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일(57. 한양대 컴퓨터SW학과) 교수에게는 ‘AI Creator’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닌다. 대학에서 전자공학을 전공한 저자는 각국의 인재들과 함께 와세다·스탠포드 등에서 첨단 IT 분야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여기에 삼성SDS Tokyo 소장으로 10여 년 동안 일본에 주재(1993~2002)하면서 글로벌 IT Business 현장을 발로 누빈 경험을 융합하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시대 한국호(號)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전략을 관련 학계와 교육계는 물론 정·관계와 산업계, 지역사회 등에 폭넓게 전파하고 있다.
《AI 한국경영》은 저자의 다양한 활동 중 국내 여러 매체에 발표한 칼럼들을 모은 것으로 현 정부 경제 정책에 대한 평가와 과제, 일자리 창출 해법, DT 시대 IT 산업 전략 등 실물 경제와 미래 산업 분야는 물론 국제 외교, 통일, 환경 등 국가 경영 전 분야에 걸쳐 ‘AI 시대 한국호(號)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제1부 1장에서는 코로나 뉴딜의 성공조건과 코로나발 실업 쇼크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를 제언했다. 2장에서는 청년일자리와 AI 신산업에 의한 일자리 창출 방안을 제시한다. 3장에서는 IT 강국을 뛰어넘어 AI 강국으로 도약만이 한국 경제가 살길임을 강조하고 있다. 4장에서는 제조업 중심의 수출 구조를 AI 시대의 산업 구조로 전환해야 한다며 한국 경제 미래먹거리 산업을 제시한다. 5장에서는 일본의 경제 보복을 극복하는 방안과 주변 4강 외교에 관해 서술했다. 6장에서는 근래 전 국민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부동산 문제 해법을 제시했다. 2부는 △부동산 △중소기업 △조세 △고용 △노동 △교육 △정보 △평화 △과학 △복지 △환경 등 국가 사회 전반에 관한 AI 시대 정책 제언이다.
각 분야에 관한 저자의 견해는 다분히 현장 중심적이다. 미래를 지향하면서도 작금의 국내외 정치 경제 외교 현안들을 냉철히 분석하고 한국 사회가 처한 현실 인식에 바탕을 둠으로써 대중적인 이해와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저자는, “AI 시대 새로운 파고는 대한민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산업, 일자리를ㅤ통째로 바꾼다. 실물경제, 재정, 일자리, 산업 위기 등을 극복할 절호의 기회가 AI 혁명이다. 대한민국은 더는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 한국 경제를 살릴 골든아워는 얼마 남지 않았다.”면서 “AI 혁명의 변화 물결에 올라타 AI 강국으로 도약만이 살길”임을 역설한다.
아울러, 격변의 시기 한국호(號)를 이끌 지도자상을 정의하는데, 그 첫 번째 조건이 바로 일자리 창출이다. 저자는 “10년 후 일자리의 60%는 아직 탄생하지도 않았다!”라고 단언한다. “현재 우리의 일자리 종류는 약 3만 개 수준인데 IT 선진국인 미국 일자리 종류는 40만 개에 달하고 있다.”면서 다음과 같이 조언한다.
성공한 대통령이 되려면 경제가 성공해야 한다. 경제는 일자리가 많아야 활성화된다. 일자리는 양질의 일자리여야 한다. 좋은 일자리는 IT와 AI 산업에 있다. 청년들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야 대한민국의 미래가 있다. (중략) AI 시대의 일자리 혁신이란 일자리 창출이다. 일자리는 사라지고 새로 만들어지는 것이기에, 일자리 문제에 대한 본질은 사라지는 일자리가 아니고 새로 만들어지는 일자리가 무엇인가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미래 일자리는 대부분 AI 산업에 있다. 실업대란 쓰나미를 AI 혁명으로 극복해야 한다.
―머리말 중에서
Contents
【 제1부 】
1장 ∥ 바보야, 문제는 경제야
1. 경제노믹스 평가
1) 수소경제가 미래다
2) 미·일·중·한, ‘경제노믹스’의 평점
3) 바이든 정책과 한반도 운명
4) ‘바이드노믹스’ 대비 서둘러야
5) 경제정책 성과의 마지막 골든아워
2. 코로나 뉴딜 성공조건
1) 코로나 뉴딜’ 성공조건
2) ‘중국판 뉴딜’ 배워야
3) 일자리 뉴딜 성공조건
4) 국가균형발전은 지역혁신 뉴딜로 해야
5) 산업 DNA 완전히 바꿀 ‘AI 뉴딜’ 기회
3. 포스트 코로나 준비해야
1) 중소기업 줄도산은 막아야
2) 포스트 코로나 시대, 경제 살려야
3) 코로나발 ‘실업 쇼크’ 어떻게 할 것인가
4) ‘포스트 코로나’(COVID-19)를 준비해야 한다
2장 ∥ 바보야, 문제는 일자리야
1. 일자리 창출
1) 바보야, 문제는 일자리야
2) 일자리 정부에 일자리 없다
3) 실업대란 쓰나미가 몰려온다
4) 일자리 창출 어떻게 할 것인가
5) 일자리 창출, 흑묘든 백묘든 상관없다
6) 일자리 창출 없인, 일자리 정부 성공 없다
2. 청년일자리 창출
1) 청년일자리 신기술에 있다
2) 청년일자리 정책 어떻게 할 것인가
3) AI 시대, 40대 일자리 창출 서둘러야
3. 신산업 일자리 창출
1) 신기술에 통한 일자리 창출
2) 5G 시대 일자리 창출 5대 포인트
3) 광주형 일자리 어떻게 할 것인가
4) 블록체인 등 신기술에 청년일자리 있다
5) 신산업에 의한 일자리 창출 정책으로 전환하라
4. 혁신성장과 일자리 창출
1) 혁신성장과 일자리 창출
2) 혁신성장, 민간에 맡겨라
3) 공대위기, 창업으로 뚫자
4) 혁신 창업 국가, 어떻게 만들 것인가
5) 혁신성장 없인 일자리 창출도 없다
6) 중소·벤처 혁신성장과 일자리 창출 어떻게 할 것인가
5. 민간 일자리 창출
1) 일자리 창출 민간에 맡겨라
2) 민간 일자리 만들기 붐 일으켜야
3) 삼성은 어떻게 일자리를 만들었을까
3장 ∥ 비전, 목표는 AI 강국
1. AI 강국 도약
1) AI 강국의 조건
2) AI 강국만이 살길이다
3) AI 중심도시 광주가 한국 경제 미래다
4) AI 강국을 뒷받침하는 AI 중심도시 광주
5) AI 시대 ‘플랫폼 정부’로 패러다임 바꿔야
2. AI 일자리 빅뱅
1) AI로 ‘일자리 빅뱅’ 일으키려면
2) AI 시대, 일자리 창출 서둘러야
3) AI 정부 일자리 창출 서둘러야
4) 한국 경제 돌파구는 AI 산업, 양질의 일자리도 창출한다
4장 ∥ 한국 경제 미래먹거리
1.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1) 5G 강국의 조건
2) 5G 패권 다툼과 일자리 전쟁
3) 소프트웨어 산업, 전환 서둘러야
4) 일자리 창출 효과 큰 소프트웨어 산업
2. 미래 주력 산업
1) AI 반도체 산업의 오늘과 내일
2) 한국산업 미래는 소부장 산업에 달려 있다
3) 위기의 한국 게임 산업, 미래먹거리로 거듭나려면
4) 핵분열 원전 반대, 핵융합 원전 찬성
5)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
5장 ∥ 선도적 실리외교
1. 일본의 외교전략
1) 외교의 핵심
2) 한국에 대한 외교전략
3) 풀지 못한 역사적 숙제
4) 바람직한 한일 관계 제언
2. 일본 경제 보복
1) 일본 경제 침략 해법 삼국지에 있다
2) 일본 경제 침략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3) 일본의 경제 보복 어떠한 해법이 있을까
4) 일본의 경제 보복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3. 경제 보복 해법
1) 한일 관계 지금이 골든타임
2) 일본 2차 경제 보복 해법은 AI 강국
3) 일본 경제 침략에 대한 협상 전략
4) 일본 경제 보복 멀어져 가는 ‘AI 강국 꿈’
4. 미·중 패권 다툼
1) 중국의 외교전략
2) 미·중 AI 패권 다툼과 일자리 전쟁
3) 미·중 무역전쟁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4) 미·중 과학기술 패권 다툼과 일자리 전쟁
6장 ∥ 부동산에 실패하면 꽝이다
1. 테스 형, 부동산이 왜 이래
1) 부동산에 실패하면 꽝이다
2) 바보야, ‘부동산’은 심리야
3) 테스 형, 전세 시대는 끝났어
2. 부동산 해법
1) 정부 정책 실효 거두려면 부동산에 몰린 유동자금 갈 길을 찾아줘야
2) 부동산 대책 근본적 해법
【 제2부 】
분야별 정책 제언
1. 부동산 2. 중소기업 3. 조세 4. 고용 5. 노동 6. 교육 7. 정보 8. 평화 9. 과학
10. 복지 11. 환경
정책 제언 목록
맺음말
Author
박정일
한양대학교 컴퓨터SW학과 겸임교수를 지냈다.(2016∼2020). 한양대학교 대학원 전자공학 졸업, Waseda Univ. M.S.P. Study, Van. R·B College E·J·T.P. Study, Stanford Univ. V·E.P. Study, 삼성SDS Tokyo 소장, 4차 산업혁명 전략위원, 일자리위원회 (중소벤처T/F장), AI 중심도시 광주 만들기 추진위원, 대한민국 AI Cluster Forum 위원, AI 규제개혁위원회 위원, 미래학회 이사를 지냈다.저서로는 『AI 한국경영: 국정운영 편』, 『AI 한국경영: 정책제언 편』, 『AI 한국경영: 지도자 편』, 『AI 한국경영 대선공약 편』, 『미·중 패권 다툼과 일자리 전쟁』, 『김치·스시·햄버거의 신 삼국지』가 있다.
한양대학교 컴퓨터SW학과 겸임교수를 지냈다.(2016∼2020). 한양대학교 대학원 전자공학 졸업, Waseda Univ. M.S.P. Study, Van. R·B College E·J·T.P. Study, Stanford Univ. V·E.P. Study, 삼성SDS Tokyo 소장, 4차 산업혁명 전략위원, 일자리위원회 (중소벤처T/F장), AI 중심도시 광주 만들기 추진위원, 대한민국 AI Cluster Forum 위원, AI 규제개혁위원회 위원, 미래학회 이사를 지냈다.저서로는 『AI 한국경영: 국정운영 편』, 『AI 한국경영: 정책제언 편』, 『AI 한국경영: 지도자 편』, 『AI 한국경영 대선공약 편』, 『미·중 패권 다툼과 일자리 전쟁』, 『김치·스시·햄버거의 신 삼국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