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 도시 읽기

미래도시 라이프스타일과 함께
$30.24
SKU
979115730998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4/10
Pages/Weight/Size 176*248*30mm
ISBN 9791157309986
Categories 대학교재 > 공학계열
Description
『AI 도시 읽기』는 AI가 도시에 주는 의미와 함의를 살펴봄으로써 우리의 도시계획적 사고와 지식의 지평을 넓혀 보려는 의도로 집필되었다. 그렇게 함으로서 AI가 열어주는 도시AI, AI 어바니즘, AI 에이전트에 대한 이해도 보다 깊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의 대부분의 장은 독자분들의 미래도시에 대한 상상력을 자극하기 위해 2035년을 목표 년도로 하여 AI와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 트랜드를 미래에 미리 투영해본 장면들로 출발한다.
Contents
Chapter 01 21세기초반 이후 AI의 진화와 도시에 주는 의미

01 2012년 구글 고양이 인식사건 이후 AI 발전사: 딥러닝 혁명과 범용인공지능 시대로의 초석을 깔다.

02 2012년 구글 고양이 인식사건부터 딥러닝, LLM, MMLM까지: 도시 분야 혁신을 위한 AI 진화의 여정

03 딥러닝은 신경망과 은닉층을 중심축으로 설계되었다

04 귀납적 인공신경망과 파라미터, 그리고 강화학습

Chapter 02 도시 AI(Urban AI) 읽기

05 도시 AI(Urban AI)가 도시내 AI를 이끌어 간다

06 도시 AI(Urban AI), AI 어바니즘(Urbanism), AI 도시(AI City)가 추구하는 가치를 비교해보자

07 AI 계획가가 어디에서 일하는지에(planner-inthe-loop, planner-on-the-loop, planner-out-ofthe-loop)따라 역할이 달라진다

08 AI 비서(AI Agent)와 함께 환상으로 그려내는 도시

09 생성형 AI(Generative AI)가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 동영상으로 도시계획분야에 출현한다

10 멀티모달(Multimodal) AI가 도시계획, 도시설계, 도시교통에까지 퍼져 나간다

11 AGI(인공일반지능 :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에게 친환경 · 인본주의 도시 계획의 싹을 키워줘야 한다

Chapter 03 AI 발전 단계마다 도시의 지축을 흔들다

12 AI는 딥 러닝은 맥컬럭-피츠모델(McCulloch-Pitts)→햅(Hebb)의 이론→퍼셉트론(Percetron)→인공신경망(AI)→딥 러닝(Deep Learning) 순으로 개발되어왔다

13 ‘ AI 발전의 3단계 법칙’들이 도시계획분야에까지 연구의 지평을 넓히다

14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ML)은 좋은 도시를 만들어 가는 동반자이다

15 딥 러닝(Deep Learning)이 그려내는 도시계획이야기

16 LLM(거대언어모델)→LMM(거대멀티모달모델)→LAM(거대행동모델)으로 갈수록 똑똑해 지는 도시 AI

Chapter 04 멀티모달 AI 에이전트가 AI 도시계획가(AI Planner) 이다

17 AI 에이전트는 지휘자이고 챗봇은 자판기이다: 2013영화 ‘그녀(Her)’가 2025년 멀티모달 AI 에이전트로 도시 속에서 재 탄생하다

18 멀티모달 AI 에이전트와 디지털 트윈의 협력적 도시 콘서트
Author
원제무
한양대 공대, 서울대 환경대학원, 미국 UCLA 도시건축대학원을 졸업하고, MIT 도시건축대학원에서 도시 및 지역계획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KAIST 도시교통연구본부장,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교수, 서울연구원 선입연구위원 등을 거쳐 국토도시계획학회장과 한양대 도시대학원장을 지냈다. 현재는 한양대 명예교수로 재직하면서 연구와 강의를 해오고 있다.
한양대 공대, 서울대 환경대학원, 미국 UCLA 도시건축대학원을 졸업하고, MIT 도시건축대학원에서 도시 및 지역계획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KAIST 도시교통연구본부장,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교수, 서울연구원 선입연구위원 등을 거쳐 국토도시계획학회장과 한양대 도시대학원장을 지냈다. 현재는 한양대 명예교수로 재직하면서 연구와 강의를 해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