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조지 오웰은 “나는 완벽해지기 위해 이 세상에 태어나지 않았어. 난 내 존재 자체로 경이로워지면 돼”라는 말을 세상에 남겼다. 내 존재 자체로 경이로워진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인공지능이란 슈퍼 기계가 등장하고 인간은 미래의 일자리를 걱정하며 위축되어 있다. 지금처럼 우리 인간이 저평가된 시대가 있었을까 싶을 정도로 기술은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이런 모습은 마치 근대 산업화를 지나며 나타났던 ‘인간 소외’의 최신판 데자뷰가 아닐 수 없다. 인공지능 시대의 중심에 서 있는 우리 인간의 생존력은 어디에서 찾아야 하는 걸까?
사람과 조직에 대한 본질적 이해를 업의 테마로 정하고 23년간 고민의 여정을 이어 오고 있는 『AI시대 사람의 조건 휴탈리티』의 저자 박정열은 나 자신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의 여정을 통해 우리 삶의 존패 또는 번영의 스토리가 생겨난다고 말한다. 이제 그가 말하는 ‘휴탈리티’를 통해 기술이 진보해도 여전히 주목받아야 할 인간의 능력이 무엇인지 깨닫고, 기술보다 해석이, 데이터보다 의미 연결이 더 중요한 이유에 대해 알아본다.
Contents
프롤로그_ 우리는 모두 저평가되어 있다
Part1. ‘인재’에 관한 불편한 진실: 당신의 머릿속 ‘인재’의 허상을 지워라
01 ‘인재’는 누가, 무엇으로 정의하는가
인재는 없고 사람만 많다?
인재를 검증하는 두 가지 역량: 기술 역량과 해석 역량
02 당신의 인재관을 흔드는 질문들
인재는 힘 있는 자가 정의한다
조직을 움직이는 신념과 이익 드라이버를 활용하라
03 어제 여기 인재가 내일 거기서도 인재?
성과를 만들어내는 세 가지 요인
기술이 만들어내는 가치의 유효기간
어제의 인재가 미래의 인재는 아니다
04 인재상 너머의 ‘인재’를 보는 법
인재상이 갖춰야 할 세 가지 요소
인재상이 말잔치가 되는 이유
05 차라리 지금까지 인재 아니길 잘했다!
이대로는 안 되는 이유
미래 인재상을 검증하라
Part2. 인재와 미래의 아슬아슬한 탱고: 빅데이터를 이기는 인간의 조건은 무엇인가
01 미래라는 무대에서 사라지고 싶지 않다면
우리가 기계에게 넘겨주고 있는 것들
기계도 ‘영혼’을 가질 수 있는가
02 우리가 지킬 것은 일자리가 아니라 사람이다
‘얼마나’ 줄어드는가보다 ‘어떻게’ 바뀔 것인가가 중요하다
‘일하는 방식’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미래라는 파도에서 생존하려면
03 소유 경제 4.0의 시대가 온다
공유할수록 빼앗기는 이상한 시스템
데이터를 소유한 자가 미래를 소유한다
04 알고리즘으로 풀 수 없는 인간의 영역, 해석
경험은 같아도 해석이 다를 수밖에 없는 이유
‘너의 의미 체계를 알라’
05 인재성의 시대가 오다
우리가 아직 기계에게 넘겨주지 않은 것
내재화 vs. 내사화
내 안의 해석 역량을 끌어올려라
인재상이 아닌 인재성을 말하다
인재성 진보의 성지, 휴탈리티 밸리
Part3. AI시대 사람의 조건, 휴탈리티: 물음표와 느낌표로 인재성을 밝히다
01 오직 내 안의 것들만이 나를 움직일 수 있다
보상과 내적 동기부여
외부 조건이 만들어낸 ‘거짓 자아’를 버려라
목표가 아닌 과정에 몰입하기
02 나를 흔들리지 않게 해주는 질문들
왜, 본질을 묻는 질문이어야 하는가
본질에 충실하면 단단하다
03 나는 보이는 것 너머를 본다
맥락을 보려면 나 자신에게 접속하라
다양한 관점 속에 맥락이 보인다
04 데이터를 넘어서는 느낌표의 힘
당신의 감수성은 어디에 있는가
경험을 통해 지혜를 얻어내는 법, 프로네시스
05 문제는 정답을 목적으로 하지 않아도 좋다
혼돈의 정점, 슈퍼 뷰카의 시대
최초로 하늘을 날게 해준 해석의 힘
에필로그_ My Origin
저자 후기
참고 문헌
Author
박정열
‘사람과 조직에 대한 본질적 이해’를 업의 테마로 정하고 지금까지 23년간 그 고민의 여정을 이어 오고 있다. 연세대에서 철학을 전공했고 이어 연세대에서 경영학 석사, 서울대에서 교육학 박사를 취득했다. 사람과 조직에 대한 본질적 이해를 심화시키기 위해서는 철학, 경영학, 교육학의 학제적 통섭과 콜라보가 있어야 한다고 판단한 것이다. E.LAND, LG Leadership Academy, InsightGroup, NemoPartners, KPMG를 거치면서 공공기관 및 중소대기업 약 109개 조직, 18,000여 명과 만나 소통하며 교감하였다. 학문을 통한 체계적 고민과 현장의 질감 있는 경험을 겸비하기 위한 여정이었다. 현재는 HMG(Hyundai Motor Group University)에 재직하며 그 이해 여정을 더욱 심화(enrich), 확장(enlarge)시켜가고 있다. 최근 「지식근로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진단도구 개발」이 한국인력개발학회 최우수 논문으로 선정되었으며, 미래인재마인드라는 프로그램을 기획 개발하여 인재 개발의 새로운 혁신을 일으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사람과 조직에 대한 본질적 이해’를 업의 테마로 정하고 지금까지 23년간 그 고민의 여정을 이어 오고 있다. 연세대에서 철학을 전공했고 이어 연세대에서 경영학 석사, 서울대에서 교육학 박사를 취득했다. 사람과 조직에 대한 본질적 이해를 심화시키기 위해서는 철학, 경영학, 교육학의 학제적 통섭과 콜라보가 있어야 한다고 판단한 것이다. E.LAND, LG Leadership Academy, InsightGroup, NemoPartners, KPMG를 거치면서 공공기관 및 중소대기업 약 109개 조직, 18,000여 명과 만나 소통하며 교감하였다. 학문을 통한 체계적 고민과 현장의 질감 있는 경험을 겸비하기 위한 여정이었다. 현재는 HMG(Hyundai Motor Group University)에 재직하며 그 이해 여정을 더욱 심화(enrich), 확장(enlarge)시켜가고 있다. 최근 「지식근로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진단도구 개발」이 한국인력개발학회 최우수 논문으로 선정되었으며, 미래인재마인드라는 프로그램을 기획 개발하여 인재 개발의 새로운 혁신을 일으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