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학

$30.24
SKU
979119821330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3/10
Pages/Weight/Size 188*257*35mm
ISBN 9791198213303
Categories 대학교재 > 사회과학 계열
Contents
머리말
차례
일러두기

제1편 직업학 개관
제1장 직업학의 형성과 발달
1. 직업학의 의의 및 개념
가. 직업학의 의의/ 나. 직업학의 의미/ 다. 직업학 분야의 직업들
2. 직업학의 기본 관점
가. 인간 연구에 대한 3대 조류/ 나. 인지정보처리 접근
3. 직업학의 발달과 미래 전망
가. 우리나라 직업학 발달 배경/ 나. 미래 직업학의 전망
4. 직업학 경계의 학문
가. 산업 및 조직심리학/ 나. 상담심리학/ 다. 진로교육학/ 라. 직업사회화/ 마. 노동경제학
5. 직업학의 개념
가. 직업안녕감/ 나. 일과 직업/ 다. 진로발달과 진로선택/ 라. 직업유지와 직업전환/ 마. 고용시장과 고용/ 바. 생애주기
제2장 직업학의 연구주제와 방법
1. 직업학의 연구주제
가. 인간 직업행동 영역/ 나. 직업문화 영역/ 다. 직업정책 영역/ 라. 진로의사결졍 영역/ 마. 직업학 범위 및 연구과제
2. 실증주의 연구방법
가. 실증적 연구과정과설계/ 나. 직업학 연구의 유형/ 다. 변인의 측정/ 라. 자료의 분석
3. 구성주의 연구방법
가. 생애진로주제/ 나. 직업카드심리검사 주제분석/ 다. 직업상담 장면에서 주제분석/ 라. 사회구성주의 해결중심 단기치료/ 마. 사회적 현상에 대한 주제분석

제2편 인간과 직업학
제3장 직업심리학
1. 직업심리학의 의미
가. 직업심리학의 발달/ 나. 직업심리학의 의미
2. 직업심리학 이론
가. 특성-요인이론/ 나. 진로발달이론/ 다. 사회인지적진로이론/ 라. 진로구성이론
3. 직업능력과 진단
가. 개인의 직업능력/ 나. 직업능력 진단도구
4. 직업행동분석
가. 진로성숙/ 나. 진로신화/ 다. 진로장벽/ 라. 진로효능감/ 마. 제한과 타협/ 바. 생애진로분기점/ 사. 직업전환에서의 충격
제4장 직업상담심리
1, 직업상담심리학의 목적과 틀
가. 직업상담심리학의 목적과 틀/ 나. 직업상담의 의미/ 다. 직업상담의 목표
2. 직업상담심리학의 이론 및 기법
가. 구성주의 생애진로주제/ 나. 합리적·정서적 행동치료/ 다. 스트레스와 부정적 정서의 인지치료 기법/ 라. 정신분석의 훈습/ 마. 해결중심 단기치료/ 바. 특성-요인이론의 취업상담기법
3. 직업상담 개입 및 평가
가. 직업상담 구조/ 나. 개입 및 평가
4. 직업상담 프로그램
가. 직업상담 프로그램의 의의/ 나. 직업상담 프로그램의 유형/ 다. 프로그램 기획
제5장 직업건강심리
1. 직업건강심리학 개관
가. 직업건강심리학의 의미/ 나. 직업 생활 건강안녕감/ 다. 조직에서의 직업건강안녕감/ 라. 생산시스템에서의 안녕감
2. 직업상실
가. 대량 구조조정 시대
3. 스트레스
가. 스트레스의 의미/ 나. 스트레스원
4. 작업환경과 직업병
가. 작업환경/ 나. 산업재해/ 다. 직업병

제3편 직업문화와 직업학
제6장 직업발달사
1. 인간혁명과 직업발달
가. 역사의 미래 예측/ 나. 직업발달사의 의의/ 다. 직업발달사를 연구하는 이유
2. 우리나라의 성장동력 진로유산
가. 교육훈련의 강국, 대한민국/ 나. 철의 나라/ 다. 5,000년의 섬유/ 라. 건설과 건축/ 마. 종이와 인쇄/ 바. 세계 최강의 조건/ 사. 금속공예/ 아. 유려한 도예/ 자. 디자인/ 차. 저장
3. 민족특성으로 발달한 직업능력
가. 우리 민족의 가장 뛰어난 진로자본 21세기 언어 한글/ 나. ‘명품은 손끝에서’의 젓가락문화 대한민국 진로유산 1호/ 다. 일등주의의 강박관념과 목표지향성/ 라. 빠르고 진취적 그리고 적응력/ 마. 정의 문화 케이 문화
4. 국토에서의 진로유산
가. 21세기 능력 다양성/ 나. 여백의 미 심미성/ 다. 삼면의 바다에서 오는 물류시스템/ 라. 연봉의 산맥들과 건설업
5. 우리나라 고유한 직업관 및 직업윤리
가. 고유한 직업관과 직업윤리의 발굴/ 나. 실명제의 시사점
제7장 직업사회와 윤리
1. 직업사회 변동
가. 현대사회 변동과 직업/ 나. 인구구조의 변화/ 다. 다양한 세대의 공존
2. 직업사회에서의 갈등과 소외
가. 직업사회의 계급/ 나. 직업사회에서의 갈등/ 다. 직업사회에서의 소외/
3. 직업과 여가
가. 여가의 의미/ 나. 여가생활의 유형/ 다. 생애주기와 여가
4. 직업윤리
가. 직업윤리의 의미/ 나. 서양의 직업윤리/ 다. 우리나라 직업윤리/ 라. 직업별 직업윤리 요인들
제8장 직업비교문화
1. 직업비교문화
가. 직업비교문화심리의 의미/ 나. 진로이론에 대한 평가
2. 문화변용
가. 문화변용의 의미/ 나. 치텀의 아프리카중심 모형/ 다. 문화변용 모형/ 라. 인종과 민족 정체성 발달/ 마. 문화특수성
3. 한국의 비교문화
가. 비교문화 대상/ 나. 다문화주의 지원체계/ 다. 다문화이주민의 취업지원 체계

제4편 노동시장과 직업학
제9장 노동시장
1. 노동시장의 의의
가. 노동시장 관련 개념들/ 나. 노동시장과 생산물시장
2. 노동수요 및 예측
가. 노동수요/ 나. 노동의 공급
3. 임금
가. 임금관리의 의의/ 나. 임금체계. 다. 임금형태
4. 노사관계
가. 노동조합의 목적과 의사결정과정/ 나. 노동수요의 탄력치와 노조의 교섭력/ 다. 노조의 노동생산성 및 생산효과/ 라. 노조와 자원분배/ 마. 공공부문의 노조행태/ 바. 협상이론의 개요/ 사. 임금교섭/ 아. 단체교섭
5. 조직문화
가. 기업의 역할과 목표/ 나. 조직문화의 개념/ 다. 조직문화의 주요모형/ 라. 한국의 조직문화
제10장 직업정책과 시스템
1. 국가와 직업정책
가. 국가와 정치/ 나. 직업정책의 의미/ 다. 직업정책의 분류
2. 직업정책 관계법규
가. 진로교육/ 나. 고용촉진정책/ 다. 노동력유지정책
3. 고용보험과 직업안정
가. 고용보험/ 나. 직업안정
4. 국민취업지원제도
가. 고용보험제도와 취업지원/ 나. 우리나라 국민취업지원제도
5. 재취업지원제도
가.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 나. 우리나라 재취업지원서비스
제11장 인적자원개발
1. 인적자원개발의 의의
가. 인적자본투자/ 나. 직업탐색과 노동이동
2. 국가 인적자원개발
가. 평생직업능력개발/ 나. 직업능력개발사업
3. 직업훈련과 자격
가. 직업훈련/ 나. 자격
4. 훈련상담
가. 학습/ 나. 훈련/ 다. 훈련상담의 실체
5. 진로교육
가. 진로발달과 진로교육/ 나. 진로교육 교과과정

제5편 진로의사결정과 직업학
제12장 행동함정과 의사결정
1. 행동경제학
가. 행동경제학의 의미/ 나. 행동경제학에서 다루는 논제들
2. 의사결정
가. 인간의 의사결정 과정/ 나. 의사결정의 유형/ 다. 정보와 의사결정
3. 진로신화와 행동함정
가. 진로신화/ 나. 행동함정
4. 우유부단
가. 우유부단/ 나. 우유부단의 원인
제13장 인지정보처리와 직업정보
1. 인지정보처리이론
가. 인지심리학/ 나. 인지정보처리모형/ 다. 의사결정지원시스템
2. 직무분석
가. 직무분석의 의의와 필요성/ 나. 직무분석의 발달과정/ 다. 직무분석 자료의 특성/ 라. 직무의 개념과 용어의 정의/ 마. 직무분석의 목적/ 바. 직무분석 방법/ 사. 직무수준
3. 직업정보 관리
가. 직업정보의 의의/ 나. 직업정보 원자료/ 다. 직업정보 수집/ 라. 직업정보분석과 의미/ 마. 직업정보 가공/ 바. 직업정보의 축적/ 사. 직업정보 생산과정의 공개/ 아. 직업정보의 평가
4. 직업정보망
가. 국가지원 정보망/ 나. 채용정보/ 다. 정부지원 사업정보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김병숙