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가 콘텐츠 제작을 혁신하고 있다. 넷플릭스는 AI 기반 추천 시스템을 활용하고, CJ ENM은 AI 가상 스튜디오와 음악 창작으로 제작 효율을 높인다. 반면 지상파 방송사는 화질 개선, 자동 자막 생성 등 부가적인 영역에 집중하고 있다. AI가 레거시 콘텐츠 사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기존 사업자들의 대응 전략과 미래 가능성을 제시한다.
Contents
현저한 격차
01 AI의 도움을 받아 기획하다
02 스토리텔링의 밑 작업을 AI와 협업하다
03 AI 덕분에 서류 작업에서 해방되다
04 프리프로덕션 단계에서 미리 촬영 현장을 경험하다
05 LED에서 창조된 공간이 현실이 되다
06 CG/VFX 노동 집약적 파이프라인에서탈피하다
07 더빙과 자막, 플랫폼 사업자의통제권을 회수하다
08 디지털 마케팅의 난제를 해결하다
09 IP 트랜스미디어의 해법을 제시하다
10 레거시 콘텐츠 사업의 미래
Author
조영신,이종민
미디어, ICT 산업 및 콘텐츠 비즈니스 전문가로서 기업, 기관, 학계를 넘나들며 급변하는 글로벌 미디어 산업과 콘텐츠 비즈니스의 생태계 변화에 관한 날카로운 분석과 통찰력 넘치는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한 뒤 인디애나대학에서 석사를 수료하고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에서 미디어 산업 정책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디어 산업의 트렌드를 분석하고 시장을 예측하며 SK경영경제연구소의 수석연구원, SK브로드밴드 경영전략그룹장으로 일했다. 2014년 화제의 ≪뉴욕타임스 혁신보고서≫를 발 빠르게 번역해 저널리즘 시장에 한바탕 바람을 일으켰다. 한국방송학회 대회협력이사, 한국언론학회 커뮤니케이션 정책연구회장으로도 활동하면서 다양한 강의와 연구 및 저술 활동을 통해 세상의 변화를 고민하고 혁신을 이루려는 이들과 꾸준히 소통하고자 한다.
미디어, ICT 산업 및 콘텐츠 비즈니스 전문가로서 기업, 기관, 학계를 넘나들며 급변하는 글로벌 미디어 산업과 콘텐츠 비즈니스의 생태계 변화에 관한 날카로운 분석과 통찰력 넘치는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한 뒤 인디애나대학에서 석사를 수료하고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에서 미디어 산업 정책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디어 산업의 트렌드를 분석하고 시장을 예측하며 SK경영경제연구소의 수석연구원, SK브로드밴드 경영전략그룹장으로 일했다. 2014년 화제의 ≪뉴욕타임스 혁신보고서≫를 발 빠르게 번역해 저널리즘 시장에 한바탕 바람을 일으켰다. 한국방송학회 대회협력이사, 한국언론학회 커뮤니케이션 정책연구회장으로도 활동하면서 다양한 강의와 연구 및 저술 활동을 통해 세상의 변화를 고민하고 혁신을 이루려는 이들과 꾸준히 소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