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몽테뉴로 돌아가다

레비스트로스의 처음과 마지막 강연
$16.20
SKU
979119828504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4/16 - Tue 04/2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1 - Tue 04/1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3/05
Pages/Weight/Size 130*210*20mm
ISBN 9791198285041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레비스트로스는 세기를 초월해 몽테뉴의 사상을 공유하며
오늘 우리에게 인간다움과 문명의 야만성을 다시 묻는다

이 책은 프랑스의 저명한 인류학자이자 민족학자인 클로드 레비스트로스(1908~2009)가 남긴 두 편의 미공개 대중강연을 엮은 것이다. 첫 번째는 브라질 내륙의 원주민 사회를 탐사하던 젊은 시절에 한 1937년 1월 강연이고, 두 번째는 구조주의를 유행시키고 20세기 서구 지성사의 거목이 된 노년 시절에 한 1992년 4월 강연이다. 반세기 이상의 시차를 두고 열린 것이지만 서로 잇닿아 있다. 프랑스의 인문주의자 몽테뉴를 직간접적으로 다루기 때문이다.

레비스트로스는 원시사회를 연구하면서 유럽 문명의 뿌리 깊은 우월주의를 비판하고, 문명과 야만이라는 서구적 시각의 이분법을 교정하려 했다. 이런 그의 사상은, 400년 전에 이미 신대륙 발견과 그곳의 원주민 문제를 깊이 성찰했던 몽테뉴에 의지한 바 크다. 따라서 이 책은 민족학적 사고의 선구자로 몽테뉴에 대한 레비스트로스의 흠모와 존경을 드러내며, 그의 길고 긴 지적 여정을 가늠하게 한다.

첫 번째 강연은 민족학이 무엇이고 어떤 점에서 혁명적인 학문인지를 논한다. 특히 레비스트로스가 진화론의 주요 논리를 규탄하고 문화전파주의를 설파하던 시기를 증언해주고 있다. 두 번째 강연은 몽테뉴의 유명한 에세이 「식인종에 대하여」를 중심으로 ‘야만’과 ‘미개’의 정의를 세 가지 방식으로 정리한다. 더불어 이 책에는 강연을 편집한 인류학자 엠마뉴엘 데보의 충실한 해설이 실려 있고, 역자는 강연을 보충하는 몽테뉴의 에세이 두 편을 새로이 번역해 추가했다.
Contents
해설|레비스트로스 사상 속의 몽테뉴

첫 번째 강연 ----- 1937년 1월 29일
혁명적 학문으로서의 민족지학

두 번째 강연 ----- 1992년 4월 9일
다시 몽테뉴로 돌아가다

몽테뉴 더 읽어보기
식인종에 대하여
마차들에 대하여

옮긴이의 덧붙임|서구 문명의 오만에 균열을 내다
레비스트로스 연보
Author
클로드 레비스트로스,고봉만
1908년 브뤼셀에서 태어나 2009년 100세의 나이로 파리에서 사망한 레비-스트로스는 20세기 인문학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세계적 석학으로, 철학을 비판하며 철학에 대항하는 인간과학으로서의 인류학을 정초했다. “수시로 변하는 현상 뒤에 숨은 어떤 근본적인 내적 원리”를 집요하게 탐색한 그의 사유는 ‘구조주의’라는 총체적 현상으로 지칭되었다. 1960~70년대 사람들은 구조주의를 철학과는 또 다른 하나의 사유 현상으로 받아들이며 레비-스트로스를 비롯해 푸코, 라캉, 바르트 등을 구조주의자로 분류했지만, 레비-스트로스는 그것은 근거 없는 혼합이며 자신의 지적 계보는 벤베니스트와 뒤메질, 베르낭 정도라고 말했다.
1930년 파리 대학 법학부와 문학부에 입학하여 조르주 뒤마의 강의를 듣고 임상심리학, 정신분석학 등에 흥미를 가졌으며, 루소의 저작들도 이때 탐독했다. 이후 철학교수 자격시험에 최연소로 합격한 그는 교육실습에서 메를로-퐁티와 같은 조가 되어 우정을 맺는다. 1933년 로위의 『원시 사회』를 우연히 읽고 인류학에 관심을 갖게 된 이후 대학교수를 지내면서 카두베오족과 보로로족 등을 방문조사하며 여러 논문을 발표했고, 1941년에는 미국으로 건너가 뉴욕의 신사회조사연구원에서 문화인류학을 연구했다. 이때 미국으로 망명한 러시아 태생의 언어학자 야콥슨을 알게 되어 언어학에 깊은 흥미를 느끼고 그와 공동 연구를 하기도 했다. 야콥슨과 공동으로 『언어학과 인류학에서의 구조적 분석』을 발표하였다. 1959년 콜레주 드 프랑스(College de France)의 교수가 되어 1982년 퇴임할 때까지 학생들을 가르쳤다.

박사학위논문 『친족 관계의 기본 구조』(1949)가 출판되어 프랑스 학계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산문 기록처럼 쓰인 『슬픈 열대』(1955)는 공쿠르상 후보작이 되기도 했다. 1962년 발표한 『오늘날의 토테미즘』과 『야생의 사고』는 원시인에 대한 전혀 새로운 시각으로 사상계를 놀라게 했다. 이후 『날것과 익힌 것』(1964), 『꿀에서 재까지』(1965), 『식사예절의 기원』(1968), 『벌거벗은 인간』(1971) 등을 잇달아 발표하면서 레비-스트로스 신화학의 체계를 완성했다. 콜레주 드 프랑스 교수와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을 지내면서 『먼 시선』(1983), 『보다 듣다 읽다』(1993) 등 굵직한 저서를 다수 내놓았다. 프랑스 지성사에서 루소 이후 가장 박식한 인물로 꼽히며, 2008년에는 생존 인물로는 이례적으로 갈리마르출판사에서 펴내는 '플레야드 총서'에 이름을 올렸다. 2009년 10월 30일 101세로 타계하였다.
1908년 브뤼셀에서 태어나 2009년 100세의 나이로 파리에서 사망한 레비-스트로스는 20세기 인문학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세계적 석학으로, 철학을 비판하며 철학에 대항하는 인간과학으로서의 인류학을 정초했다. “수시로 변하는 현상 뒤에 숨은 어떤 근본적인 내적 원리”를 집요하게 탐색한 그의 사유는 ‘구조주의’라는 총체적 현상으로 지칭되었다. 1960~70년대 사람들은 구조주의를 철학과는 또 다른 하나의 사유 현상으로 받아들이며 레비-스트로스를 비롯해 푸코, 라캉, 바르트 등을 구조주의자로 분류했지만, 레비-스트로스는 그것은 근거 없는 혼합이며 자신의 지적 계보는 벤베니스트와 뒤메질, 베르낭 정도라고 말했다.
1930년 파리 대학 법학부와 문학부에 입학하여 조르주 뒤마의 강의를 듣고 임상심리학, 정신분석학 등에 흥미를 가졌으며, 루소의 저작들도 이때 탐독했다. 이후 철학교수 자격시험에 최연소로 합격한 그는 교육실습에서 메를로-퐁티와 같은 조가 되어 우정을 맺는다. 1933년 로위의 『원시 사회』를 우연히 읽고 인류학에 관심을 갖게 된 이후 대학교수를 지내면서 카두베오족과 보로로족 등을 방문조사하며 여러 논문을 발표했고, 1941년에는 미국으로 건너가 뉴욕의 신사회조사연구원에서 문화인류학을 연구했다. 이때 미국으로 망명한 러시아 태생의 언어학자 야콥슨을 알게 되어 언어학에 깊은 흥미를 느끼고 그와 공동 연구를 하기도 했다. 야콥슨과 공동으로 『언어학과 인류학에서의 구조적 분석』을 발표하였다. 1959년 콜레주 드 프랑스(College de France)의 교수가 되어 1982년 퇴임할 때까지 학생들을 가르쳤다.

박사학위논문 『친족 관계의 기본 구조』(1949)가 출판되어 프랑스 학계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산문 기록처럼 쓰인 『슬픈 열대』(1955)는 공쿠르상 후보작이 되기도 했다. 1962년 발표한 『오늘날의 토테미즘』과 『야생의 사고』는 원시인에 대한 전혀 새로운 시각으로 사상계를 놀라게 했다. 이후 『날것과 익힌 것』(1964), 『꿀에서 재까지』(1965), 『식사예절의 기원』(1968), 『벌거벗은 인간』(1971) 등을 잇달아 발표하면서 레비-스트로스 신화학의 체계를 완성했다. 콜레주 드 프랑스 교수와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을 지내면서 『먼 시선』(1983), 『보다 듣다 읽다』(1993) 등 굵직한 저서를 다수 내놓았다. 프랑스 지성사에서 루소 이후 가장 박식한 인물로 꼽히며, 2008년에는 생존 인물로는 이례적으로 갈리마르출판사에서 펴내는 '플레야드 총서'에 이름을 올렸다. 2009년 10월 30일 101세로 타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