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활용 교육 강사 ‘자몽쌤’의 신작
현직 초등학교 선생님이 엄선한 2023년도 핵심 뉴스 100가지
초등 교과 과정 성취 기준으로 완전 분석하다!
초등 교과 과정 성취 기준으로 엄선한 2023년도 핵심 뉴스 100편으로 이뤄진 『오늘부터 초등 지식왕』이 클랩북스에서 출간됐다. 14년차 초등학교 교사이자 신문 활용 수업 전문가인 저자는 학교 수업의 연장선으로 교실 안팎의 학생들과 신문 읽기를 한 노하우를 이 책에 모조리 풀어냈다. 초등학생이라면 꼭 알아야 할 경제, 정치, 사회, 문화, 과학, 국제, 환경, 인물을 테마로 구성된 100편의 기사는 각 학년 및 과목별로 접목하여 교과 내용을 깊이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한다. 각 기사에는 수업 중에 꼭 필요한 어휘를 골라 적재적소에 넣었으며, 저학년도 쉽게 읽을 수 있는 기사부터 중학교를 대비해야 하는 고학년을 위한 심화 기사까지 기사의 난이도를 다양하게 구성했다. 더불어 기사를 읽은 뒤에는 기사의 이해를 돕는 질문과 기사에서 다하지 못한 정보를 전달하는 ‘기사 깊이 알아보기’로 기사 내용을 다시 한번 되새길 수 있게 한다. 기사 중에 나온 단어는 그 쓰임을 확실하게 복습할 수 있도록 예문 만들기나 단어의 뜻 잇기, 십자말 퀴즈 등의 ‘단어 깊이 알아보기’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각 기사별 카테고리를 정하는 대신 '어떤 주제일까요?‘ 하고 독자에게 기사 주제를 물어봄으로써, 기사 내용을 얼마나 잘 이해했는지 알아본다. 신문 활용 수업을 통해 같은 기사라도 아이들마다 받아들이는 포인트가 다르다는 것을 발견한 저자가 아이들로 하여금 스스로 기사의 카테고리를 정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 책은 아이들에게 수용적 사고와 비판적인 판단력을 키워 줄 뿐더러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 혹은 취약한 분야까지 파악해 볼 수 있게 한다.
Contents
이 책의 구성과 특징
작가의 말
입문편
·엄마 아들로 태어나 줘서 너무 행복하고 고마웠어
·내가 본 뉴스가 가짜 뉴스라고?
·예술 작품을 쨍그랑 깨뜨려 버린 유치원생
·노 키즈 존, 자유일까? 역차별일까?
·900원과 초등학생의 쪽지, 그리고 사장님의 눈물
·더불어 사는 세상, 베어베터
·“엄마, 속상해서 빵 샀어!” 나의 MBTI는 과연…
·이제는 K-클래식의 시대!
·우크라이나의 크리스마스는 1월 7일이었다고?
·갑자기 부는 선선한 바람, 처서 매직
초급편
·먹태깡은 언제쯤 다시 들어오나요?
·밀가루가 아닌 가루 쌀로 초코 케이크를 만들었다고?
·눈앞에서 놓치고 만 금메달, 웃을 수 없는 은메달리스트의 사연
·최저 시급보다 적은 9급 공무원 월급
·영화 스트리밍 시대를 연 넷플릭스, 리드 헤이스팅스
·‘심심한’ 사과를 드립니다
·동물 학대 결사 반대! 비건 패션으로 패셔니스타 되기
·어디로든 드론이 간다!
·미세 플라스틱이 자페 스펙트럼 장애의 원인이라니!
·뻐꾸기의 알 바꿔치기
·설날 용돈은 얼마를 주고, 얼마를 받아야 할까?
·세기의 장난감, 레고
·우리 집은 하루에 얼마나 먹을까?
·세상에서 가장 비싼 도시에 사는 캥거루족
·“셀프 계산대를 이용해 주세요!” 키오스크가 무서운 노인들
·반려동물도 학교를 다닌다고요?
·다문화 가족으로 이뤄진 ‘다울림 봉사단’
·푸바오랑 강바오 할아버지가 쭉 같이 있게 해 주면 안 돼요?
중급편
·의대를 가장 많이 보내는 ‘서울대학교’
·미술대회 대상의 주인공이 AI라면?
·우후죽순 늘어나는 무인점포, 화재 사고의 사각지대가 되다!
·투명 인간, 현실화될까?
·아름다운 불꽃놀이, 아름답지 못한 뒷모습
·한국어 열풍이 불다!
·제주도에 입도세를 내라고요?
·여행의 성지, 하와이가 분화되다! 그렇다면 백두산도 폭발할까?
·방사능 오염수는 안전하다! V.S. 오염수는 오염수!
·히잡은 꼭 써야 하나요?
·꿈을 현실로 만드는, 일론 머스크
·‘마약’이라는 단어, 빼 주세요
·선생님과 학생이 함께 행복한 교실을 만들어 주세요!
·라켓 부숴 던지고 악수마저 거부한 테니스 선수
·가전제품의 국산화를 이룩한 LG그룹 구인회
·시골의 작은 마을에서 키우고, 도시의 거리에서 팔아요
·이윤보다 환경을 중시하는 파타고니아
·암표는 불법인데 레고를 되파는 건 합법이라고?
·욜로보다 거지방
·친환경 배송 수단의 혁명, 야쿠르트 카트
·중고 거래로 환경을 보호하다!
·투자의 귀재, 워렌 버핏
·세상의 모든 정보, 구글
·한국이 곧 소멸될 거라고요!?
·“학교가 끝나면 학원이나 공부방으로 가야 해요”
·애국 소비보다 아이폰! 중국의 변함없는 아이폰 사랑
상급편
·담배에 세금을 붙이는 건 정당한 일일까?
·자율 주행 자동차와 트롤리의 딜레마
·우리 집에서 자고 갈래? 에어비앤비
·네이마르의 경기를 보려면 파리가 아닌 사우디아라비아로!
·이제부터는 생일이 지나야 나이를 먹을 수 있어요
·혁신의 아이콘, 스티브 잡스
·쇼핑업계의 큰 손, ‘욜드족’을 잡아라
·학교 폭력이 발각되면 대학에도 갈 수가 없어요!
·경찰도 쉬쉬하는 가해자의 신상을 알려드립니다
·사형 제도는 부활해야 할까?
·고요한 택시, 고요한 M
·세계 최초로 달의 남극에 착륙한 인도
·다누리가 촬영한 달의 뒷면
·유클리드 망원경이 우주로 날아가다
·BTS도 군대 간다! 병역 특례는 누가 받을 수 있을까?
·챗 GPT로 과제를 대필한 대학생들
·초봄인데 39도라니!
·생물종이 작아지고 인류세가 시작되다
고급편
·단돈 천 원으로 무엇을 살 수 있나요?
·컴퓨터의 황제, 빌 게이츠
·국민의 대표는 우리 손으로 뽑아요
·헌법을 공표한 제헌절이 언제인지 알고 있나요?
·서울이 외국의 영화나 드라마에 나온다고요?
·매 VS 비둘기, 당신의 선택은?
·천국의 김밥이 지옥의 김밥으로 변한 이유는?
·일본 돈의 가치가 흔들흔들, 일본으로 여행을 떠나요!
·거북선을 만든 이순신의 후예, 조선업 슈퍼 사이클 온다
·수수하면서도 귀티나게, 올드머니룩이 뜬다
·인도에 가뭄이 들면 탕후루 가격이 오른다?
·IMF의 구제 금융 지원을 받으면 어떻게 되나요?
·이봐, 해 봤어? 현대그룹 창업자 정주영
·미래를 내다보는 눈, 삼성그룹 이건희
·안 쓰는 전기 플러그는 꼭 뽑아 주세요
·영화보다 팝콘이 더 매력적이라면, ‘콩코드의 오류’를 떠올려요
·한 발로 달리는 전동 킥보드, 아무나 타도 되는 걸까?
·놀이공원 패스트트랙은 공정한 걸까?
·초등학생도 의무적으로 시험을 봐야 한다고요!?!?
·조리부터 배달에 이르기까지, 푸드테크는 대체 어디까지인가?
·미국에서 냉동 김밥이 불티나게 팔린다고?
·인도는 바라트, 터키는 튀르키예 나라 이름도 개명이 되나요?
·서울 하늘이 뚫렸다! 북한에서 날아온 무인기
·지구 온난화가 가고 열대화 시대가 도래하다
·뚜껑이 열리면 라벨이 떨어지는 페트병
·플라스틱 빨대 대신 종이 빨대를 드립니다
·에베레스트에서 속속 발견되는 의문의 시신들
·유엔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 대한민국
·부록 1. 기사별 초등 개정 교과 과정
·부록 2. 초등 개정 교과 과정 필수 단어
Author
최선민
초등 전문가, 신문 교육 전문가, 부모교육 전문가, 문해력 전문가.
14년 차 초등학교 교사이자 초등 영재학급 강사로 초등학생들의 읽기와 쓰기 교육에 헌신하고 있다. 신문 활동 교육(NIE)을 연구하고 있으며, 실제 수업(사회, 과학, 도덕 등)에도 신문을 활용, 신문 교육 전문가로서 교실 안팎의 아이들과 만나고 있다. 신문 활용 교육을 통한 노하우를 기반으로 『경제가 읽히는 경제사전(공저)』를 출간했다. 교육청과 학교에서 전문적 학습 공동체 연수를 진행하며 부모 교육 강사이자 교육 칼럼니스트로 부모님들과 육아와 경제 교육에 관한 이야기를 적극적으로 공유하고 있다. 코로나 시국에는 아이들이 스스로 공부하고 깨우칠 수 있는 ‘혼공’ 학습법을 제안하였으며 『재택학습력-혼공이 어려운 초중등생을 위한 가정학습법(공저)』를 펴냈다. 현장에서 아이들의 어휘력 상실과 문장 이해 부족으로 의사소통이 어려워진 점을 안타깝게 생각하면서 ‘신문을 읽고 마인드맵 그리기’ ‘기사 속 인물 조사하기’ 등 읽고, 생각하고, 말하고, 쓰는 것이 하나가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있다.
초등 전문가, 신문 교육 전문가, 부모교육 전문가, 문해력 전문가.
14년 차 초등학교 교사이자 초등 영재학급 강사로 초등학생들의 읽기와 쓰기 교육에 헌신하고 있다. 신문 활동 교육(NIE)을 연구하고 있으며, 실제 수업(사회, 과학, 도덕 등)에도 신문을 활용, 신문 교육 전문가로서 교실 안팎의 아이들과 만나고 있다. 신문 활용 교육을 통한 노하우를 기반으로 『경제가 읽히는 경제사전(공저)』를 출간했다. 교육청과 학교에서 전문적 학습 공동체 연수를 진행하며 부모 교육 강사이자 교육 칼럼니스트로 부모님들과 육아와 경제 교육에 관한 이야기를 적극적으로 공유하고 있다. 코로나 시국에는 아이들이 스스로 공부하고 깨우칠 수 있는 ‘혼공’ 학습법을 제안하였으며 『재택학습력-혼공이 어려운 초중등생을 위한 가정학습법(공저)』를 펴냈다. 현장에서 아이들의 어휘력 상실과 문장 이해 부족으로 의사소통이 어려워진 점을 안타깝게 생각하면서 ‘신문을 읽고 마인드맵 그리기’ ‘기사 속 인물 조사하기’ 등 읽고, 생각하고, 말하고, 쓰는 것이 하나가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