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행동, 슈퍼사이클이 온다

$21.60
SKU
979119911801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4/30
Pages/Weight/Size 135*210*20mm
ISBN 9791199118010
Categories 자연과학
Description
해양행동의 확산, 전 세계적인 트렌드다!

기후와 해양 위기의 시대,
바다를 위한 글로벌 행동의 흐름을 읽는다

이 책은 지속가능한 바다를 위한 국제사회의 방대한 활동, 즉 해양행동(Ocean Action)을 쉽고 풍부하게 풀어낸 국내 최초의 입문서로, 바다를 정치·경제·기후·시민사회적 관점에서 폭넓게 바라본다. 바다라는 단어가 먼 바닷가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이제 기후변화와 식량, 청년 교육, 산업혁신까지 우리 일상을 관통하는 핵심 어젠다로 자리잡고 있다는 사실을 생생하게 전한다.

이렇게 이 책은 “왜 해양행동이 중요한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함으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해양을 위한 실천적 삶을 어떻게 꾸려 나갈 것인지에 대하여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해양수산부 현직 공무원이, 3년여간 워싱턴 한국대사관 외교 현장 근무를 통해 국제사회에서 해양문제가 급속히 부상하는 흐름을 체험하고 돌아와 국내 독자들에게 소상하게 소개하는 책이기도 하다.
Contents
Prologue

Chapter 1. 파나마 임팩트

다양한 스펙트럼의 참석자
바다 이야기만 하는 2박 3일
세계 시민사회의 에너지
한 사람의 힘
focus #01 ‘아워 오션 콘퍼런스’에 대하여

Chapter 2. 해양행동을 여는 비밀번호: 89.93.02.07.15.23

1989. 몬트리올 의정서
1993. 온실효과
2002. 환경 파괴
2007. 기후변화 통합보고서
2015. 파리기후변화협약
2023. 아워 오션 콘퍼런스
focus #02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에 대하여

Chapter 3. 일상생활 속 바다의 가치

한반도의 전 지역은 연안지역이다
우리나라가 내륙국가였다면
바다는 문명 발달의 필요조건
해양정책의 전환기
focus #03 유럽 대륙의 ‘1987년 대폭풍’에 대하여

Chapter 4. 글로벌 오션 거버넌스

해양 거버넌스의 기틀 마련
지속가능발전과 해양 의제 결합
‘해양행동’ 용어의 태동과 국제 이니셔티브 확장
글로벌 어젠다로서 ‘해양행동’ 확립
해양행동의 확산
글로벌 오션 거버넌스의 물결

Chapter 5. 새로운 거버넌스 패러다임

선도자동맹
해양 분야의 IPCC
혁신적인 해양행동의 사례
초연결사회의 글로벌 시민사회와 기업
해양행동의 떠오르는 영역
focus #04 ‘GPGP’에 대하여
focus #05 ‘해양산성화’에 대하여
focus #06 ‘블루 카본’과 ‘블루 카본 크레디트’에 대하여
focus #07 ‘빌리언 오이스터 프로젝트’에 대하여

Chapter 6. 해양행동의 슈퍼사이클

정해진 미래
해양행동의 핫스폿(주요 테마)
누가 해양행동을 주도할 것인가?
focus #08 ‘글로벌 IT 기업의 해양 활용 사례’에 대하여
focus #09 ‘노르웨이 해양산업의 핵심 전략’에 대하여

Chapter 7. 다음 세대를 위한 제안

바다는 우리 세대와 다음 세대를 잇는 공유의 자산
해양을 둘러싼 경쟁과 갈등에 대한 대처 방향
다음 세대를 위한 해양행동 약속
세대 간 협력
focus #10 미국 고등학교의 해양교육 사례

Epilogue

추천사
부록
국제사회에서 해양행동의 모델을 선도하는 대표적인 시민사회단체, 비영리기구
Author
이상길,이채리
부산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학사)을, 미국 델라웨어대학교에서 에너지환경정책(석사)을 공부했다. 해양수산부에서 20여 년간 해운, 수산양식, 해양정책 등을 담당했으며, 미국 주재 한국대사관에서 근무했다(2020년 10월~2023년 2월). 현재 해양수산부 해양정책과장을 맡고 있다.
부산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학사)을, 미국 델라웨어대학교에서 에너지환경정책(석사)을 공부했다. 해양수산부에서 20여 년간 해운, 수산양식, 해양정책 등을 담당했으며, 미국 주재 한국대사관에서 근무했다(2020년 10월~2023년 2월). 현재 해양수산부 해양정책과장을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