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심경》은 깨달음을 완성한 관자재보살이 중생구제의 원력인 6바라밀 실천 헌장이다. 《금강경》은 6바라밀 가운데 첫째 덕목인 ‘보시바라밀’을 들어서 아래 다섯을 담았고, 《반야심경》은 마지막 덕목인 ‘반야바라밀’을 들어서 위의 다섯을 담았다.
첫째, 보시바라밀은 함께 나누는 마음이다. 내 것을 아끼고 남의 것은 탐내는 것이 보통 사람의 마음이라면, 보살은 이해하고 양보하며 나누는 마음으로 산다. 둘째, 지계바라밀은 원칙을 세우는 마음이다. 개념도 원칙도 없이 사는 인생이 보통의 삶이라면, 보살은 원칙을 세우고 개념 있는 마음으로 살아야 한다.
셋째, 인욕바라밀은 조건 없이 받아들이는 마음이다. 손해는 조금도 보지 않으려는 것이 보통 사람의 마음이라면, 보살은 인정하고 존중하며 수용하는 마음으로 산다. 넷째, 정진바라밀은 변함없이 한결같은 마음이다. 대중없이 되는 대로 그냥 그렇게들 산다면, 보살은 명확한 원력으로 미래를 산다.
다섯째, 선정바라밀은 늘 평정을 유지하는 마음이다. 보통은 산란한 마음으로 불안정한 삶을 산다. 그러나 보살은 언제 어디서나 주체적 자각을 통해 평정심을 유지한다. 여섯째, 반야바라밀은 언제 어디서나 밝게 깨어있는 의식으로, 몸으로 하는 행동을, 입으로 하는 말을, 마음으로 하는 생각을 알아차리고 개선하는 지혜이다. 범부는 아무 생각 없이 그날그날 세월을 보내지만, 보살은 밝은 마음으로 날마다 새롭게 깨어난다.
Contents
머리말
개경송
첫째, 경명
둘째, 본문
가, 서론
나, 본론
1. 공한 이유
2. 공한 모양
3. 무엇이 공한가
〈세간법〉
1) 5온이 없다
2) 12처도 없다
3) 18계도 없다
〈출세간법〉
4) 12연기법도 없다
5) 4성제법도 없다
6) 지혜도 없다
4. 무엇을 얻는가
1) 보살이 얻는 것
2) 부처님이 얻는 것
다, 결론
셋째, 주문
회향송
맺는말
Author
준수 스님
78년 통도사 청하淸霞대종사를 은사로 峻秀라는 법명을 받다. 92년 중앙승가대학교를 졸업하다. 96년 봉선사 능엄학림 월운강백을 모시고 화엄경청량소초를 연찬하다. 전강傳講을 받고 학봉鶴峰이란 당호를 받다. 98년 은해사 승가대학원 무비강백 강하에서 화엄경을 청강하다. 송광사 서울지부 법련사 불일청년회 지도법사 미국 L,A 고려사, 강화 전등사 법사를 역임하다. 현재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약산사에서 염불정진 중이며, 편저로는 『화엄경청량소과도집』, 『사교과도집』, 『세 가지 보물-염불명상』, 『세 가지 지혜-금강경 위대한 명상』, 『세 가지 행위-나는 무엇으로 사는가』 등이 있다.
78년 통도사 청하淸霞대종사를 은사로 峻秀라는 법명을 받다. 92년 중앙승가대학교를 졸업하다. 96년 봉선사 능엄학림 월운강백을 모시고 화엄경청량소초를 연찬하다. 전강傳講을 받고 학봉鶴峰이란 당호를 받다. 98년 은해사 승가대학원 무비강백 강하에서 화엄경을 청강하다. 송광사 서울지부 법련사 불일청년회 지도법사 미국 L,A 고려사, 강화 전등사 법사를 역임하다. 현재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약산사에서 염불정진 중이며, 편저로는 『화엄경청량소과도집』, 『사교과도집』, 『세 가지 보물-염불명상』, 『세 가지 지혜-금강경 위대한 명상』, 『세 가지 행위-나는 무엇으로 사는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