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연출 기본기

PD 지망생과 입문자를 위한 현장 지침서
$19.01
SKU
979119906390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2/14
Pages/Weight/Size 128*188*20mm
ISBN 9791199063907
Categories 예술
Description
세상 쉽고 성능 확실한 교양·예능 콘텐츠 연출법 & 방송 PD 진로코칭

이 책은 방송 연출을 꿈꾸거나 입문한 사람들이 방송 연출과 진로에 대해서 가장 많이 가지는 고민들을 날려주는 고민 해결서다. 20년간 PD로서 교양·예능 콘텐츠 연출을 이어온 저자가 실제 현장 경험을 토대로 영상 콘텐츠 연출과 제작의 핵심만을 선별해, 그 원리를 정리한다. 또한 현직 PD의 시각으로 본, 방송 PD가 되기 위한 가장 현실적인 방법들을 담아낸다. 하지만 딱딱한 대학 교재와는 달리, 다양한 예시와 비유로 이해하기 쉽게 풀어낸다. 에세이 읽듯 술술 읽어 내려가다 보면 어느덧 방송 연출에 대한 기본기가 잡히게 될 것이다.
Contents
프롤로그|작가의 변 · 005

CHAPTER 1. 그대들, 어떻게 살 것인가

1. 불행한 정규직 PD · 012
2. 불행한 비정규직 PD · 018
3. 삶은 계속된다 · 025
4. 상책 · 028
5. 언브레이커블 · 038

CHAPTER 2. 방송 편집 기본기

1. 들어가기 앞서 · 044
2. 연출의 처음과 끝 · 046
3. 의도를 이루는 방법 | 연출의 목적 · 050
4. 몰입시키는 방법 | 연출의 수단 · 055
5. 행동으로 말하는 방법 | 몰입을 위한 행동 · 061
6. 수정을 줄이는 방법 | 기획의도의 통일 · 066
7. 번아웃을 피하는 방법 1 | 촬영 일지 · 073
8. 번아웃을 피하는 방법 2 | 아웃라인 · 077
9. 이건 좀 외우자 | 영상 스토리텔링 1 · 085
10. 사람 되게 해주세요 | 영상 스토리텔링 2 · 090
11.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내지마라 | 영상 스토리텔링 3 · 098
12. 인생에 장애물이 너무 많다 | 영상 스토리텔링 4 · 106
13. 컷 하나 붙이기가 막막하다 | 컷의 선택과 구성 · 113
14. 편집 실전 | 리얼리티 예능 편집 사례 · 125
15. 몰래카메라와 히치콕 | 편집 구성 기법 · 133
16. 뭘 날려야 하나요? | 편집본의 퇴고 · 141
17. 빠른 속도감을 내는 방법 | 편집 리듬 1 · 147
18. 긴장감을 주는 방법 | 편집 리듬 2 · 154
19. 대화에 빠져들게 만들 방법 | 대화 장면의 편집 · 160
20. 모두를 기대시킬 방법 | 오프닝과 엔딩의 기술 · 165
21. 소리를 쓰는 방법 | 오디오와 사운드의 기술 · 169

CHAPTER 3. 공동 작업 기본기

1. 조별 과제 | 기획 · 178
2. 최종 이미지 | 촬영 · 185
3. 라포 | 출연자 · 190
4. 레퍼런스 | 후반작업 · 196
5. 스태프 | 진로 · 198

에필로그|행운을 빌어요 · 201

감사의 말 · 205
Author
정영택
글 읽는 게 좋았고, 음악 듣는 게 좋았다. 그러다 보니 글과 음악을 다루고 싶어졌고, 이 모든 게 가능한 건 영상이라는 사실을 알아버렸다. 그래서 2005년, MBC [뽀뽀뽀]를 시작으로, 방송 연출이란 기나긴 여정을 떠났다. 밤낮이 없거나 바뀌거나 둘 중 하나였던 20년간, FD·조연출을 거쳐 PD에 이르며 어쩌면 들어봤거나 아닌 다수의 교양·예능 방송 프로그램을 연출했다. 에세이집 《직업으로서의 PD》를 썼다.
글 읽는 게 좋았고, 음악 듣는 게 좋았다. 그러다 보니 글과 음악을 다루고 싶어졌고, 이 모든 게 가능한 건 영상이라는 사실을 알아버렸다. 그래서 2005년, MBC [뽀뽀뽀]를 시작으로, 방송 연출이란 기나긴 여정을 떠났다. 밤낮이 없거나 바뀌거나 둘 중 하나였던 20년간, FD·조연출을 거쳐 PD에 이르며 어쩌면 들어봤거나 아닌 다수의 교양·예능 방송 프로그램을 연출했다. 에세이집 《직업으로서의 PD》를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