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T의 이해와 활용

$22.03
SKU
978899972939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8/10
ISBN 9788999729393
Categories 대학교재 > 사회과학 계열
Description
벤더-게슈탈트검사(BGT)의 질적·양적 해석법을 다룬 안내서로서 교육, 상담 및 임상 장면에서 내담자의 무의식과 내적 세계에 대한 이해와 문제 진단 그리고 교육적 처치와 심리적 치유를 위한 역동적 · 투사적 해석에 통찰을 제공해 준다. 2판에서는 BGT-2를 추가하였기 때문에 BGT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확장하고 교육적 및 임상적 활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Contents
2판 머리말
1판 머리말

제1부 BGT는 어떤 검사인가

제1장 BGT의 이론적 근거
1. 투사적 검사로서의 BGT
2. BGT의 창안자: 로레타 벤더
3. BGT의 기본 가정
4. BGT의 도형

제2장 BGT의 실시 방법
1. 표준적인 실시 방법
2. 변형된 실시 방법
3. 실시에서 행동관찰의 중요성

제3장 BGT의 채점 방법
1. 코피츠의 정서지표
2. 허트의 정신병리척도
3. 라이헨베르크-라파엘의 해석체계

제2부 BGT에 대한 퍼티콘의 질적 해석

제4장 질적 해석을 위한 실시 절차
1. BGT에 대한 퍼티콘의 관점
2. 다면적 실시 절차

제5장 임상적 투사적 해석의 기초
1. 도형 배열
2. 공간사용
3. 이상하고 특이한 도형의 특징

제6장 도형의 상징적 의미와 해석적 가정
1. 각 도형별 상징성과 해석
2. 도형 모사 결과를 이용한 해석상담 사례

제7장 언어적 연상의 해석
1. 자발적인 언어적 행동
2. 자유연상과 투사적 해석
3. 선택적 연상과 투사적·임상적 의미

제8장 사례연구
1. 도형 모사에 대한 해석
2. 자유연상에 대한 해석
3. 선택적 연상에 대한 해석

제3부 BGT-2의 실시, 채점 및 해석

제9장 BGT-Ⅱ의 목적, 특징 및 유용성
1. 개발 목적
2. 새로운 특징
3. 유용성

제10장 BGT-Ⅱ의 실시와 채점 절차
1. 준비물
2. 실시 절차
3. 채점 절차

제11장 BGT-Ⅱ의 해석
1. 검사 점수의 해석
2. 검사 행동의 해석

제12장 Koppitz-2의 실시, 채점 및 해석
1. 개발과 용도
2. 실시와 채점
3. 해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정종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공주사범대학 교육학과 졸업 후 건국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심리학을 전공하고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교육심리학 중에서도 학습동기와 교육상담이며, 최근에는 행복한 삶을 위한 긍정심리와 실존주의적 상담, 그리고 뇌과학과 교육의 연결고리를 찾기 위한 뇌기반 교육과 심리치료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심리상담전문가, 수련감독교류분석상담사, 수련감독학교상담사 등 다수의 상담관련 자격증을 취득했다.
인간 심리에 관한 학문적 지식과 풍부한 연구사례를 바탕으로 일선 학교와 교육청, 기업체, 정부기관 등에서 강연 및 자문을 진행했다. 대구교육대학교에서 여러 차례 학술상 및 강의우수상을 수상하였고, 국제서비스협회로부터 명강사 인증을 받기도 했다.
그 외에도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분야 학술연구지원사업 우수평가자, 인성교육부문 대한민국비전대상,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교육공로상 등을 수상하였다.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 교육대학 연구교수, 호주 퀸즐랜드 대학교 객원교수,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회장, 한국교육심리학회 부회장, 대구광역시교육청과 경상북도교육청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이제부터 행복해지기로 합시다』, 『상담의 이론과 실제(공저)』, 『교양으로 읽는 생활 속의 심리이야기』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교육장면에서 그릿 키우기』, 『성공하는 교사들의 9가지 습관(공역)』, 『하루에 하나씩, 나를 위한 선물 365(공역)』 등이 있다.
‘일체유심조, 세상사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는 마음가짐으로 산다. 신디사이저 건반을 연주하며 삶의 리듬과 활력을 찾고 마음의 평온을 유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대구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공주사범대학 교육학과 졸업 후 건국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심리학을 전공하고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교육심리학 중에서도 학습동기와 교육상담이며, 최근에는 행복한 삶을 위한 긍정심리와 실존주의적 상담, 그리고 뇌과학과 교육의 연결고리를 찾기 위한 뇌기반 교육과 심리치료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심리상담전문가, 수련감독교류분석상담사, 수련감독학교상담사 등 다수의 상담관련 자격증을 취득했다.
인간 심리에 관한 학문적 지식과 풍부한 연구사례를 바탕으로 일선 학교와 교육청, 기업체, 정부기관 등에서 강연 및 자문을 진행했다. 대구교육대학교에서 여러 차례 학술상 및 강의우수상을 수상하였고, 국제서비스협회로부터 명강사 인증을 받기도 했다.
그 외에도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분야 학술연구지원사업 우수평가자, 인성교육부문 대한민국비전대상,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교육공로상 등을 수상하였다.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 교육대학 연구교수, 호주 퀸즐랜드 대학교 객원교수,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회장, 한국교육심리학회 부회장, 대구광역시교육청과 경상북도교육청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이제부터 행복해지기로 합시다』, 『상담의 이론과 실제(공저)』, 『교양으로 읽는 생활 속의 심리이야기』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교육장면에서 그릿 키우기』, 『성공하는 교사들의 9가지 습관(공역)』, 『하루에 하나씩, 나를 위한 선물 365(공역)』 등이 있다.
‘일체유심조, 세상사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는 마음가짐으로 산다. 신디사이저 건반을 연주하며 삶의 리듬과 활력을 찾고 마음의 평온을 유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