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인간의 역할을 대신하며 자율적 결정을 내리는 시대가 도래하면서 AI에 인격을 부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쟁이 뜨겁다. 칸트 철학에서는 인격이 자율성과 도덕적 책임을 전제로 하지만, 현재 AI는 논리적 연산만 수행하므로 인격적 존재가 될 수 없다고 본다. 그러나 강인공지능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칸트의 관점에서도 AI 인격체가 될 가능성이 남아 있다. AI 인격 논쟁을 칸트 철학의 관점에서 분석하며, AI와 인간의 새로운 윤리적 관계를 모색한다.
Contents
AI 인격체의 가능성, 그리고 칸트
01 AI를 정의하는 두 가지 방식
02 인격과 전자 인격
03 사실적 관점과 당위적 관점
04 AI 인격체에 대한 기대와 흥분
05 AI 인격체에 대한 우려와 두려움
06 전자 인격 논쟁과 칸트의 인격 개념
07 자기의식과 AI
08 자율성과 AI
09 종 주의 대 로고스 중심주의
10 약인공지능에 대한 윤리적 고려
Author
박경남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연구교수 및 카이스트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겸직교수. 서강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로욜라 유니버시티 시카고(Loyola University Chicago)에서 칸트의 물질 개념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북대학교 철학과 BK21 계약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단국대, 카이스트, 서강대에서 강의하고 있다. 그 밖에 로욜라 유니버시티 시카고, 가톨릭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경북대학교에서 강의했다. 주요 논문으로 “칸트의 사회 계약 이론을 통해서 본 근원적 계약의 이념성”(2024), “인격에 대한 칸트의 관점과 인공지능”(2023), “윤리 역사에 대한 칸트의 예언: 『학부들의 다툼』 제2절을 중심으로”(2023) 등이 있다.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연구교수 및 카이스트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겸직교수. 서강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로욜라 유니버시티 시카고(Loyola University Chicago)에서 칸트의 물질 개념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북대학교 철학과 BK21 계약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단국대, 카이스트, 서강대에서 강의하고 있다. 그 밖에 로욜라 유니버시티 시카고, 가톨릭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경북대학교에서 강의했다. 주요 논문으로 “칸트의 사회 계약 이론을 통해서 본 근원적 계약의 이념성”(2024), “인격에 대한 칸트의 관점과 인공지능”(2023), “윤리 역사에 대한 칸트의 예언: 『학부들의 다툼』 제2절을 중심으로”(2023)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