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인공지능응용연구실 선임연구원이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인공지능 전공 부교수와 한국비파괴검사학회(KSNT) 국제협력이사를 겸임하고 있다. 한양대학교에서 기계공학 학사(2013)와 융합기계공학 박사(2018) 학위를 취득했고, 박사학위 논문으로는 “음향 선형 비선형 합성 개구 영상화”를 발표했다. 광주과학기술원 박사후연구원으로 연구 경력을 시작해, 2019년부터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인공지능 응용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시계열 데이터 이상 탐지, 멀티모달 데이터 융합, 자율 비파괴검사 기술 등 첨단 인공지능 기술 전반에 걸쳐 있으며, 최근에는 대형 멀티모달 모델과 시뮬레이션 가속화 기술을 활용해 공학적 난제를 해결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산업 현장의 실질적 문제 해결과 기술 혁신으로 이어져, 학문적 기여를 넘어 지속 가능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 이바지하고 있다. 세계비파괴검사학술대회(WCNDT)에서 젊은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상(The Young Achiever Award)(2024)을 비롯해, 한국비파괴검사학회 공로상(2024), 제어로봇시스템학회 우수신진연구자상(2021), 한국로봇학회 신진연구자상(2019)을 수상했다. 또한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KIRD) 우수교수상(2022, 2023)을 연속으로 수상하며, 학계와 산업계를 아우르는 공학자로서의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인공지능응용연구실 선임연구원이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인공지능 전공 부교수와 한국비파괴검사학회(KSNT) 국제협력이사를 겸임하고 있다. 한양대학교에서 기계공학 학사(2013)와 융합기계공학 박사(2018) 학위를 취득했고, 박사학위 논문으로는 “음향 선형 비선형 합성 개구 영상화”를 발표했다. 광주과학기술원 박사후연구원으로 연구 경력을 시작해, 2019년부터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인공지능 응용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시계열 데이터 이상 탐지, 멀티모달 데이터 융합, 자율 비파괴검사 기술 등 첨단 인공지능 기술 전반에 걸쳐 있으며, 최근에는 대형 멀티모달 모델과 시뮬레이션 가속화 기술을 활용해 공학적 난제를 해결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산업 현장의 실질적 문제 해결과 기술 혁신으로 이어져, 학문적 기여를 넘어 지속 가능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 이바지하고 있다. 세계비파괴검사학술대회(WCNDT)에서 젊은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상(The Young Achiever Award)(2024)을 비롯해, 한국비파괴검사학회 공로상(2024), 제어로봇시스템학회 우수신진연구자상(2021), 한국로봇학회 신진연구자상(2019)을 수상했다. 또한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KIRD) 우수교수상(2022, 2023)을 연속으로 수상하며, 학계와 산업계를 아우르는 공학자로서의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