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종합예술인 오페라의 놀라운 면모를 필름의 눈으로 응시한 12편의 오페라 영화 속 편지들이 스스로를 연기함으로써 스스로를 배달하며 비극에서는 치명적 결말로, 희극에서는 웃음과 풍자로 서사를 이끌며 데리다의 우편엽서처럼 재구성되는 인문학적 통찰이 담긴 이야기이다. 그리고 원작인 문학과의 비교, 오페라 영화 속 관련 역사적 사건 및 시대적 함의를 추적해 작품 내·외적 맥락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이화여자대학교 성악과를 졸업하고 파리 에꼴 노르말(Ecole Normale de Musique de Paris)에서 세계적인 성악가 잔느 베르비에(Jane Berbie) 사사로 디플롬 취득 후 프랑스와 독일에서 성악가 및 피아노 반주자로 활동한 임영신의 도움으로 전문성을 더했다.
Contents
책을 내며 … 05
01
예언이 실린 편지,
파멸에 이르는 변증법적 공모를 가져오다 … 13
클로드 다나 감독, [베르디의 맥베스](1987)
02
이별 편지,
희생을 통한 진정한 사랑을 노래하다 … 35
프랑코 제피렐리 감독, [베르디의 라 트라비아타](1982)
03
전달되지 못한 편지,
‘무지의 비극’의 중추선이 되다 … 53
바바라 스위트 감독, [구노의 로미오와 줄리엣 ](2002)
04
메신저의 편지,
질투에 눈먼 자의 파국을 막지 못하다 … 71
프란체스코 로시 감독, [비제의 카르멘](1984)
05
응답받지 못한 편지,
‘엇갈린 사랑’의 메타포가 되다 … 91
페터 바이글 감독, [차이코프스키의 에브게니 오네긴](1988)
06
금지된 사랑의 편지,
애절한 시적 드라마로 펼쳐지다 … 113
페터 바이글 감독, [마스네의 베르테르](1985)
07
생의 마지막 순간의 편지,
혁명과 사랑을 노래하다 … 133
브누아 자코 감독, [푸치니의 토스카](2001)
08
무책임한 편지,
갸날픈 나비의 날개를 꺾어버리다 … 153
프리데릭 미테랑 감독, [푸치니의 나비부인](1995)
09
대필 편지,
서사적 파장을 일으키며 ‘길 밖의 길’을 내다 … 170
장 피에르 포넬 감독, [모차르트의 피가로의 결혼](1976)
10
그린라이트 신호 편지,
계몽주의 여성 세계관을 보여주다 … 189
장 피에르 포넬 감독, [로시니의 세비야의 이발사](1972)
11
양다리 연애편지,
여성들의 연대에 의한 창조적 변이의 동인이 되다 … 207
괴츠 프리드리히 감독, [베르디의 팔스타프](1979)
12
‘침실 속임수’ 편지,
유쾌한 소동으로 세기말 빈 상류사회에 일침을 가하다 … 227
오토 쉥크 감독, [슈트라우스의 아라벨라](1977)
참고문헌 … 245
Author
임복희
이화여자대학교 학부에서 행정학과 및 법학과를 졸업하였고,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법학석사 및 박사학위(Ph. D. in Law)취득 후 미국 코네티컷로스쿨(University of Conneticut School of Law)을 졸업(LL.M)하였다. 또한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객원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박사학위논문은 『외국판결의 승인 및 집행법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2011)이며, 최근 연구 논문으로는 “한국 법원의 종교 성지 공간에 대한 이해: 성지 공간을 둘러싼 종교 간 갈등에 관한 두 판례들을 중심으로”,「종교문화비평」(44), 2023 등이 있다. 영화에 대한 특별한 관심은 강단에서 법정영화를 활용하여 토론수업을 하거나 여러 매체에 영화칼럼을 연재하면서부터이다. 현재 연세대학교 등에서‘법과 인문학’을 주제로 연구, 강의 및 거제시 입법평가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여러 매체에 영화칼럼을 연재 중이다.
이화여자대학교 학부에서 행정학과 및 법학과를 졸업하였고,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법학석사 및 박사학위(Ph. D. in Law)취득 후 미국 코네티컷로스쿨(University of Conneticut School of Law)을 졸업(LL.M)하였다. 또한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객원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박사학위논문은 『외국판결의 승인 및 집행법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2011)이며, 최근 연구 논문으로는 “한국 법원의 종교 성지 공간에 대한 이해: 성지 공간을 둘러싼 종교 간 갈등에 관한 두 판례들을 중심으로”,「종교문화비평」(44), 2023 등이 있다. 영화에 대한 특별한 관심은 강단에서 법정영화를 활용하여 토론수업을 하거나 여러 매체에 영화칼럼을 연재하면서부터이다. 현재 연세대학교 등에서‘법과 인문학’을 주제로 연구, 강의 및 거제시 입법평가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여러 매체에 영화칼럼을 연재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