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이미 인공지능이 글도 쓰고 그림도 그리며 작곡도 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이러한 흐름의 중심에 있는 건 바로 뭔가를 만들어 내는 AI, 즉 생성 AI이다. 최근 달리3와 챗GPT를 필두로 수많은 생성 AI가 쏟아져 나오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여느 때보다도 뜨겁다. 하지만 언어의 장벽에 가로막혀 생성 AI를 사용하지 못하거나 막상 생성 AI를 써 보고 신기함을 느끼면서도 이걸 업무에 어떤 식으로 활용하면 좋을지 고민하는 분들이 많다. 이 책은 일반 독자에서부터 크리에이터, 디자이너, 작가, 개발자, 직장인까지 모든 사람이 생성 AI의 도움을 받아 자신만의 개성 있고 매력적인 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다양한 생성 AI의 사용법을 쉽고 자세히 풀어 설명한다.
내용은 크게 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AI를 활용하기에 앞서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AI의 기본 개념과 역사에 관해 알아본다. 2장부터 5장까지는 주제별로 다양한 생성 AI의 사용법을 배운다. 그리고 6장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의 AI 활용법을 제시하며, 7장에서는 생성 AI에 관한 현재 진행 중인 각종 논쟁과 미래 전망에 관해 다룬다. 마지막 에필로그에서는 대표적인 텍스트 생성 AI인 클로드에 탑재된 AI 언어 모델, 소네트와의 인터뷰 내용을 소개한다. 이 책의 장별 내용은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별개이므로 꼭 순서대로 읽을 필요는 없으며, 관심이 가는 부분부터 읽어도 좋다.
Contents
1장 AI 빠르게 훑어보기
1. AI의 정의
2. AI의 역사
3. AI의 유형
4. AI의 학습 방식
5. 우리 주변의 AI
6. AI와 관련된 흥미로운 개념들
2장 생성 AI 소개(텍스트 편)
1. 챗GPT: 모르는 게 없는 만능 AI 대화 파트너
2. 코파일럿: 구글의 자리를 노리는 MS의 비밀병기
3. 클로드: 인간적인 말하기에 능한 AI 어시스턴트
4. 제미나이: 구글이 야심 차게 선보인 AI 기술의 결정체
5. 클로바 X: 한국어에 특화된 네이버의 대화형 AI
6. 뤼튼: 여러 가지 AI가 한데 모인 종합 AI 플랫폼
3장 생성 AI 소개(오디오 편)
1. 수노: 음악 창작의 새 시대를 여는 전천후 AI 뮤지션
2. 유디오: AI 음악 시장의 샛별
3. 뮤지아: 광주과학기술원 연구팀이 만든 AI 작곡가
4장 생성 AI 소개(이미지 편)
1. 달리 3: AI 예술의 선구자로 자리매김한 디지털 화가
2. 미드저니: 독창적인 화풍으로 주목받는 AI 아티스트
3. 이마젠 3: 구글의 기술력이 집약된 AI 이미지 크리에이터
4. 파이어플라이: 포토샵을 만든 어도비의 걸작
5. 아이디오그램: 로고와 문자 디자인에 강한 AI
6. 스테이블 디퓨전: 커뮤니티와 함께 성장하는 개방형 AI 화가
5장 생성 AI 소개(비디오 및 프레젠테이션 편)
1. 헤이젠: 가상 인간을 활용한 비디오 제작 플랫폼
2. 브루: 원스톱 영상 제작의 대가
3. 루마: 사진을 살아 숨 쉬게 만드는 AI 영상 제작 도구
4. 소라: 꿈꾸던 장면을 그려내는 드림 캔버스
5. 감마: 놀라운 프레젠테이션 자동 생성 AI
6장 생성 AI 활용법
1. 크리에이터를 위한 활용법
2. 디자이너를 위한 활용법
3. 뮤지션을 위한 활용법
4. 작가를 위한 활용법
5. 프로그래머를 위한 활용법
6. 학생을 위한 활용법
7. 교육자를 위한 활용법
8. 취업 준비생을 위한 활용법
9. 직장인을 위한 활용법
7장 생성 AI와 관련된 논쟁과 미래 전망
1. 범죄 악용
2. 신뢰성 문제
3. 윤리·법적 문제
4. 환경 문제
5. 강한 AI와 초지능이 야기할 문제
6. 미래 전망
에필로그: 소네트와의 인터뷰
집필 후기
Author
김민후
IT 커뮤니케이터. 1993년에 제주도에서 태어났으며 컴퓨터의 무한한 가능성에 매료되어 어렸을 때부터 독학으로 컴퓨터를 공부했다.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컴퓨터 공학을 전공했으며 대학교를 전체 수석으로 조기 졸업한 뒤 부산대학교 대학원에 다니다가 IT의 매력을 대중에 널리 알리는 것이 자신에게 주어진 책무임을 직감하고 IT 커뮤니케이터라는 직업을 창출했다. 현재 제주융합과학연구원, 제주과학문화협회, 제주공공정책연수원, 탐라교육원, 각급 학교 등 다양한 기관에서 AI, 코딩 교육 프로그램 진행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2023년 4월부터 TBN 제주교통방송의 간판 프로그램 [TBN 제주 매거진]의 [내 손 안의 디지털] 코너에 매주 IT 전문가 패널로 고정 출연 중이며, 블로그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활동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IT뿐만 아니라 인간을 이해하는 학문인 심리학과 인지 과학에도 관심이 많으며, 곧 AI를 비롯한 인지 과학의 6가지 핵심 분야를 통해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에듀테크 스타트업 [온코그니어]에서 최고 기술 책임자(CTO)로 활약할 예정이다.
IT 커뮤니케이터. 1993년에 제주도에서 태어났으며 컴퓨터의 무한한 가능성에 매료되어 어렸을 때부터 독학으로 컴퓨터를 공부했다.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컴퓨터 공학을 전공했으며 대학교를 전체 수석으로 조기 졸업한 뒤 부산대학교 대학원에 다니다가 IT의 매력을 대중에 널리 알리는 것이 자신에게 주어진 책무임을 직감하고 IT 커뮤니케이터라는 직업을 창출했다. 현재 제주융합과학연구원, 제주과학문화협회, 제주공공정책연수원, 탐라교육원, 각급 학교 등 다양한 기관에서 AI, 코딩 교육 프로그램 진행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2023년 4월부터 TBN 제주교통방송의 간판 프로그램 [TBN 제주 매거진]의 [내 손 안의 디지털] 코너에 매주 IT 전문가 패널로 고정 출연 중이며, 블로그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활동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IT뿐만 아니라 인간을 이해하는 학문인 심리학과 인지 과학에도 관심이 많으며, 곧 AI를 비롯한 인지 과학의 6가지 핵심 분야를 통해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에듀테크 스타트업 [온코그니어]에서 최고 기술 책임자(CTO)로 활약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