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이 방송 및 저널리즘 분야에 도입되어 기존 직무를 대체하고 있다. 예를 들어, AI 앵커와 뉴스 제작 자동화가 진행 중이며, 이는 비용 절감과 효율성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AI 도입은 기존 기자들의 고용 불안과 윤리적 논란을 초래하고 있으며, AI가 완전히 기자를 대체하기보다는 보조 역할을 한다는 견해도 있다.
Contents
AI, 뉴스룸의 파괴자인가 조력자인가
01 ≪뉴욕타임스≫의 AI 마스터 플랜
02 애리조나주립대학교의 실험
03 유럽 팩트 체커들이 전한 화두
04 AP통신의 AI 프로덕트 전략
05 AI 뉴스 시대의 언론 윤리
06 뉴욕시립대학교의 AI 저널리즘 랩
07 생성형 언어 모델의 환각과 기자
08 한국 언론의 AI 활용 현황
09 기자들이 예측하는 AI와 기자
10 한국 언론에 전하는 혁신 제안
Author
김재희,이현택
[동아일보] 기자다.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를 졸업했다. 히어로콘텐츠팀의 ‘공존: 그들과 우리가 되려면’ 시리즈로 한국기자협회 이달의기자상, 노근리평화상 언론상을 받았다. 풀브라이트 중견 전문가 장학 프로그램의 펠로(fellow)로 선정돼 애리조나주립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있다. 공저로 『한국 저널리즘의 혁신』이 있다.
[동아일보] 기자다.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를 졸업했다. 히어로콘텐츠팀의 ‘공존: 그들과 우리가 되려면’ 시리즈로 한국기자협회 이달의기자상, 노근리평화상 언론상을 받았다. 풀브라이트 중견 전문가 장학 프로그램의 펠로(fellow)로 선정돼 애리조나주립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있다. 공저로 『한국 저널리즘의 혁신』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