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와 레거시 콘텐츠 사업자의 변화 (큰글자책)

$28.35
SKU
979117307615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3/28
Pages/Weight/Size 210*290*9mm
ISBN 9791173076152
Categories IT 모바일 > 인공지능
Description
생성형 AI가 콘텐츠 제작을 혁신하고 있다. 넷플릭스는 AI 기반 추천 시스템을 활용하고, CJ ENM은 AI 가상 스튜디오와 음악 창작으로 제작 효율을 높인다. 반면 지상파 방송사는 화질 개선, 자동 자막 생성 등 부가적인 영역에 집중하고 있다. AI가 레거시 콘텐츠 사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기존 사업자들의 대응 전략과 미래 가능성을 제시한다.
Contents
현저한 격차

01 AI의 도움을 받아 기획하다
02 스토리텔링의 밑 작업을 AI와 협업하다
03 AI 덕분에 서류 작업에서 해방되다
04 프리프로덕션 단계에서 미리 촬영 현장을 경험하다
05 LED에서 창조된 공간이 현실이 되다
06 CG/VFX 노동 집약적 파이프라인에서탈피하다
07 더빙과 자막, 플랫폼 사업자의통제권을 회수하다
08 디지털 마케팅의 난제를 해결하다
09 IP 트랜스미디어의 해법을 제시하다
10 레거시 콘텐츠 사업의 미래
Author
조영신,이종민
미디어, ICT 산업 및 콘텐츠 비즈니스 전문가로서 기업, 기관, 학계를 넘나들며 급변하는 글로벌 미디어 산업과 콘텐츠 비즈니스의 생태계 변화에 관한 날카로운 분석과 통찰력 넘치는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한 뒤 인디애나대학에서 석사를 수료하고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에서 미디어 산업 정책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디어 산업의 트렌드를 분석하고 시장을 예측하며 SK경영경제연구소의 수석연구원, SK브로드밴드 경영전략그룹장으로 일했다. 2014년 화제의 ≪뉴욕타임스 혁신보고서≫를 발 빠르게 번역해 저널리즘 시장에 한바탕 바람을 일으켰다. 한국방송학회 대회협력이사, 한국언론학회 커뮤니케이션 정책연구회장으로도 활동하면서 다양한 강의와 연구 및 저술 활동을 통해 세상의 변화를 고민하고 혁신을 이루려는 이들과 꾸준히 소통하고자 한다.
미디어, ICT 산업 및 콘텐츠 비즈니스 전문가로서 기업, 기관, 학계를 넘나들며 급변하는 글로벌 미디어 산업과 콘텐츠 비즈니스의 생태계 변화에 관한 날카로운 분석과 통찰력 넘치는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한 뒤 인디애나대학에서 석사를 수료하고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에서 미디어 산업 정책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디어 산업의 트렌드를 분석하고 시장을 예측하며 SK경영경제연구소의 수석연구원, SK브로드밴드 경영전략그룹장으로 일했다. 2014년 화제의 ≪뉴욕타임스 혁신보고서≫를 발 빠르게 번역해 저널리즘 시장에 한바탕 바람을 일으켰다. 한국방송학회 대회협력이사, 한국언론학회 커뮤니케이션 정책연구회장으로도 활동하면서 다양한 강의와 연구 및 저술 활동을 통해 세상의 변화를 고민하고 혁신을 이루려는 이들과 꾸준히 소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