
⑩ 남아프리카공화국
(6) 폐기물 에너지화 산업
가. 폐기물 에너지화 산업 SWOT 분석
나. 국가별 폐기물 에너지화 산업 진출전략
① 미국
② 중국
③ 일본
④ 독일
⑤ 베트남
⑥ 인도네시아
⑦ 인도
⑧ 멕시코
⑨ 튀르키예
⑩ 남아프리카공화국
(7) 에너지 효율화 산업
가. 에너지 효율화 산업 SWOT 분석
나. 국가별 에너지 효율화 산업 진출전략
① 미국
② 중국
③ 일본
④ 독일
⑤ 베트남
⑥ 인도네시아
⑦ 인도
⑧ 멕시코
⑨ 튀르키예
⑩ 남아프리카공화국
2) 해외 진출을 위한 제언
(1) 해외 네트워크 협력 지원
(2) 전문가 컨설팅 기관 매칭 지원
(3) 기자재 인증 지원
(4) 해당 국가 기술 특허 획득 지원
(5) 정책, 규정 및 관련 시장 정보 제공
(6) 수주 및 수출 성공 사례 공유

Ⅷ. EU 수소산업 정책과 프로젝트 분석

1. EU 수소 정책
1) 개요
(1) 배경 및 동향
(2) 유럽 내 수소경제 개황

2. 주요 이니셔티브
1) EU 수소 전략(EU Hydrogen Strategy, ’20.7월)
2) 탈러시아 화석연료 및 친환경 전환 전략(REPowerEU, ’22.5월)
3) 관련 법안
(1) 재생에너지 지침 (Renewable Energy Directive)
(2) 가스 규정 및 지침 (Gas Regulation and Directive)
(3) 대체연료 인프라 규정 (Alternative Fuels Infrastructure Regulation)
(4) 연료품질 지침 (Fuel Quality Directive)

3. 프로젝트 추진 개요 및 분야별 분석
1) 개요
2) 통합 밸류체인
3) 모빌리티
4) 운송 및 산업
5) IPCEI 참여 기업 정보
6) 향후 전망 및 시사점
(1) 에너지 위기를 계기로 신속한 수소 경제 구축 위한 정책 추진 가속화 전망
(2) 이에 따라 수소 부문 EU 기금 및 민간 투자 또한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
(3) EU, 수소 프로젝트 참여 기업 모니터링 및 협력 통한 공급 기회 모색 가능

Ⅸ. 탈탄소 시대, 캐나다 에너지 시장 동향과 국내기업 현지 진출 전략

1. 캐나다 탈탄소 정책 및 추진 전략
1) 캐나다 온실가스 배출 현황
(1)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2) 분야별 온실가스 배출/감축 현황*
(3) 에너지 분야
가. 고정 연소 배출
나. 이동 연소(운송) 배출
다. 탈루성 배출
(4) 산업공정 분야
가. 개요
나. 광물 생산 (’05) 10Mt → (’20) 8.2Mt(18.0%↓) → (’21) 9.0Mt(9.7%↑)
다. 화학 산업 (’05) 10Mt → (’20) 5.9Mt(41.0%↓) → (’21) 5.7Mt(3.3%↓)
라. 금속 생산 (’05) 20Mt → (’20) 13Mt(35%↓) → (’21) 14Mt(7.6%↑)
(5) 농업 분야
(6) 폐기물 분야
가. 폐기물 (’05) 22Mt → (’20) 21Mt(4.5%↓) → (’21) 21Mt(0.0%)
나. 지역별 탄소배출 현황
2) 캐나다 탈탄소 정책
(1) 배경
(2) 추진 경과
(3) 주요 정책
가. 2023년 예산안 : “메이드인 캐나다 계획”
나. 탄소 가격제
다. 에너지 인프라 투자
라. 석탄의 단계적 폐지
마. 무공해차(ZEV) 보급
바. 탄소중립 핵심 기술 개발 및 상용화
사. 친환경 전력 전환
3) 캐나다 2030 탄소 감축 로드맵
(1) 개요
(2) 중점 추진 분야
(3) 산업별 추진 방향
가. 오일/가스
나. 운송
다. 건설
라. 중공업
마. 발전

2. 캐나다 오일·가스 산업
1) 오일 산업 현황
(1) 원유 생산현황
(2) 오일 산업 인프라 현황
가. 정유시설
나. 오일 파이프라인
다. 캐나다 오일산업 주요 참여기업 현황
(2) 가스 산업 현황
가. 천연가스 생산현황
나. 가스산업 인프라 현황
① LNG 터미널
② LNG 파이프라인
다. 캐나다 가스산업 주요 참여기업 현황
(3) 주요 탈탄소 프로젝트
가. 캐나다 오일/가스 기업 탈탄소 이행현황
나. 주요 에너지 프로젝트
① 트랜스마운틴(Trans Mountain) 송유관 확장 프로젝트
② 스트라스코나(Strathcona) 바이오디젤 생산 프로젝트
③ 베이 드 노드[Bay du Nord] 심해 석유 생산 프로젝트
④ 엘엔지 캐나다(LNG Canada) 프로젝트
⑤ 시더 엘엔지(Cedar LNG) 프로젝트

3. 캐나다 신재생에너지 산업 현황
1) 신재생에너지 현황
(1) 시장 분석
(2) 보급 현황
가. 풍력
나. 수력
다. 태양광
〈참고〉 캐나다 전력산업 개관
(2) 주요 프로젝트 현황
가. (태양광) Airport City Solar 프로젝트
나. (풍력) Sharp Hills Wind Farm 프로젝트
다. (풍력) Forty Mile 프로젝트
라. (풍력) Wild Rose Wind Farm Phase 2 프로젝트
마. [풍력] Hackney Hills Wind Park 프로젝트
바. [풍력] Thunder Mountain Wind 프로젝트

4. 캐나다 수소 산업 분석
1) 정책방향 : 국가 수소 전략(Hydrogen Strategy for Canada)
2) 캐나다 수소경제 인프라 구축 동향
(1) 수소생산 인프라
(2) 탄소포집 저장 인프라
(3) 수송 운송 인프라
3) 주요 프로젝트 분석
(1) 수소 생산 프로젝트
가. 에드먼턴(Edmonton) 수소 에너지 복합단지 건설 프로젝트
나. Suncor Energy, ATCO 수소 생산 시설 공동 개발 프로젝트
다. 니콜라(Nikola), TC 에너지 캐-미 수소 허브 개발 협력
라. 대형 탄소 포집 및 저장(CCS) 단지 건설 : Polaris 프로젝트
(2) 수소 혼합 공급 프로젝트
가. 온타리오 마컴(Markham) 수소 혼합 공급 파일럿 프로젝트
나. 포트 서스캐처원(Fort Saskatchewan) 수소 혼합 프로젝트
(3) 수소에너지 활용 프로젝트
가. 캐네디언 퍼시픽(CP) 철도-발라드(Ballard) 수소 열차 공동 개발
나. 에어버스(Airbus)사 - SAF+사 저탄소 항공 연료 개발 협력

5. 주요 기자재 수입 동향
1) 축전지 (HS Code: 8507)
2) 전동기와 발전기 (HS코드: 8501)
3) 기타 부품 (HS코드: 8414)
4) 정지형 전력 변환기 (HS코드: 8504)
5) LNG 선박용 기자재 (HS코드: 8409)
6) 전기도체, 전압 1,000볼트 초과 (HS코드: 8544)
7) 에틸렌의 중합체로 만든 것 (HS코드: 3920)
8) 철강제의 관과 중공프로파일 (HS코드: 7304)
9) 철강제의 기타 관 (HS코드: 7305)
10) 탭·코크·밸브 (HS코드: 7848)
11) 철강제의 관연결구류 (HS코드: 7307)
12) 동제의 관연결구류 (HS코드: 7412)

6. 우리기업 시장 진출 시사점
1) 시장 기회요인
(1) 정부의 적극적인 탈탄소 지원 및 투자
(2) 민-관 친환경 시범 프로젝트 추진 활발
(3) 한-캐 상호보완적 수소 생태계 협력 시너지 다대
2) 우리기업 진출가능 분야 및 시사점
(1) [발전1] 송배전 인프라 ‘로컬 유틸리티 사업자와 협업 통한 진출 도모’
(2) [발전2] 신재생 발전 기자재 ‘高 수요 제품 위주 ‘선택과 집중’
(3) [건물] 고효율 에너지 기자재, ‘高 수요 제품 위주 ‘선택과 집중’
(4) [전기차] 이차전지 및 소재, ‘적극적인 현지화, EV 진출 기업과 전략적 제휴 강화’
(5) [인프라] 건설 기자재, ‘유망 에너지 인프라 사업 통한 틈새시장 진출’
(6) [원자력] 소형모듈원전(SMR), ‘현지 민관 사업주체와 파트너십 구축 강화’
(7) [수소1] 수소 모빌리티[트럭, 버스], ‘시범사업 참여로 수소 시장 진출 모색’
(8) [수소2]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맞춤형 기술 차별화로 판로 개척’
(9) [수소3] 건설 기자재, ‘수소 밸류체인 구축 프로젝트 중심 참여방안 모색’
Author
신성장동력산업정보기술연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