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와 물리학의 융합은 과학적 패러다임 변화의 중요한 요소로, AI는 물리학 연구에서 모델링, 계산 가속화 등에 기여하고, 물리학적 통찰은 AI 훈련에 도움을 준다. 그러나 기술적, 윤리적 도전도 존재하며, 이를 해결하려면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다. AI와 물리학의 협력은 과학적 발견을 촉진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설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Contents
새로운 패러다임: 인간지능+인공지능
01 물리학에서 AI
02 모델과 매개변수를 추론하다
03 계산을 가속화하다
04 물리상수를 찾아낼 수 있을까
05 AI에서의 물리학
06 AI의 작동 원리 탐구
07 물리학이 제시한 새로운 알고리즘
08 양자물리와 AI
09 노벨상과 AI
10 데이터, 정보, 물리 그리고 AI
Author
송태근
국립공주대학교 데이터정보물리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충남대학교 물리학과에서 학사와 석박사 통합 과정을 수학하고 국제이론물리연구센터(이탈리아), 아시아태평양 이론물리연구센터, 포항공과대학교 물리학과 연구교수, 고등과학원 AI 기초과학센터에서 박사후 연구원 과정을 거쳤다. 이론을 중심으로 중시계 양자물리, 생물물리, 통계물리 등의 연구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국제전문학술지에 총 21편의 논문을 게재하였고, 현재 물리학과 AI를 융합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국립공주대학교 데이터정보물리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충남대학교 물리학과에서 학사와 석박사 통합 과정을 수학하고 국제이론물리연구센터(이탈리아), 아시아태평양 이론물리연구센터, 포항공과대학교 물리학과 연구교수, 고등과학원 AI 기초과학센터에서 박사후 연구원 과정을 거쳤다. 이론을 중심으로 중시계 양자물리, 생물물리, 통계물리 등의 연구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국제전문학술지에 총 21편의 논문을 게재하였고, 현재 물리학과 AI를 융합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