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시대, 읽고 질문하는 사람이 세상을 바꾼다!”
책과 동떨어진 세상, 하지만 답은 여전히 독서에 있다!
현장 사서가 안내하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독(讀)자적 전략!
굳건하던 종이책과 활자의 입지가 급속도로 줄어드는 추세다. 인공지능이 답을 알려주는 편리한 세상에서 어쩌면 읽고 사고하는 능력을 잃어가는 요즘. 『독(讀)자생존 AI시대』는 그러한 디지털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독서가 왜 필수적인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독서를 통해 사고력을 강화하고 AI와 공존할 수 있는지를 심도 있게 탐구한다.
총 네 개의 챕터로 구성된 이 책은 단순히 많이 읽는 것이 아니라, 깊이 읽고 질문하며 생각을 확장하는 독서법을 일깨워준다. 1장은 독서가 우리 삶에 가져다주는 변화를, 2장은 읽기의 지속 가능성과 문해력의 필요성, 3장은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독서 리터러시 역량을 다룬다. 마지막 4장에서는 디지털 시대에 살아남기 위한 독서 전략과 질문하는 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한 마디로 이 책은 독서를 통해 성장하고 싶은 모든 이들에게 필수적인 안내서라고 할 수 있겠다. 『독(讀)자생존 AI시대』를 통해 우리는 AI와 공존하는 시대에 인간이 가져야 할 독립적인 사고력과 질문하는 능력의 중요성을 새로이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여는 글. 여전히, 읽는 삶이 필요한 이유
Chapter 1. 삶의 변화에 독서가 있었다
나의 삶을 변화시킨 독서
나는 왜 책을 읽는가
독서는 문화다
사슴벌레식 독서법
도둑맞은 독서력 찾기
읽지 않으면 ‘왜’ 불편할까
지역은 더 심각합니다
‘힙’한 독서
읽는 즐거움의 나비효과
읽는 독자의 태도
Chapter 2. 독서가 필요하지 않은 삶은 없다
비교할 수 없는 독서라는 무기
독서를 이기는 건 없다
읽기는 배신하지 않는다
읽기는 힘이 세다
호모 부커스 HOMO BOOKERS
결국 의지력이다
읽기의 미래가 불안하다
읽기의 지속가능성
읽지 않는 시대
Chapter 3. 디지털 시대 읽기를 준비하다
투자 대비 가장 좋은 파트너
문해력과 독서
가랑비에 옷 젖듯이 읽기
다시 어떻게 읽을 것인가
독서 리터러시의 역량을 키워라
챗GPT를 활용하는 법
보이지 않는 고릴라
읽는 사람과 읽지 못하는 사람
메타인지 독서법
독자생존 시대
호모 프롬프트의 똑똑한 질문
Chapter 4. 디지털 시대 읽기로 살아남는 법
양손잡이 읽기
자기만의 콘텐츠를 가져라
인공지능 시대를 준비하는 자세
인공지능을 이길 수 있을까
다시, 독서의 시대
디지털 문해력을 길러라
종이책은 살아남을까
독서로 살아남는 법
부록. 독자생존을 위한 독서 팁
닫는 글. 좋은 독자로 성장하기 위한 읽는 태도
Author
강상도
책이 없던 어린 시절을 생각해 보면 얕고 궁핍했던 사고를 넓히고자 간접 경험의 고통을 느꼈고 성장하면서 도서관과 책방의 공간에서 직접 경험이 조금은 나를 변화해 왔다는 것에 감사했다. 낮엔 학교에 출근하고 저녁엔 도서관으로 방문했다. 뭔가 알 수 없는 끌림이 오늘도 내일도 기대 이상으로 가득 차 있기에 희망적이었다.
경운초등학교 사서로 어린이들과 함께 학교 도서관에서 읽고 떠들며 재미난 일들을 만들어 가고 있다. 함께 성장하고 싶어 아직도 무한한 공간에서 새로움을 꿈꾸고 있다. 도서관은 가슴 벅찬 멋진 일이기에 ‘나’를 위한 책 여행을 위해 오늘도 그 길 위에 서 있다.
경남일보,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로 활동하면서 책 공간의 아름다움과 이야기들을 엮어 꾸준히 글을 써왔다. 쓴 책으로 《책과 사람, 삶이 머문 공간》, 《삶과 맞닿아 있는 도서관의 힘》이 있다.
https://brunch.co.kr/@ksd7302
책이 없던 어린 시절을 생각해 보면 얕고 궁핍했던 사고를 넓히고자 간접 경험의 고통을 느꼈고 성장하면서 도서관과 책방의 공간에서 직접 경험이 조금은 나를 변화해 왔다는 것에 감사했다. 낮엔 학교에 출근하고 저녁엔 도서관으로 방문했다. 뭔가 알 수 없는 끌림이 오늘도 내일도 기대 이상으로 가득 차 있기에 희망적이었다.
경운초등학교 사서로 어린이들과 함께 학교 도서관에서 읽고 떠들며 재미난 일들을 만들어 가고 있다. 함께 성장하고 싶어 아직도 무한한 공간에서 새로움을 꿈꾸고 있다. 도서관은 가슴 벅찬 멋진 일이기에 ‘나’를 위한 책 여행을 위해 오늘도 그 길 위에 서 있다.
경남일보,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로 활동하면서 책 공간의 아름다움과 이야기들을 엮어 꾸준히 글을 써왔다. 쓴 책으로 《책과 사람, 삶이 머문 공간》, 《삶과 맞닿아 있는 도서관의 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